【코코타임즈(COCOTimes)】 개의 상상임신(False Pregnancy)은 호르몬 이상으로 나타나는 병이다. 교배의 유무와 상관 없이 중성화수술을 하지 않은 암컷이라면 발정기 이후 상상임신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주로 유선(乳線)이 붓고 젖이 나오는 등 몸과 행동이 진짜 임신한 것처럼 변한다. 사람 눈을 피해 장난감을 물어 나르기도 하고, 모성행동을 보이며 새끼 낳을 둥지를 만들기도 한다. [증상] 상상임신의 가장 큰 특징은 팽창된 유선과 볼록한 배, 그리고 질 분비물이다. 보통 생리 주기가 끝난 후 4~9주 후 쯤 발생하지만 매 주기마다 증상이 나타나는 건 아니다. 식욕 감소를 보이기도, 또는 그 반대로 극심한 배고픔을 나타내기도 한다. 구토, 빈번한 배뇨 등 실제 임신한 것과 거의 비슷한 징후를 보이는 것이다. 이런 증상은 대게 2~3주 안에 소멸된다. [원인] 심리적 요인으로 상상임신을 겪는 인간과 달리 개는 호르몬의 변화가 상상임신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개의 생리 주기가 끝나면 자궁에 수정란이 쉽게 착상될 수 있도록 '황체 호르몬'(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의 분비가 시작된다. 황체 호르몬은 개가 진짜 임신했을 경우 임신 상태를 안전하
【코코타임즈(COCOTimes)】 콧물을 훌쩍거리기 시작한 고양이, 감기에 걸린 탓일까? 고양이가 콧물을 흘리거나 감기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면 빠른 치료에 들어가야 한다. 가볍게는 축농증이나 비염일 수도, 혹은 생명을 위협하는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일 수도 있다. ‘고양이 콧물 원인’에 대해서 알아본다. 알레르기성 비염 고양이가 맑은 콧물을 흘리거나 재채기, 기침을 한다면 알레르기성 비염 초기일 가능성이 높다. 증상이 심해지면 고름으로 인해서 진득한 콧물이 흐르고 얼굴을 더럽힌다. 코 주변도 헐어버린다. 숨을 쉬기 힘들어서 입을 벌린 채 호흡하기도 한다. 담배 연기나 사람이 사용하는 화학물질(방향제, 향수 등), 꽃가루, 진드기 등을 흡입해서 발생한다. 축농증 평소 콧물을 자주 흘린다면 축농증을 의심해본다. 고름이나 피 섞인 콧물도 종종 보인다. 축농증은 부비강이라는 기관에 염증이 생긴 증상을 말한다. 비염이나 바이러스 치료가 제대로 되지 않아도 축농증이 발생한다. 숨을 쉬기 힘들어하며 식욕 저하, 재채기, 이마 부근 발열 등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바이러스 감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고양이를 방치할 경우 폐렴으로 사망할 수 있다. 칼리시 바이러스와 헤르페스(허
【코코타임즈(COCOTimes)】 고양이의 머리 안쪽에 위치한 뇌실에는 뇌척수액(CSF)이 지속적으로 흐르고 있어 일종의 윤활제와 충격 흡수제의 역할을 해 주게 돼 있다. 이러한 뇌척수액(CSF)이 과하게 만들어져 뇌실에 쌓이게 될 경우 뇌 기능에 손상을 주게 되는데, 이러한 질병 상황을 '뇌수두증'(Hydrocephalus)이라고 한다. [증상] 뇌수두증 증상이 심한 경우 고양이 뇌 안에 쌓인 뇌척수액(CSF)으로 인해 머리가 커지며, 눈이 튀어나오고, 시력을 잃은 듯한 행동을 보인다. 움직이기를 싫어하고 경련과 발작, 불규칙한 걸음걸이를 보여준다. 또 이유 없이 제자리를 빙빙 돌기도 하며, 청각 장애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원인] 뇌수두증은 천문이 열려 있는 선천성과 특정 바이러스(백혈구 감소증 바이러스,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에 의한 후천성 원인이 있다. 게다가 세균 및 진균 감염, 기생충 마이그레이션, 종양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천문'(Fontanelle)은 우리말로 '숫구멍'이라 한다. 머리 위 가운데쯤 구멍을 말한다. 신생아때는 이 부분이 뼈로 채워지지 않아 말랑말랑해서 주의가 필요하다. 선천적으로 천문이 열려있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 [
【코코타임즈(COCOTimes)】 개의 외이염(Otitis externa)은 개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귀 질환 중 하나. 기생충이나 세균, 곰팡이, 각종 이물질과 각질 등으로 인한 감염으로 귀의 고막 앞에 있는 외이도에 염증이 발생한 상태를 말한다. 치료가 되도 재발이 빈번한 질환이기 때문에 적극적이고 꾸준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외이염이 자주 발생하는 대표적 품종으로는 바셋하운드, 포메라니안, 코커스파니엘, 골든리트리버, 닥스훈트, 퍼그, 불독, 페키니즈 등이 꼽힌다. [증상] 외이염 발생 초기에는 소양증(가려움증·Pruritus) 때문에 개가 자신의 앞발로 귀를 긁는 모습을 자주 보이게 된다. 안고 있으면 귀 주변에서 냄새가 나기도 하며, 증상이 심해지면 귀 안쪽에서 진물이 나오거나 짙은 색의 마른 귀지가 나오기도 한다. 귓바퀴가 붉게 부어오르고 그 부분을 만지면 몹시 아파한다. 이 단계에서 치료 시기를 놓치면 외이염은 중이염과 내이염으로까지 발전하게 된다. 더 악화되면 뇌에까지 염증이 전이돼 청력 상실, 심지어 생명까지 앗아갈 수 있다. [원인] 사람의 외이도가 입구에서 고막까지 일직선 모양을 하고 있는 것과는 다르게 개의 외이도는 입구에서 고막까지
【코코타임즈(COCOTimes)】 직장 탈장은 직장 점막이 항문에서 돌출된 경우를 말한다. 변비를 갖고 있거나 심한 설사를 한 경우, 또는 어린 강아지에게서 발생한다. 직장의 점막이나 직장이 항문 밖으로 돌출되고, 환부가 빨갛게 달아오르며 심하면 도넛처럼 부푸는 증상을 보인다. [원인] 기생충 감염, 변비, 비뇨기 장애, 생식기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며 어린 강아지는 그냥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기생충 때문에 직장 내에 염증이 생기거나 변비로 인해 배변 시 힘을 세게 주면 탈장 되기도 한다. 혹은 출산 과정에서 어미 개의 복압(배의 압력)이 올라 발생하기도 한다. [치료] 직장 고정술, 절제술 등 물리적 처치로 치료할 수 있다. 하지만 절제술의 경우 수술 후 변실금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예방] 가능하다면 변비를 피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것이 좋으며, 정기적으로 구충제를 투여해 예방한다. 꾸준한 운동을 통해 활발한 장운동을 유도하고 심한 다이어트는 피해야 한다. 식이섬유를 섭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코코타임즈(COCOTimes)】 고양이 간성뇌증은 독소(암모니아)가 쌓인 혈액이 뇌로 전달돼 간 질환과 대사성 신경증상 등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증상으로는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게 되고, 불러도 반응이 느리거나 응답이 없다. 또 방향감각에 장애가 와서 여기저기 부딪히는 모습을 보이고, 지나치게 졸려하며 심한 경우 기절을 하기도 한다. 구토와 설사가 동반되고 히스테리 증상과 공격성이 강해지는 등 성격 변화도 나타나게 된다. [원인] 고양이 간성뇌증은 다양한 원인이 존재 한다. 선천적으로 간의 구조에 이상이 있거나 말기의 만성간염, 그리고 간에서 암모니아 해독을 도와주는 효소가 결핍 상태일때 나타 날 수 있다. 변비, 탈수가 심한 경우에도 간성 뇌증은 흔히 발생된다. 후천적인 원인으로는 수술로 인한 마취, 과한 고단백 식습관, 장관 기생충, 궤양, 수혈, 이뇨제 투여 등과 장기적인 약물치료 등이 있다. [치료] 간성뇌증의 정확한 원인을 진단 받은 후 그에 맞는 치료법을 적용 해줘야 한다. 과한 단백질을 조절 한 처방식을 먹여야 하며 락툴로즈(Lactulose)를 투여 해몸 속에 쌓인 독소(암모니아)를 배출 시켜 준다. [예방] 평소 단백질이 과잉 섭취 되지
【코코타임즈(COCOTimes)】 개의 피부건조증(Xerosis cutis)이란 피부의 가장 바깥쪽을 덮고 있는 각질층 수분이 10% 이하로 떨어지는 데서 출발한다. 그래서 피부가 붉고 거칠어지며, 가려움증이 나타나고, 하얗게 각질이 일어나기도 하며, 심한 경우엔 살이 트고 갈라진다. 피부건조증을 가볍게 생각하고 계속해서 방치할 경우, 병변이 발생하며 2차적인 세균 감염과 합병증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증상] 건조증이 발생하면 처음에는 피부 표면에 하얗고 미세한 각질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가 점점 푸석해지고 각질과 비듬의 양이 증가하며 피부 이곳저곳이 붉어지고 가려움증도 동반된다. 증상이 심해지면 두꺼운 각질이 자리 잡기 시작하고 나중에는 피부가 갈라지며 진물이 나는 경우도 있다. [원인] 개 목욕의 횟수가 너무 잦거나 적을 경우 피부 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다. 건조한 피부를 가진 견종이라면 목욕은 한 달에 두 번 이상은 시키지 않는 것이 좋겠다. 개에게 오메가3 지방산이 부족해도 피부 건조증이 발생하게 되며, 개가 생활하는 장소의 공기가 건조하다면 개의 피부는 더욱 건조해지게 되므로 겨울철에는 젖은 빨래를 걸어 두거나 가습기를 틀
【코코타임즈(COCOTimes)】 고양이는 깔끔하고 웬만해서는 냄새가 나지 않기로 유명하다. 그루밍을 하며 늘 자신을 청결히 유지하는 덕택인데, 고양이 얼굴 부근에서 악취가 난다면 건강 이상을 의심해 봐야 한다. 눈곱과 눈물로 악취가 날 수도 있는데, 이때는 안과 질환뿐만 아니라 헤르페스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이나 비염 등을 의심해봐야 하기 때문이다. 정상적인 눈곱이라면? 정상적인 고양이라면 자고 일어났을 때나 일상생활 도중 검붉은 색 정도의 눈곱이 약간 생기는 하지만, 많은 양의 눈곱이 생기거나 악취, 눈물 흘림 등의 모습을 보이지는 않는다. 눈곱과 눈물,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이유 갑자기 눈곱이 평소보다 많아졌다면, 특히 한 쪽에만 유난히 눈곱이 많이 생긴다면 예사로 지나칠 문제가 아니다. 자칫하면 고양이를 사망에 이르게 하는 질환의 전조증상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헤르페스 바이러스 혹은 허피스 바이러스라 불리는 이 질환은 바이러스성 코 기관지염인데, 방치했다가는 폐렴으로 이어지고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사실 눈곱이나 눈물로 인한 증상은 안과 질환이 가장 흔하다. 각막염이 원인이라면 눈물 양 증가와 눈곱 외에도 눈이 빨개지기도 한다. 정면에서 고
【코코타임즈(COCOTimes)】 [개요] 급성신부전(acute renal failure)은 몸속 노폐물을 걸러내고 조혈 호르몬을 만들어내는 등 여러 가지 중요 역할을 하던 신장의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말한다. 배뇨 활동이 원활하지 못한 부분은 만성 신부전과 비슷하다. 하지만, 완치 불가능한 만성 신부전과 달리 고양이 급성신부전은 조기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이루어진다면 얼마든지 완치 가능하고, 예후 또한 좋은 편이다. [증상] 갑작스러운 신장 기능 저하로 식욕 부진-기력 상실-구토-발작-구취-피가 섞인 설사-소변량 증발 등의 증상을 보인다. 중증으로 악화될 수록 체온 저하-심한 구토-경련-졸도-요독증 등 여러 증상이 심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원인] 신우 신염- 신장의 세균 감염-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고양이 하부 요로 질환- 독성 식물의 섭취- 저혈압- 심근증 쇼크- 심한 빈혈이나 탈수 등이 일반적이며 이 밖에도 매우 다양한 원인이 존재한다. [치료] 발병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도 달라지겠지만, 공통적으로 신장 기능이 회복할 때까지 이뇨제 투여로 배설 촉진을 돕고 구토와 설사로 인해 약해진 기력을 보충해주기 위한 수액 요법을 시행하게 된다. 약
【코코타임즈(COCOTimes)】 개의 폐렴(Pneumonia)이란 말 그대로 폐에 염증이 생겨 호흡기 문제가 야기된 상태를 말한다. 초기 증상이 감기와 매우 흡사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쉽게 눈치채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폐렴을 일으킨 원인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일단 발병하면 진행 속도가 빠르고 중증 상태가 되면 호흡 곤란을 일으키는 등 목숨을 잃을 정도로 위험하므로 초기 대응이 너무나 중요한 질병이다. 대략 5~10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야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조기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쉬우니 개의 기침이 지속되는 등 이상 증상이 있다면 폐렴을 의심하고 지켜봐야겠다. [증상] 개 폐렴의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점점 심해지는 기침을 꼽을 수 있으며, 초기 상황이 지나면 기침할 때 누런 가래가 함께 배출되기도 한다. 가까이서 들으면 쌔액쌔액거리는 마르고 탁한 소리가 들릴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발열과 식욕 저하, 그로 인한 체중 감소, 기면증, 구토, 콧물 등의 증상이 관찰된다. 중증의 경우 폐 속에 차오른 공기로 인해 배가 부풀어 오르는 경우도 있다. [원인] 개의 폐렴은 주로 면역력이 약한 어린 강아지나 노령의 개에게 많이 발생한다. 특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