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COCOTimes)】 약 4세기 때부터 동물들의 사냥견으로 인간과 함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때는 지금보다 몸집이 작았다. 비글(Beagle)이라는 이름은 '요란하게 짖는다' 또는, '작다'를 나타내는 프랑스어 '베겔'에서 유래하였다. 사냥개 중에서 몸집이 제일 작으며, 단단한 근육과 늘어진 귀 때문에 폭스 하운드와 비슷해 보이기도 하다. 선천적으로 눈과 귀를 비롯한 피부 질환을 많이 가지고 태어난다. 특히 늘어진 귀로 귓속이 늘 가려져 있기 때문에 비글의 귓속은 세균과 곰팡이가 잘 번식한다. 이 때문에 목욕을 시키고 나면 귓속에 물기가 남아 있지 않도록 드라이어로 잘 말려줘야 한다. 비글의 털은 길이가 짧고 매끄러우며 곧고 숱이 많다. 비글은 사냥개 특유의 달리는 본능이 지니고 있어서 보호자는 비글과 함께 산책과 달리기를 생활화해야 한다. 사냥개지만 공격성이 낮고 사람을 잘 따르기 때문에 사회화 교육과 예절교육을 잘 시키면 집안에서 키우는 데 무리는 없다. 10kg 내외의 작은 체구지만 성량이 커서 짖는 소리가 요란하다. 식탐이 많은 편. 아무거나 잘 먹기 때문에 움직임이 부족하면 비만이 되기 쉽다. [건강 체크포인트] 유전적인 요인으로 백
【코코타임즈(COCOTimes)】 나와 어울리는 개, 어떤 품종이 있을까? 입양하기 전, 나는 어떤 개를 원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보자. 개의 몸집이나 성격도 어떤 개를 입양할지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인데, 미국애견협회 AKC에서는 사람들이 반려견을 결정할 때 중요시하는 몇몇 요소들을 모아 그에 따른 품종을 맞춰 소개했다. 털 알레르기 적은 개를 원한다면? 개를 키우고 싶지만 털 알레르기가 걱정된다면 알레르기 유발이 적은 개를 키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개털 알레르기는 모든 개에게서 분비하는 당단백질(glycoprotein)이라는 물질이 원인이다. 당단백질 분비가 적은 품종으로는 몰티즈와 푸들, 비숑 프리제, 꼬똥 드 툴레아, 베들링턴 테리어 등이 대표적이다. 소형견을 원한다면? 소형견으로 유명한 개, 누가 있을까? 아마 세상에서 가장 작은 개인 치와와가 가장 먼저 떠오를 텐데, 치와와 외에도 포메라니안, 빠삐용, 미니핀, 몰티즈, 요크셔 테리어 등이 있다. 활동적인 개를 원한다면? 모든 개에게 운동이 필요하지만, 특히 활발하고 왕성한 체력을 가진 개로는 보더콜리, 콜리, 셔틀랜드 쉽독, 그레이하운드, 차우 차우, 래브라도 리트리버 등을 꼽을 수 있다. 때로는
【코코타임즈(COCOTimes)】 1840년대 목양 산업이 활성화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태어났다. 블루멀 컬러의 스무스 하이랜드 콜리, 달마시안, 캘피 등과의 개량을 통해 탄생했다. 이름과 같이 목양견으로 이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품종이다. 목양견의 특성에 걸맞게 민첩하고 강인하며 용감하다. 개 심리학자 스탠리 코렌 교수의 저서 'The Intelligence of Dogs'에 따르면, 지능 순위(복종순위) 10위로 평균적으로 새로운 명령어 5회 이하 반복에 복종한다고 한다. 첫 명령에 복종할 확률은 95% 이상으로 매우 영리한 편에 속한다. 목장과 가축을 지키던 습성 때문에 책임감이 강할 뿐만 아니라 경계심이 많고 조심스러운 성격이다. 이 때문에 경비견으로도 사랑 받고 있다. 대부분의 목양견이 그렇듯 활동량이 많아 에너지를 분출시켜줘야 한다. 이 품종의 생김새 또한 성격과 비슷한데, 몸매는 탄탄하고 민첩해 보인다. 컴팩트한 중형견 사이즈다. 짧고 부드러운 털은 이중모 구조로, 방수 기능이 있다. 털이 매우 독특하다. 멀 컬러와도 비슷한 색상과 무늬를 띈다. 블루, 레드 등의 컬러와 블랙, 탄, 레드 등의 얼룩이 있다. [건강 체크포인트] 유전적으로 난청과 망막
【코코타임즈(COCOTimes)】 퍼그(Pug)는 17세기 말 네델란드의 한 상인이 중국에서 영국으로 들여오면서부터 그 기록이 시작된다. 영국의 윌리엄 3세와 프랑스 나폴레옹 황제의 부인이었던 조세핀 등 유럽 여러 국가의 왕과 귀족들에게 많은 인기가 있었다. 중국산 품종 중 가장 순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다. 퍼그의 이름은 라틴어로 '주먹'을 뜻하는 '퍼그스(pugnus)'에서 나왔다는 얘기도 있고, 1700 년대 반려동물로 인기를 끌었던 '퍼그 원숭이"의 이름에서 따왔다는 얘기도 있으며, 코골이로 유명한 '파쿠'라는 중국 왕의 이름에서 유래 되었다는 설도 있다. '윌 스미스' 주연의 영화 '맨 인 블랙'의 출연 이후 더욱 유명해 졌으며 FCI에서는 1885년 공식 인정받았다. 퍼그의 전체적인 모습은 직사각형의 균형 잡힌 단단하고 울퉁불퉁한 모양이며, 엉덩이를 뒤뚱거리며 걷는 모습이 앙증맞고 명랑해 보인다. 털은 짧고 숱이 많으며 부드럽지만 털 빠짐이 다소 많은 편이다. 털 빛깔은 은색, 살구색, 검은색, 짙은 갈색 등이 있다. 퍼그는 코가 납작하게 눌린 단두종이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약한 편이다. 때문에 더운 여름날 산책은 탈수와 열사병의 위험
【코코타임즈(COCOTimes)】 세계애견연맹(Federation Cynologique Internationals,FCI)은 344종(2017년 8월 11일 기준)의 개를 기능이나 활용 목적에 따라 1~10그룹으로 구분해 놓고 있다. 수만 년 전 회색늑대가 가축화됐을 당시, 경비견으로 시작한 개는 양을 모으는 목양견으로, 썰매를 끄는 개로, 사람의 외로움을 달래주는 반려견 등으로 목적과 필요에 따라 품종이 개량됐다. 품종개량은 약 200년 전부터 미학적 목적을 위해 영국에서 강제 교배, 새로운 품종을 탄생시켰다. 사람의 욕심으로 인한 비슷한 품종의 근친 교배는 품종견들이 건강하지 못하고, 유전질환 발병 확률을 높이고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단점을 야기했다. 아주 오래전에 친구가 핸드폰속 사진을 보여주며 '이뻐 죽겠다'는 표정으로 액정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 모습을 본적이 있다. 사진을 슬쩍 엿본 나는 그런 친구의 모습이 조금은 낯설고 신기했다. 그래서 친구의 핸드폰을 뺏어 사진을 자세히 보곤, “왜 인형을 찍어 왔어? 인형이 살아있는 것 같아” 하고 물었다. 그랬더니 친구 왈(曰) “말티즈 강아지야! 이쁘지, 입양했어~” 하는 거다. 나는 다시 핸드폰속 사진을
【코코타임즈(COCOTimes)】 사모예드(Samoyed)는 북극권 가까이에 살던 유목민 사모예드족이 예전부터 기르던 썰매견으로써 이름도 부족의 이름인 사모예드를 개 에게도 그대로 붙여줬다. 지구 위 가장 혹독하게 추운 지역에서 길러졌기 때문에 외부와의 교류가 자연스럽게 차단돼 사모예드는 역사상 가장 오래된 순종 중 하나로써 그 모습도 수 세기 동안 거의 변함 없이 잘 보존되고 있다. 사모예드의 원래 용도는 운송수단으로 이용된 썰매견이지만, 그 외 유목민들의 재산인 순록을 지키는 일이나 추운 야생에서 사람과 서로를 끌어안아 체온을 유지 시키는 따듯한 이불의 역할까지 다양한 용도로 이용돼 왔다. 19세기 무렵 유럽과 미국 지역에 알려지기 시작하며 우아한 외모와 착한 성격 덕분에 오늘날까지 무한 사랑을 받는 중 대형 견중 하나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TV 프로그램 '개밥 주는 남자'에서 동호가 키우는 개 '수호'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일본에서 소형 품종으로 개량한 '재패니즈 스피츠(Japanese Spitz)의 조상 격 이기도 하다. 재패니즈 스피츠는 사모예드의 천진난만한 성격과 천사 같은 외모 등 장점은 그대로 이어받고 크기만 소형으로 축소한 품종이다. 사
【코코타임즈(COCOTimes)】 특한 귀 모양을 가진 이 고양이는 아메리칸 컬 롱 헤어이다. 아메리칸 롱 헤어보다 털이 좀 더 짧은 단모종 아메리칸 컬도 존재한다. 1981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귀가 뒤로 말린 고양이가 처음 발견됐다. 이 고양이에게는 슐라미스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말린 귀는 우성 유전자로 인해서 생겨난 것으로 밝혀졌다. 태어났을 때는 일반적인 귀 모양을 하고 있지만, 생후 48시간 내로 서서히 말리기 시작한다. 생후 4개월쯤에는 장미꽃잎과도 같은 귀로 자리 잡는다. 귀는 90˚~180˚가량 접힌다. 귀가 말랑말랑해 보이지만, 연골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귀를 조심스레 다뤄야 한다. 몸집이 다 자라는 데에는 약 2년 정도가 걸린다. 호기심이 많고 영리하다. 사람을 좋아해서 사람 곁에 있기를 좋아한다. 활발하고 애교가 많으며 온순하다. 아이 같은 성경 때문에 피터팬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건강 체크포인트] 일반적으로 건강한 편이다. 평균적으로 12~16년 정도 산다. 귓병에 취약하므로 귀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요약] 원산지 : 미국 성격 : 호기심이 많다. 사람 곁에 머물기를 좋아하며 사랑스럽다. 몸무게 : 2.3~4.5kg 내외
【코코타임즈(COCOTimes)】 꼬똥 드 툴레아의 역사는 고향인 마다가스카르와 마다가스카르를 통치했던 프랑스, 두 나라의 영향을 받았다. 털은 마치 솜처럼 부드럽고 풍성한데, 프랑스어로 솜을 꼬똥(cotton)이라고 부른다. 이름 끝의 툴레아는 마다가스카르의 항구도시인 툴레어(Tulear)에서 착안됐다. 꼬똥 드 툴레아는 마다가스카르의 귀족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 ‘마다가스카르 왕실 개(Royal Dog of Madagascar)’라고도 불릴 정도였다. 1974부터는 프랑스와 기타 국가로 건너가 세계적으로 알려졌다. 희고 긴 털로 뒤덮여서 얼핏 보면 몸집 큰 몰티즈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둘은 엄연히 다른 품종이다. 꼬똥 드 툴레아 털의 바탕색은 흰색이며, 귀나 발 등 부분적으로 적갈색이나 밝은 회색을 띠기도 한다. 공격적이지 않고 태평한 성격, 높은 친화력 등 매력적이며, 다른 동물과도 곧잘 어울린다. [건강 체크포인트] 유전병이 거의 없고 대체로 건강한 편이다. 평균 수명은 15년 이상이다. [요약] 원산지 : 마다가스카르 성격 : 태평하고 밝으며 친화력이 좋다. 적응력이 뛰어나다. 크기 : 22~27cm 전후 체중 : 3~6kg 전후
【코코타임즈(COCOTimes)】 시추의 정확한 기원은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그래서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시추 '조상'의 고향은 티벳? '중국 황실 개'로 유명하기 때문에 중국이 본 고장인 것으로 많이 알려졌지만, 시추의 뿌리는 사실 티벳이라는 의견이 가장 유력하다. 티벳에서 중국 황제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시추의 조상견인 티벳 라이언 도그를 공물로 바쳤다는 이야기가 있기 때문. 이후 중국에서 시추의 조상견을 퍼그와 페키니즈 등과 교배시켜 오늘날의 시추로 만들어내게 된 것이라고 전해진다. '시추'의 별명 중국어로 'Shih Tzu'는 '작은 사자'를 뜻한다. 이것도 티벳 라이언 도그를 공물로 바쳤다는 이야기와 일맥상통한다. 또 다른 별명은 '국화 개'다. 시추의 얼굴 털이 마치 국화 꽃잎처럼 모든 방면에서 자라기 때문. 한때는 멸종 위기에 처했던 품종 서태후는 정치뿐 아니라 개에게도 관심이 많아 시추와 페키니즈, 퍼그 등의 품종 번식을 관리했었다. 서태후가 죽은 이후로는 번식에 대한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시추 번식이 어려워졌다. 하지만 20세기 초반, 남아있는 7마리의 수컷과 7마리의 암컷 시추를 찾아내 시추를 다시 재번식할 수 있게
【코코타임즈(COCOTimes)】 아펜핀셔(Affenpinscher)의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지만, 1600년경 쥐를 잡기 위해 키워지던 독일의 핀셔를 개량한 품종으로 추정하고 있다. 견종명은 원숭이를 닮은 아펜핀셔의 얼굴을 강조해 독일어로 '원숭이 같다'의 뜻을 가진 '아펜'이라는 단어를 결합해 지어졌다. 애완견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품종 중 하나이며, 유난히 많은 수염 때문에 '콧수염 달린 작은 악마'라는 별칭도 얻게 되었다. 17세기 무렵 유럽에서 많은 인기를 끌기도 했었지만, 외모가 빼어난 다른 견종들에 밀려 이 개의 숫자는 점점 줄어들다가 20세기 들어서며 다시 조금씩 인기를 회복하게 되었다. 아펜핀셔는 희귀종으로 구분되며 까다로운 구매절차 때문에 아직 한국에는 반입되지 못하고 있지만, 1936년에 AKC(미국 켄넬 협회)에 등록된 이후 해마다 애견전시회에 참가하는 등 애호가들의 꾸준한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몸 전체가 거칠고 덥수룩한 털로 뒤덮여 있으며, 체구는 작지만, 골격이 튼튼하고 야무진 느낌이다. 한눈에 봐도 원숭이와 많이 닮았으며, 동그랗고 검은 눈, 그리고 풍성한 턱수염이 특징적이다. 머리는 중간 크기이고 귀는 쫑긋 서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