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미니어쳐 슈나우저는 테리어의 한 종류로, 19세기에 블랙 푸들과 그레이 컬러의 스피츠, 아펜핀셔를 개량해 태어났다. 이 종은 기존 슈나우저들과는 엄연히 다른 품종이다. 초기 미니어쳐 슈나우저는 농장에서 쥐잡이 용도로 이용됐으며, 미니어쳐 핀셔로 불렸다. 자이언트 슈나우저, 스탠다드 슈나우저, 미니어쳐 슈나우저 중 가장 인기가 많다. 정사각형에 가까운 체형으로 탄탄하고 다부진 몸매를 갖고 있다. 엉덩이와 이에 이어진 뒷다리는 단단한 근육이 발달해 있다. 털은 거칠고 짧지 않은 상모, 빽빽한 하모로 이루어져 있다. 미니어쳐 슈나우저는 특히나 주둥이의 털을 길게 늘어뜨리는 것이 특징이다. 털은 블랙, 블랙&실버, 솔트&페퍼(화이트&그레이) 색상이 있다. 미니어쳐 슈나우저는 두려움이 없고 민첩해 경비견으로도 사랑받고 있다. 인내심 많고 충성심이 깊으며 헌신적이다. 활발하고 놀이를 좋아한다. 시끄럽지 않아 아파트에서 키우기에도 무리가 없다. 개 심리학자 스탠리 코렌 교수의 저서 'The Intelligence of Dogs'에 의하면 미니어쳐 슈나우저는 개의 지능순위 12위이일 정도로 영리한 편에 속한다. 첫 명령에 복종할 확률이
【코코타임즈(COCOTimes)】 한국집고양이의 영문 표기는 Domestic Korean Short Hair Cat이며 약자는 DKSH이다. 흔히 코리안 숏헤어, 코숏이라고 부르지만 우리나라 고양이의 애칭은 역시 '나비'이다. 단모종에 중형묘이며 체중은 3.5kg에서 5kg 정도다. 체형은 세미포린, 즉 크지도 작지도 않고 다리 길이도 길지도 짧지도 않다.아메리칸 숏헤어보다 태비(줄무늬)는 가는 편이고 얼굴은 더 각이 져있다. 특별한 기질이나 성향은 없으나 영리하고 대체로 활동적이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잡종교배 되었기 때문에 눈색이나 털색에 대한 특별한 기준은 없다. 레드태비, 오렌지태비, 고등어태비, 턱시도, 삼색, 솔리드 블랙, 솔리드 화이트, 노랑망토 등 코숏은 실로 다양한 컬러와 무늬를 갖고 있다. [이미지 출처 : 기사 상단부터 순서대로] 출처2:클립아트코리아
【코코타임즈】 삽살개(shaggy dog)는 '살기를 없애고 귀신을 물리친다'는 뜻을 가진 순우리말의 개 이름으로 '삽사리'라고도 불린다. 한반도의 동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서식했던 것으로 전해오며, 민담이나 시가(詩歌) 등에도 자주 등장해왔다. 400년 전, 왕실과 귀족층의 사랑을 받으며 길러 오다가 통일신라가 멸망하며 민가에까지 흘러가게 되었고 그 후로는 대표적인 서민 개로 우리 민족과 함께 해 왔었다. 일제 강점기 시절, 조선의 개는 일본이 독점한다는 말도 안 되는 [조선총독부령] 제26호에 의거, 공권력 주도하에 삽살개는 무참히 학살당했고 당시 희생된 삽살개의 가죽들은 일본군의 군용모피 자원으로 사용되는 비참함을 겪었다. 그 후 6.25를 지나며 삽살개는 기어이 멸종 위기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천만 다행히도 1969년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교수진을 중심으로 삽살개의 복원작업이 시작되었고, 1992년 3월 삽살개 복원에 매진하던 경북대학교 하지홍 교수팀의 추천에 의해 천연기념물 제368호로 지정되었다.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 거치며 거의 멸종 위기...경북대 교수진, 삽살개 복원 작업 현재는 주로 경북 경산 지역에서 순수한 혈통을 잘 보존한 채 한국
【코코타임즈】 달마시안(Dalmatian)은 동유럽 발칸반도 부근 크로아티아의 달마티아라는 지방의 토종견을 개량시켜 만들어 낸 품종이다. 고대 이집트 벽화에서 반점 무늬의 개가 그려져 있는 것이 발견됐으며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달마시안이 그 벽화 속 반점 무늬 개의 후손이라 믿으며 전해오고 있다. 달마시안이 유럽지역에 알려지게 된 것은 1530년대 영국에서 마차의 양옆을 호위하던 코치 독(coach dog)으로 활약하면서부터이다. 코치 독 외에 군견이나 사냥개, 서커스단이나 소방서의 마스코트 등으로도 사용되었으며, 현재까지도 미국의 소방관을 상징하는 마스코트로 활약 중이다. 도디 스미스(Dodie Smith) 원작의 디즈니 열 일곱번째 장편 애니메이션 101마리 달마시안으로 본격적으로 전 세계에 이름이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달마시안의 털은 거의 피부에 밀착돼 있을 만큼 짧은 편이지만 눈 오는 날에도 끄떡없을 만큼 추위에 강하다. 순백색의 바탕에 검정 또는, 갈색의 얼룩 반점 무늬가 또렷이 분포돼 있다. 짧지만 벨벳같이 매끄럽고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고 있다. 털 관리는 비교적 쉬운 편이다. 일주일에 한 번 쯤 빗질을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목욕은 일 년에
【코코타임즈】 바셋하운드(Basset Hound)는 16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블러드하운드와 엘트와 바셋이라는 개의 교배를 통해 탄생한 수렵견이다. 뛰어난 후각과 짧은 다리를 가진 바셋하운드의 특징을 이용해 위급한 상황에 굴속으로 숨어버리는 여우나 오소리 등의 사냥에 주로 활용돼왔다. 프랑스어로 '낮다, 난쟁이'라는 뜻을 가진 'Bas'에서 이름이 지어졌으며, 당시의 소설가 셰익스피어의 글귀에 묘사되기도 했을 만큼 프랑스의 귀족뿐 아니라 서민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았던 품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제화 브랜드 '허시파피'의 모델로 잘 알려져 있다. 바셋하운드는 다리가 짧기 때문에 순발력 면에서는 뒤처지지만, 지구력이 뛰어나 목표한 사냥감이 있다면 그만의 크고 독특한 소리로 끝까지 추적하며 짖어 댄다. 바셋하운드의 주름지고 잘 늘어나는 피부는 숲이나 초목 사이를 달릴 때 여기저기 솟아있는 나뭇가지나 바위 등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털 색깔은 검정, 흰색, 황갈색이 여러 형태로 섞여 있으며, 그 모습이 비글과 매우 흡사하다. 털은 짧고 매끈하며 상당히 촘촘하다. 바셋하운드의 가장 큰 특징인 길고 큰 귀는 귓구멍 전체를 덮고 있기 때문에 자칫 귓병에 걸릴
【코코타임즈】 독일에서 새의 사냥개로 쓰이던 저먼 포인터(German Pointer)는 1800년대까지는 체격이 육중하고 조용했으며 몸놀림도 느릿느릿 여유로운 성격이었다. 저먼 포인터에 스패니시 포인터(Spanish Pointer)와 블러드하운드(Bloodhound)를 교배시킨 뒤 여기에 영국에서 데려온 잉글리시 포인터(English Pointer)를 다시 교배시켜 지금의 저먼 숏헤어드 포인터(German Short-haired Pointer)를 탄생시켰다. 저먼 숏헤어드 포인터의 발랄한 성격과 날씬하고 민첩한 모습도 이때 완성된 것이다. 저먼 숏헤어드 포인터는 1940년대에 미국애견협회(AKC)에서 공식 승인을 받았다. 그 후, 1941년 시카고 국제 개 전람회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타고난 친화력과 영민함 그리고 쉽게 훈련 시킬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현재도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종이다. 밤에도 사냥이 가능할 만큼 예민한 후각을 가지고 있으며 물속, 산악지형 가리지 않는 만능이며 물에 있는 사냥감의 방향을 몸짓으로 알릴 수 있을 만큼 영리하다. 저먼 숏헤어드 포인터의 털은 흰색과 적갈색 또는 적갈색과 회백색이 섞여 있다. 털의 길이는 짧고 굵으며 방수가
【코코타임즈】 페키니즈(Pekingese)에 대한 기록은 약 8세기경 당나라 시대에 처음 나타나 있지만, 실지로는 그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시작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기원전, 달라이 라마에 의해 진시황제를 비롯한 역대 황제들에게 바쳐진 견종이었으며, 라사압소가 페키니즈의 조상 격이 된다. 페키니즈는 퍼그와 시추의 조상으로 알려져 있다. 페키니즈를 너무 사랑했던 중국 황실에서는 이 개의 궁정 밖 출입을 금지 하면서까지 보호하며 소중히 키웠고, 그 때문인지 페키니즈는 엄청난 응석받이에 제멋대로인 마이페이스 족에 속한다. 중국 평민들은 페키니즈와 마주치면 절을 해야 했으며, 만약 이 개를 훔치게 되면 사형에 처했었다. 1860년, 아편전쟁에서 영국군에 패한 중국 황실은 자신들의 상징과도 같았던 페키니즈를 뺏기기 싫어 그토록 예뻐하던 개를 모두 죽이라는 황제의 엄명이 내려졌었다. 하지만, 왕의 숙모가 영국군에 살해 당할 때 그녀의 품속에 있던 다섯 마리의 페키니즈가 발견되었고, 영국군이 그 다섯 마리의 페키니즈를 본국으로 데려가며 비로소 서양에도 소개 되었던 것이다. 그때 데려갔던 다섯 마리의 페키니즈 중 한 마리는 빅토리아 여왕에게 바쳐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코타임즈】 아이리쉬 울프하운드(Irish Wolfhound)는 390년경 고대 로마 시대의 기록에도 남아 있을 만큼 아주 오래된 견종이다. 주로 늑대와 엘크 사냥에 이용됐던 초대형 수렵견이었으며, 경주견과 애완견으로도 활용됐다. 유럽 설화나 전설과 무용담, 이야기 등에 자주 등장했으며 시인들의 작품에도 종종 묘사될 만큼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아일랜드 왕과 귀족들만 아이리쉬 울프하운드를 소유할 수 있는 법이 제정될 만큼 상류층에게 각별한 사랑을 받아왔다. 그러나 늑대와 엘크의 멸종이 시작하면서 아이리쉬 울프하운드 역시 함께 사라졌다. 이후 1862년 영국 군인 조지 그레이엄에 의해 다시 재생될 수 있었다. 현재의 아이리쉬 울프하운드는 당시보다 더 크고 무겁다. 세계에서 가장 큰 키를 가진 아이리쉬 울프하운드는 우리나라의 진돗개 개념으로 아일랜드를 대표하는 국견이다. 아이리쉬 울프하운드를 복원시킨 그레이엄은 1885년에 아이리시울프하운드클럽(IWC)을 창립했으며, 영국 켄넬클럽(KC) 에서는 1925년에 그 품종을 공식 인증했다. 아메리칸켄넬클럽 (AKC)에서는 1897년에 공식 인정하였고, 이어 1927년에는 미국에 아이리시울프하운드클럽 (IWCA)가 창
【코코타임즈】 1960년대, 아시아 레오파드 고양이(Asian Leopard Cat)와 집고양이(Domesic Cat)의 교배로 태어났으며, 1980년대에 이르러 정식 품종으로 인정받았다. 집고양이는 가정에서 키우던 일반적인 고양이를 일컫는다. 하이브리드 품종(Hybrid : 여러 품종이 섞인 것)으로, 초반에는 아비시니안과 이집션마우, 옥시캣 등을 교배해 벵갈 품종을 만들어냈다. 라틴어로 아시아 표범 고양이를 Felis bengalensis라 하는데 벵갈의 이름이 여기서 유래했다. 털은 브라운 컬러와 스노우 컬러 두 가지가 있다. 드물게 모래색, 회색, 금색 등의 털을 가진 벵갈이 태어난다. 대표적인 컬러와 무늬는 브라운 컬러의 털과 브라운 스팟이다. 이 외에도 브라운 마블, 스노우 스팟, 스노우 마블 무늬가 있다. 스팟은 크고 작음으로 나눌 수도 있다. 뚜렷하고 둥근 반점을 가진 베이직 스팟과 장미꽃 모양처럼 테두리만 짙은 반점 두 종류로 나뉘기도 한다. 이러한 무늬들은 생후 1년에 걸쳐 나타나기도 한다. 야생적인 외모를 지녔지만, 성격은 아비시니안을 닮아 온순하면서도 에너지 넘친다. 다른 동물들과도 잘 어울리며 운동을 좋
【코코타임즈】 스코티시 디어하운드(Scottish Deer hound)는 스코틀랜드의 하이랜드 지방에서 시각형 수렵견으로 오래전부터 사람과 함께 생활하던 품종이었으며, 얼핏 보면 분간이 어려울 만큼 많이 닮은 아이리시울프하운드와는 같은 조상견을 가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중세시대에는 백작 이상의 귀족들만 사육할 수 있을 만큼 비싼 몸값 자랑하는 대표적 귀족 견이었다. 디어하운드의 '디어'는 말 그대로 사슴을 의미하며, 이 개의 주요 활약도 팔로지카라는 사슴의 전용 사냥개였지만, 19세기 말 스코틀랜드의 개발이 시작되며 사슴의 수가 감소하자 디어하운드도 갈수록 그 숫자가 줄어 한때는 멸종 위기에 처하기도 했었다. 하지만, 영국의 "알키바"와 "덩컨 맥 닐"이라는 두 형제의 눈물겨운 노력으로 디어하운드 품종은 다시 복원될 수 있었다.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이 디어하운드의 애호가로 잘 알려져 있으며, 지금은 미국과 북유럽에서도 인기가 많아 쇼독으로도 활약 중이다. AKC(아메리칸 켄넬 클럽·American Kennel Club)에는 1886년 공인되었다. 대형견으로 분류되는 디어하운드는 영국의 귀족들이 충분히 애착을 보였을 만큼 품위가 넘쳐나는 몸놀림이 인상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