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뉴펀들랜드(Newfoundland)는 1700년대 캐나다로 들어온 유럽(영국·프랑스)의 어부들이 티베탄 마스티프(Tibetan Mastiff)와 뉴펀들랜드 섬 현지의 토착 견을 교배시켜 탄생한 품종이라는 이야기가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900년대 바이킹들이 뉴펀들랜드 섬으로 이들의 선조 격인 견종을 데리고 왔다는 주장도 있다. 이 외에도 노르웨이 사냥꾼들이 뉴펀들랜드 섬으로 데려온 마스티프 품종이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오고 있는 등, 그의 기원은 아직까진 명확히 확인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뉴펀들랜드는 1800년대 초 영국에서 정립된 것을 표준으로 정립돼있다. 1800년대의 영국인 동물화가 랜시어(Landseer)가 그의 그림에 뉴펀들랜드를 등장시키며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고 한다. 뉴펀들랜드는 폐활량이 상당하고 몸통은 두껍고 기름기 많은 가죽으로 덮혀 있으며 다른 개보다 커다란 발에는 물갈퀴까지 있어 찬물에서 견디고 움직이는 능력을 타고 난 품종이다. 방수성을 가진 길고 덥수룩한 바깥 털과 부드럽고 촘촘한 속 털의 이중모 덕분에 한겨울 눈밭에 굴러도 끄떡없을만큼 추위에 강하다. 하지만 반대로 덥고 습한 기온에는 매우 취약하므로 여름철에는
【코코타임즈】 아비시니안(Abyssinian)의 조상은 현재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매우 오래된 품종 중 하나이다. 원산지인 아비시니아(현재의 에티오피아)에서 자연 발생한 종이며, 이곳의 지명을 따 붙여진 이름이다. 고대 이집트의 유물과 벽화에서 발견된 고양이 였기 때문에 당시에는 신성시 되는 고양이였을 수도 있다. 자연발생 종이므로 대체로 건강하다. 날씬하면서도 근육이 있는 몸과 탄력이 넘치는 긴 다리는 아비시니안의 건강미를 돋보이게 한다. 아구티 틱킹(agouti : 한 올의 털에 짙고 옅은 색이 번갈아 나타나는 형태 / ticking : 털끝 색이 짙은 것) 형태의 털이 따뜻한 느낌을 주고, 털 색은 다양하다. 점점 성장하면서 털 색이 밝아지기도 한다. 대표적인 털 색으로는 루디(ruddy : 짙은 경우 검은색부터 고동색, 옅은 경우 적갈색부터 황갈색), 소렐(sorrel : 짙은 경우 황갈색부터 적갈색, 옅은 경우 밝은 갈색) 등이 있다. 얼굴에 비해 큰 귀와 이마와 눈 사이 M자 무늬가 특징이다. 부드러운 울음소리를 가진 조용한 고용이지만 얌전하지만은 않다. 장난기와 호기심, 애교가 많으며, 활동적이고 체력이 좋다. 따라
【코코타임즈】 휘핏(whippet)은 19세기 무렵, 영국의 탄광업자가 스냅 레이싱(snap racing. 토끼 사냥경기)을 목적으로 베들링턴 테리어에 맨체스터 테리어와 그레이하운드를 교배시켜 탄생했다. 그 후 이탈리안 그레이하운드(Italian Greyhound)와의 교배를 통해 현재의 휘핏으로 완성된다. 휘핏이 이용되던 스냅 레이싱은 경기의 잔혹성 때문에 결국 영국 내에서 폐지하게 되었으며, 그 후 휘핏은 래그 레이싱(rag racing. 주인이 흔드는 천 조각을 보며 전속력으로 달려가는 경기)에서 래그 도그로 활약하게 되었다. 달리는 속도가 60km를 넘나드는 휘핏은 단거리 경주견으로서는 그레이하운드를 능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뛰어난 시력을 가지고 있는 휘핏. 탁월한 시력을 이용해 사냥감을 쫓아가 잡아내는 사냥개를 뜻하는 시각형 하운드로도 분류된다. 휘핏이 활약하던 래그 레이싱은 영국의 하류계층이 즐기던 유흥 경기였으며, 덕분에 휘핏은 '가난한 사람의 경주마'라는 별칭도 얻게 되었다. 휘핏은 1888년 AKC(미국 켄넬클럽)에서 먼저 독립된 품종으로 인정받았으며, 영국 켄넬클럽(EKC)에서는 1891년에 인정되었다. 그레이하운드를 소형화시킨
【코코타임즈】 도사견(Tosa)은 일본의 도사(현재 고치현) 지방에서 투견을 목적으로 탄생시킨 품종이다. 투견이 성행하던 일본의 19세기 무렵, 일본 품종의 투견들이 번번이 서양의 마스티프 견종에게 패배를 당하자 일본의 토착 견인 시코쿠견에 마스티프, 그레이트데인, 불독, 세인트 버나드, 불테리어 등을 교배해 일본 내에서 최강의 투견 품종을 만들어 낸 것이다. 처음부터 싸움을 위해 만들어진 도사견은 당시 일본에서 가장 크고 강했던 아키타와의 싸움에서 완승을 하며 일본 내 최강의 자리에 차지했으며, 이어진 마스티프 견종들과의 싸움에서도 도사견의 승리가 이어지며, 도사견은 세계 최강의 개로 이름을 날리게 되었다. 전사풍의 외모 때문에 해외에서는 재패니즈 마스티프(Japanese Mastiff)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AKC에서는 2010년 정식으로 인정받았다. 도사견의 겉으로 보이는 묵직함 때문에 몸놀림이 다소 둔할 것이라 생각 들지만 실지로는 매우 부드럽고 유연하며 활동적인 편이다. 머리는 큰 편이며, 아몬드 형의 눈은 작고 어두운 갈색을 띠고 있다. 이마를 중심으로 머리 쪽의 주름 때문에 도사견의 위험스러운 분위기가 더 강하게 느껴진다. 털 색깔은 주로 황갈
【코코타임즈】 "견생 2막에 들어갈 우리 아이들, 새로운 가족을 찾아요." 관세청 관세국경관리연수원이 공항과 항만 등 일선 세관에서 활약하다가 은퇴했거나, 훈련견 양성과정에서 탈락한 마약탐지견 13마리를 23일부터 내달 4일까지 일반 분양한다. 견종은 래브라도 리트리버와 스프링거 스파니엘로 기초훈련을 잘 받았고, 영리하며 친화력이 뛰어나다. 올해부터는 민간분양 탐지견을 대상으로 사회화 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며, 개인 뿐 아니라 학교 등 단체도 신청할 수 있다. 조은정 연수원장은 “많은 국민들이 분양에 참여해 뛰어난 마약탐지견들의 견생 2막을 함께하는 행운의 기회를 가졌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관세청의 마약탐지견 민간분양은 2012년 시작돼 올해 상반기까지 총 86마리가 분양됐다. 서류심사, 신청자 면담 및 거주환경(단독․전원주택) 현장심사를 거쳐 최종 입양자가 결정된다.
【코코타임즈】 차이니스 리 와우(Chines Li Hua)는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고양이 품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고서에 언급 됐을 만큼 수 세기 동안 중국 각지에 존재 했을 것이라 짐작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CFA(Cat Fanciers Association)에서 정식 품종으로 인정 받은 건 2003년에 이르러서다. 산 주변을 기점으로 자연스럽게 번식돼 생겨난 품종으로 추측하고 있으며, 이들은 Chines Li Hua, Chines Li Hua, Dragon Li, Li Hua, Lu Hua Mao, Li Hua Mau 또는 Li Mao등 여러 이름으로 언급되고 있다. 리 와우가 성묘가 되려면 고양이로는 다소 긴 3년 정도 걸릴 만큼 성장 속도가 느린 편이다. 전체적으로 근육질의 탄탄한 체형이며 꼬리는 몸의 길이보다 약간 짧다. 머리 모양은 다이아몬드형으로 귀 사이는 약간 먼 편이며 귀의 모양은 앞으로 살짝 기운 듯 쏠려있다. 아몬드 모양의 커다란 눈은 녹색과 노랑, 갈색이 있으며 녹색의 눈을 가장 좋은 품종으로 생각한다. 털은 짧고 거칠며 황금빛이 도는 갈색에 검은 줄무늬나 표범 무늬, 고등어 무늬를 하고 있다. 꼬리 끝은 검은색. 리 와우의
【코코타임즈】 통통하고 말랑말랑한 볼살, 익살스러운 표정들. 시바견 인기가 날로 늘고 있다. SNS 채널들을 보면 유명 셀럽들의 반려동물로, 어떤 때는셀럽들보다 더 유명한 스타견이 돼 있기도 하다. 원래 이름은 시바 이누(shiba inu). 하지만 줄여서 시바, 또는 시바견으로 부른다. 일본어로 시바(しば)는 ‘작은 것’, 또는 ‘잔디’를 뜻한다. 산악지역에서 작은 야생동물을 잡아먹으며 지내던 사냥개였다. 한국엔 진돗개, 일본엔 시바견 서식지에 따라 기후현의 미노(Mino) 시바, 시마네현의 산인(Sanin) 시바, 나가노현의 신슈(Shinshu) 시바 등 세 종류로 나누었다. 오늘날의 시바는 신슈 시바에 가장 가깝다. 1937년 원산지인 일본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됐으며, 우리나라의 진돗개처럼 일본 국민견으로 절대적 사랑을 받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멸종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었지만, 폭탄 투하에서 살아남은 시바견들을 시골 외진 곳으로 이동시켜 번식 프로그램을 진행해 다시 개체 수를 늘릴 수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 웃는 모습이 천진스럽고 귀여워 해외 여러 나라에서도 인기가 많다. AKC(American Kennel Club Miscellaneous
【코코타임즈】 우리에게 친근한 대형견 '리트리버'는 크게 래브라도 리트리버와 골든 리트리버로 나뉜다. 우선 이 둘은 서로 출신이 조금 다르다. 래브라도 리트리버는 캐나다의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지역에서 어부들이 생선을 회수해 오는데 사용한 견종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고 있다. 수중 활동을 하는 능력이 탁월하며 날씨 변화를 잘 견딜 수 있는 피부와 털, 수달의 꼬리처럼 생긴 꼬리가 이 견종의 특징. 특히 털은 짧은 털이 촘촘하게 뒤덮여 있으며 거친 느낌이 든다. 속털은 날씨 변화를 견디게 해 주는 역할을 하며 색깔은 검은색, 황색, 적갈색, 초콜릿색 등으로 다양하다. 반면, 골든 리트리버는 1865년 영국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노란색 리트리버로부터 시작된다. 이후 여러 번의 이종교배를 거쳐 오늘날의 골든 리트리버 종이 탄생하였다. 당시 영국 남성들이 즐겨하던 사냥 같은 야외활동에 함께 했다고 한다. 이 두 리트리버가 비슷하면서도 다른 분위기를 풍기는 이유다. 하지만 사냥을 하던 리트리버의 기원에서 알 수 있듯 둘 다 단단한 몸집과 뼈, 뛰어난 체력 등 건강한 신체조건을 지니고 있다. 보호자와 함께 몇 시간이라도 놀고 산책할 수 있으며 보호자에게 정신적인 안정감도 줄
【코코타임즈(COCOTimes)】 【코코타임즈】 셀커크 렉스(Selkirk Rex)는 비교적 우람한 골격에 중간 크기의 고양이. 근육질의 몸을 가지고 있다. 보기 좋은 둥근 형태의 머리 모양이며, 전체적으로 몸의 뒷부분이 약간 치켜 올라간 직사각형의 체형이다. 곱슬거리는 털과 턱수염을 지닌 셀커크 렉스의 빛깔은 실버, 베이지, 라일락, 브라운, 검정, 초콜릿색 등 매우 다양하다. 길이는 단모종과 장모종 두 가지로 나뉜다. 셀커크 렉스는 1987년 미국 몬타나 한 유기동물 보호센터에서 돌연변이로 태어나면서부터 시작된다. 그래서 그 이름도 주변에 있던 셀커크산의 이름을 따서 불리게 되었다. 아메리카쇼트헤어, 브리티시쇼트헤어, 이그저틱, 페르시아고양이 등이 섞였다. 국제고양이협회(TICA)에는 1992년에, 2000년에는 국제고양이애호가협회(CFA)의 공인 받았다. 라펌이나 코니시 렉스 등 짧고 곱슬거리는 털을 가진 다른 고양이들에 비해 장모의 셀커크 렉스 털은 더욱 풍성하고 길다는 특징이 있다. 셀커크 렉스가 성묘가 되면서 곱슬 거리는 털은 직모 형태로 풀릴 수 있지만, 수염은 끝까지 변함없는 곱슬을 유지한다. 장모종 단모종 모두 털 빠짐은 거의 없는 편이다.
【코코타임즈】 불어로 ‘나비’라는 뜻인 ‘빠삐용(Papillon)’. 이 품종의 활짝 펴진 두 귀가 나비의 날개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이다. 영국에서는 버터플라이 스패니얼이라고도 부른다. 소형 스패니얼계가 조상견이며, 개량을 통해 16세기에 태어났다. 19세기에 접어들면서는 바짝 선 귀를 가진 빠삐용과 처진 귀를 가진 파렌 빠삐용 두 종류로 나뉘게 됐다. 프랑스 루이 14세 시대, 귀족층에게 애완견으로 인기가 많았다. 두 귀는 약간의 웨이브기가 있는 털로 덮여있다. 몸집은 20-28cm 정도이며, 적당히 길고 풍성한 흰 털을 바탕으로 블랙, 탄, 오렌지, 레드 등의 얼룩이 있다. 귀와 꼬리, 앞다리 뒷부분, 가슴 등의 장식모와 체구, 걸음걸이에서 우아함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느긋한 산책이나 집에서 조용히 지내는 생활은 어울리지 않는다. 활발하고 에너지가 넘치기 때문에 많은 운동량을 필요하다. 또한, 단일모이기 때문에 추위에 약한 편이다. 개 심리학자 스탠리 코렌 교수의 저서 'The Intelligence of Dogs'에 따르면, 빠삐용이 영리한 개 8위를 차지했다. 훈련이 쉽고 지능적이면서도 활발하고 다정한 성격을 갖고 있다. 주인에 대한 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