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전세계에서 처음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던 홍콩 포메 반려견이 결국 숨졌다. 17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 동물복지당국은 반려견 주인이 "어제(16일) 개가 사망했다는 사실을 전해왔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반려견 주인은 강아지 사인 확인을 위한 부검 의사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려견 주인은 60대 여성으로 지난달 25일 확진 판정을 받고 병원에 입원했다가, 완쾌 판정을 받고 지난 8일 퇴원했다. 당시 주인과 함께 생활했던 이 포메라니안 역시 비강과 구강 검사에서 '약한 양성' 반응이 나왔다. 개는 지난달 26일부터 정부 시설에 맡겨져 있다가 지난주 두 차례 검사에서는 '음성' 판정을 받고 14일 집으로 돌아왔다. 홍콩당국은 "이 강아지 체내에서 항체를 찾기 위해 혈청 검사를 진행했지만 코로나19 항체는 발견되지 않았다"며 "다른 코로나바이러스 질병에 감염된 사람도 일부 무증상이거나 경증 사례에서는 항체가 발달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전했다. 홍콩당국은 이어 "반려견이 사람에게서 감염됐다고 해서 반려동물이 감염의 원천이 된다거나 병에 걸린다는 증거는 없다"며 "어떤 상황에
【코코타임즈】 KBS-2TV '개는 훌륭하다'(이하 '개훌륭')에서 강형욱이 반려견 키우기의 가장 중요한 사실 한가지를 일깨워주며 견주와 보호자들에 경종을 울렸다. 지난 16일 방송에서는 6마리의 대형 맹견들이 함께 사는 고민견 머루네 두 번째 이야기가 펼쳐졌다. 몸집도, 문제 행동도 역대급인 이번 교육을 진행하면서 강형욱은 "반려견의 성향 파악과 키우는 환경이 반려견을 키우는 데 있어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를 수차례 강조했다. 먼저 낯선 사람을 공격하는 고민견 머루에 대해 강형욱은 "코카시안 오브차카 종의 성향상, 보호자를 지키기 위해 외부인에게 다분히 공격적일 수 있음"을 알렸다. 반려견의 성향을 알면 문제 행동의 원인을 이해하고 바로 잡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 이에 강형욱은 머루를 기둥에 묶고 서서히 접근해가는 '친해지기' 교육에 돌입했다. 자신에게 가까이 올수록 매섭게 달려드는 머루에게 강형욱은 최소한의 방어만 취했다. 이는 외부인이 공격대상이 아니라 믿을 수 있는 사람임을 일깨워주기 위한 것. 쉴 틈 없이 공격하다 어느 순간 머루는 경계심을 조금씩 풀어나갔고, 결국 강형욱 곁에서 얌전히 앉아 간식을 받아먹는 진풍경을 보여주었다. 이어 원수지간처럼
【코코타임즈】 경찰이 '무자격 의료행위 방지를 위한 규제 강화'를 농림축산식품부에 공식 건의했다. 지금도 횡행하고 있는 동물 자가진료를 둘러싼 문제에 대한 해결을 요구한 셈이다. 특히 이 문제는 현재 수의계 현안인 '동물병원 전자처방전 발급' 의무화 논란은 물론 향후 제기될 수의계 '의약분업' 이슈와도 연결되는 사안이란 점에서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부산 남부경찰서는 16일, '반려동물에 대한 불법 자가진료행위 관련 제도 개선 건의문'을 농림축산식품부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에 농림부도 "동물복지 등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만큼 계속해서 제도 개선 협의를 강화하겠다"면서 "보건복지부와도 협의하고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 남부경찰서는 지난달 압수수색을 통해 부산 수영구 주택 2곳에서 모자(母子)에게 불법 사육되고 있던 고양이 253마리와 함께 일회용 주사기와 링거액 등을 대거 발견하면서 무자격 의료행위를 한 정황을 적발했다. 경찰은 이에 따라 지난 13일, 그 모자를 무허가 생산업, 동물학대, 수의사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기소의견으로 송치했다. 이어 농림부에 보낸 건의문에서 △일부 동물약국 운영자나 반려동물을 키우는 시민들의 반려동물에 대한 주
"동물병원을 처음 시작하면서 생각했어요. 동물들도 사람처럼 암 치료를 받을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 다행히 지금 어느 정도는 목표를 이뤘네요." 헬릭스동물메디컬센터 황정연 대표원장은 국내 최초로 대학병원에서 사용하는 장비와 동일한 방사선치료장비를 도입한 이유를 묻자 이렇게 대답했다. "사람들은 병원에 갈 때 불안감이 있잖아요. 동물도 마찬가지입니다. 동물들도 편안하고 보호자들도 불편하지 않도록 전직원 친절 서비스는 기본이고 병원 인테리어도 하나하나 신경 썼죠." 어렸을 때부터 동물을 좋아했다는 황 원장은 지난 2010년 당시 국내 최대 규모 동물병원인 헬릭스동물메디컬센터를 개원했다. 그리고 동물들도 언제든지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연중무휴 24시간 진료를 도입했다. 동물들에게도 최고수준의 의료복지를 누리게 해주고 싶은 마음에서였다. 서울 서초본원을 포함해 송파분원과 일산분원은 물론 최근 중구에 개원한 동물암센터까지 모두 치료가 쉽지 않은, 중증 질환을 앓고 있는 동물들을 배려한 것들. 사실 그가 수의대를 졸업하고 20여년전 처음 동물병원에서 임상을 시작했을 때만 해도 강아지, 고양이가 병에 걸리면 제대로 치료받기 힘들었다. 치료할 수 있는 의료기기도
동물병원의 황당한 진료 탓에 강아지, 고양이가 영문도 모른채 죽거나 장애를 입는 의료사고가 속출한다. 특히 사전 검사도 제대로 않은 채 마취와 수술을 하거나, 항생제나 스테로이드제를 지나치게 처방해 부작용을 일으키는 등 전문성 부족에 따른 의료사고도 많다. 이를 계기로 수의계에도 "원인은 다양하다"면서도 "전문과목으로 세분화된 의료계처럼 수의계도 하루 빨리 '전문의'(專門醫)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다. KBS는 12일, '제보자들: 피해 속출, 어느 동물병원의 황당한 진료' 를 통해 혈액 검사나 몸무게 측정 등을 하지 않은 채 마취를 하고,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스테로이드를 과다 사용해 강아지, 고양이들을 죽게 한 동물병원들의 실태를 고발했다. 시추 '오디' 보호자 A씨(경남 통영시). 오디의 생식기에서 노란 이물질이 나와 동네 동물병원을 찾았다. 수의사는 '자궁축농증'이라며 수술을 진행했다. 하지만 오디는 수술실에 들어간 지 5분 만에 세상을 떠났다. A씨 가족들에 따르면 이 수의사는 수술 전 12세 노견인 오디의 체중을 재지도, 피 검사 등 기초 검사도 하지 않은 채 바로 마취 후 수술을 했다는 것. 가족들은 또 "수술실인지 알 수 없
【코코타임즈】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퍼지고 있고, 최근 홍콩에서 반려견도 감염됐다는 판정이 나면서 반려동물 눈과 귀, 털을 닦아주기 위한 세정제 및 살균제, 탈취제 등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판매량도 빠르고 늘고 있다. G마켓에 따르면 최근 한달(2월3일~3월4일) 기준, 살균·탈취제 판매량은 전월 대비 122%, 지난해 대비 164%나 늘었다. 또 구강 위생용품은 26%(46%), 눈·귀 위생용품은 28%(44%) 각각 늘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 제품들조차 함정이 있어, 구입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고 얘기한다. 특히 '반려동물 전용'이나 '무독성' '친환경' 등 허위 과장광고가 너무 많다고 지적한다.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탈취제, 살균제 대다수는 사람에 대한 안전성 검증을 마친 제품들이다. 하지만 동물에 대한 안전성까지 검증한 제품은 찾기 힘들다. 특히 후각이 민감하고 혓바닥으로 핥는 습관이 있는 반려동물을 위한 살균제 등을 구입할 때는 신중해야 한다. 예를 들어 '차아염소산'의 경우 소독 효과가 있으면서 안전성 검증을 마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100% 안심할 수 있는 성분은 아니라는 것. 양이삭 수의사는 "제품 설명에 주요성분이 기재돼 있
제14대 인천시수의사회장에 박정현 수의사가 당선됐다. 1975년생으로 충북대 수의대를 나와 연수동물메디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그는 '동물병원 전자처방전 발급 의무화'와 관련, "오로지 약사들 이권을 위해 졸속 처리된 만큼 명분도 없고 실익도 없으며 반드시 폐기돼야 한다"며 강경 투쟁을 예고했다. 또 인천시수의사회 유기동물보호소를 활성화, 수의사들의 사회공헌 등을 부각시켜 보호자들과도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코코타임즈】 대한수의사회(회장 허주형) 새로운 집행부의 향후 과제로 광견병 대국민 홍보 강화 및 수의사 전자처방전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대한수의사회 제26대 집행부 인수위원회(위원장 한태호)는 8일 서울 웨스턴동물의료센터에서 회의를 열고, "정부가 봄과 가을에 집중 지원하는 광견병 예방접종을 연중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수공통전염병인 광견병은 3개월령 이상 강아지에게 매년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 반려견에게 광견병 예방접종을 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되지만 이를 모르는 사람들도 많다. 한 인수위원은 "광견병 예방접종을 일정 기간을 정해서 진행하다보니 접종률이 떨어진다"며 "도시지역 일괄 광견병 접종을 폐지하고, 보호자들을 상대로 광견병 접종의 필요성을 적극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달부터 시행되고 있는 '수의사 전자처방전 발급 의무화'에 대한 개선 필요성도 제기됐다. 전자처방전 시행 이후 강아지, 고양이 등을 진료하는 동물병원 수의사들을 중심으로 "약사는 동물약을 맘대로 팔아도 되고, 정작 수의사들은 약국에서 소매가로 약을 구입하는 것도 모자라 처방전까지 작성하라고 한다" 등의 반발이 나오
독일 고양이 사료 '레오나르도'가 국내에서도 유통된다. 사료에 비타민C 보충제 성분과 향료를 입혀 고양이가 사료를 씹을 때 해당 성분들이 치아 사이에 박테리아 형성을 억제시켜 치석과 치주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 수입업체 측 설명. 윤성경 갤럭시펫 대표는 "영양이 풍부한 사료를 고양이가 맛있게 먹을 수 있고, 사료를 먹으면서 고양이에게 쉽게 발생하는 치석, 치주염을 자연스럽게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레오나르도 제품을 생산하는 독일 베비탈(Bewital)은 농장을 직접 운영하면서 ISO 14001 인증, 환경 보호, 동물 보호 및 복지에 관심을 갖고 후원하는 기업으로 1963년에 설립돼 2대째 이어져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코코타임즈】 동물용의약품 전문기업 베토퀴놀코리아는 한 번에 반려동물 귀 세정을 끝낼 수 있는 '소노틱스'(Sonotix)를 출시한다. 소노틱스는 민감한 반려동물의 귀 건강을 생각해 수소이온지수(pH) 중성으로 만들어 저자극이며, 합성보존제인 파라벤을 첨가하지 않았다. 수의계에 따르면 강아지, 고양이의 귀는 사람과 달리 수직이도와 수평이도 두 부분이 L자 구조를 이루고 있어 공기순환이 잘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귀 질환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꾸준한 관리가 중요하다. 실제로 통계에 따르면 외이염이 동물병원 방문의 20%를 차지할 만큼 다발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소노틱스는 3중 세정 작용, 피지 조절, 보습·진정, 항균 효과를 가진 특별한 방식으로 제조됐다. 현재 귀 질환을 앓고 있거나 혹은 빈번한 재발로 고통 받는 반려견 및 반려묘의 귀 건강 리밸런싱(재조정)을 도와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노틱스의 효과는 여러 연구결과를 통해 증명됐으며, 국내 동물병원을 대상으로 진행된 필드테스트에서도 큰 호응을 얻었다"고 업체 측은 밝혔다. 베토퀴놀 관계자는 "소노틱스는 세균, 녹농균 및 곰팡이성 귀 질환 모두에 항균 효과를 갖고 있다"며 "기존의 각 원인균에 따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