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미국 펜실베니아주의 검안사* 다니엘 크럴(Danielle D. Crull)은 안과에 가기를 싫어하는 아이들 때문에 고민이 컸다. 눈이 나쁜데도 안경을 쓰기 싫어, 떼를 쓰는 아이들도 많았다. 고민 끝에 크럴 씨는 영리한 반려묘 트러플(Truffles)을 보고 한 가지 꾀를 냈다. (*미국에서 안경을 맞추기 위해서는 먼저 검안사에게 시력검사를 받아야 한다. 검안사가 시력검사를 진행한 후 발급한 시력진단서가 있어야 안경을 구매할 수 있다.)(편집자 주) 트러플에게 안경을 씌워서 보여주기로 한 것. 아이들의 긴장과 경계를 풀기 위한 나름의 전략이었는데, 그 결과는 예상 밖의 대성공! 묘주 다니엘 크럴 씨(좌측)과 반려묘 '트러플'(우측) 수줍음 많은 어린이가 오면 ‘트러플의 안경을 보라’면서 안경에 익숙해지도록 한다. 그 다음 “이제 트러플한테 네 안경도 보여줘”라며 아이 스스로 안경을 써 보도록 유도하는 것. 처음에는 조산아들에게 맞춰 제작된 초소형 안경을 씌워 보았다. 트러플의 얼굴에 딱 맞는 사이즈였기 때문. 이제는 트러플도 안경에 적응한 상태라 주고객(?)인 어린이들에게 맞는 안경을 쓰고 있다. 하지만 처음에는 트러플도 새 안경에 적
【코코타임즈】 크로아티아 자다르 대학교 연구팀이 3,000년 된 철기 시대 무덤을 발견했다. 하지만 이 탐사가 화제가 된 것은 탐지견을 동원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갈 땅속 유적을 순식간에 찾아낸 특별한 과정 때문. 베드라나 글라바스(Vedrana Glavaš) 고고학과 부교수는 최근 벨레비트(Velebit)산맥에 위치한 요새에 묻힌 관을 발굴했다. 그는 근처 매장지에서 기원전 8세기 것으로 추정되는 무덤을 발견한 후 탐지견 훈련사 안드레아 핀터(Andrea Pintar)씨에게 도움을 청했다. 가까이에 다른 유적지가 더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 사진 출처: 크로아티아 자다르 대학교 고고학과 이에 핀터는 군견, 경찰견으로 흔히 쓰이는 벨지안 말리노이즈 한 마리, 저먼 셰퍼드 한 마리를 데려왔다. 놀랍게도 이 개들은 냄새만으로 새로운 무덤을 여섯 개나 발견해냈다. 거대한 선돌이 둥글게 줄지어 놓인 지름 5m의 환상 열석 중앙에 유골이 담긴 관들이 묻혀 있던 것. 관 안에는 손가락, 발 같은 작은 부위의 뼈가 모여 있었다. 글라바스 교수는 발견된 유적이 서민 집안의 무덤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혹독한 날씨 때문에 농사 짓기에 부적합한 지역이었기 때문.
【코코타임즈】 해외에서는 환자들의 정신 건강을 위해 병원, 양로원, 노인전문요양센터 등에 동물매개치료(animal therapy)를 폭넓게 도입하고 있다. 효과가 아주 높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매개치료에 주로 활용하는 동물은 리트리버 등 견종. 훈련도, 실제 활용도 개만한 동물을 발견하기 어려워서다. 하지만 최근 영국의 한 자선단체(Pets As Therapy) 소속 고양이 치료사가 일명 '런던 야옹이'(Mr. London Meow)로 불리며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 출처: 페이스북(@londonmeow) 공인(?)된 '치료사'답게 닥터가운을 입은 단정한 차림으로 2주에 한 번씩 런던 곳곳의 병원을 방문한다. 할머니 할아버지, 심지어 어린이 환자들도 이 치료사를 보는 것만으로도 오랜만에 웃음을 되찾는다. 독일의 심리학자 안드레아 베츠(Andrea Beetz) 연구팀에 따르면 동물을 쓰다듬는 것만으로도 혈압이 떨어지고 스트레스지수가 낮아지고 우울증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야옹이를 품에 안고 토닥이는 짧은 순간이 환자들에게는 큰 위안과 기쁨이 되는 것. 의료진들도 어느새 야옹이의 방문에 익숙해져 지금은 2주에 한 번 돌아오는 방문일을 손꼽아 기다린다. htt
【코코타임즈】 중국 청두의 한 판다 카페가 강아지를 판다로 속이고 영업해온 것으로 밝혀졌다. 가짜 판다의 사진을 본 네티즌 수사대가 생김새며 하는 행동이 영락없는 개라는 사실을 꼬집어낸 것. 사진 출처: Asiawire 중국의 상징인 판다(좌측)와 문제의 가짜 판다(우측) 카페 주인 황(Huang) 씨는 차우차우 6마리를 분양받아 염색시킨 사실을 시인하면서도 "문제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일본에서 수입한 고가의 염색약을 사용해 동물들에겐 해가 없다는 것. 한 마리당 1천500위안(한화 약 25만원)이나 들인 특수염색이라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사진 출처: 10daily "중국의 진돗개" 차우차우 하지만 동물보호단체 PETA의 아시아 대변인 키스 궈(Keith Guo)는 "염색은 사람이 했을 때나 멋져 보이는 것"이라며 "눈, 코는 물론 털과 피부를 손상시킬 위험을 무릅쓰고 사람의 욕심대로 염색시켜선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동물은 인간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는 것. 특히 이 경우에는 동물을 '상업적'인 용도로 이용한 것이라 더 큰 논란에 부딪혔다. 동물 염색의 위험성은 이미 여러 차례 지적된 바 있다. 올초에는 태국에서 포메라니안의 귀를 염색
【코코타임즈】 두 얼굴의 '아수라 고양이' 비너스(Venus the Two-Faced Cat). 그는 인스타그램 팔로워 200만 돌파를 앞둔 스타다. 두 눈을 의심케 하는 외모로 2012년 처음 유명세를 탄 이후부터 지금까지 꾸준한 인기를 누리고 있는 것. 초기엔 그 특이한 외모 때문에 포토샵 의혹도 있었다. 하지만 유투브 영상으로 이를 해명한 이후 이제는 비너스의 '반인반수' 특질을 아니라고 하는 사람은 없다. https://www.youtube.com/watch?v=qSIOXy4CAdo 비너스는 양쪽 피부와 양쪽 눈 색깔이 다르다. 이렇게 태어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할까? 2009년, 비너스를 입양한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크리스티나, 크리스 커플은 비너스가 '키메라'라고 말했다. 양쪽 얼굴의 DNA가 다른 돌연변이라는 것. 물론 그런 경우에도 양쪽 얼굴이 다르게 생길 확률은 100만 분의 1에 못미친다. 그만큼 희귀한 케이스인 셈. 드문 확률이긴 하지만 다른 종에서도 몸 색깔이 두 가지인 동물이 간혹 나타나곤 한다. 지난 9월 미국 메인주에서 투톤 컬러의 랍스터가 발견되어 화제를 모은 바 있다. 5000만분의 1로 태어난 돌연변이인 것. 사진 출처: N
【코코타임즈】 그림으로 그린듯한 하트 눈을 가진 달마시안 찰리. 사진 출처: 인스타그램(@charlie.the.dalmatian)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헤일리 모건(Haleigh Morgan) 씨는 2년 전, 생후 7주 된 달마시안 ‘찰리’를 보고 첫 눈에 반했다. 강아지는 처음 키워 보는 거라 들뜬 마음에 SNS를 찰리 사진으로 도배하다가 아예 찰리 전용 계정을 개설하기까지 한 것. 당시만 해도 찰리는 여느 달마시안과 다름 없어 보였다. 하지만 4개월차부터 조금씩 외모에 변화가 생겼다. 오른쪽 눈가에 하트 모양 점 무늬가 생긴 것. 시간이 지날수록 점의 색깔과 모양이 더욱 선명해졌다. 생후 4개월(좌측), 생후 1년(우측) 모습 그러다 생후 1년부터는 양쪽 눈에 선명한 하트 무늬가 생겼다. 찰리가 유명해진 건 이때부터다. 우연히 찰리의 사진을 본 네티즌들이 사진을 무단으로 퍼나르면서 인플루언서(influencer)가 된 것. 모건 씨는"제가 아이라이너로 하트 그림을 그린 것 아니냐고 의심하는 사람들도 있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보기만 해도 사랑스럽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대부분이라 지금은 악플에 개의치 않는다고. 사진 출처: 페이스북(@Valspar P
【코코타임즈】 호주 멜버른 서남쪽의 항구도시 질롱의 한 주택가. 유기묘 신고를 받고 출동한 구조대원들은 깜짝 놀랐다. 고양이의 귀가 네 개고, 오른쪽 눈은 기형이었기 때문. 즉시 안구 적출 수술이 필요한 만큼 심각한 상태였다. 구조대는 프랭크를 지역 동물보호단체(Geelong Animal Welfare Society)로 이송했다. 이 고양이는 거기서도 독특한 외모 때문에 단번에 큰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수술을 마친 이 고양이를 본 자원봉사자 조지아 앤더슨(Georgia Anderson)은 단번에 이 고양이의 매력에 빠져 버렸다. “수술 후 통증이 심했을 텐데도 제 얼굴에 얼굴을 부비며 가르릉거리는 모습이 사랑스러워 우리 집에서 돌보기로 했다”는 것. 사진 출처: 인스타그램(@frank_n_kitten) 이 고양이는 수술 후 생긴 봉합자국 때문에 ‘프랑켄키튼’(Frankenkitten)이란 이름이 붙었다. '프랑켄슈타인'에서 따온 별명인데 앤더슨 씨가 직접 붙인 것. 애칭은 '프랭크'. 당시 앤더슨씨 집에는 이미 고양이만 세 마리(합죽이[Toothless], 미나[Mina], 루시우스 말포이[Lucius Malfoy])에 더들리(Dudley)라는 이름이
1936년 이래 아무런 흔적을 찾을 길 없던 태즈메이니아호랑이. 그런데 최근 이 호랑이를 봤다는 목격담이 자주 나오고 있다. 사실일까? 실제로 태즈메이니아주정부 문서는 2016 -2019년 사이에만 8건의 목격담이 나왔다고 공식 확인했다. 사진 출처: CNN 태즈메이니아호랑이는 호주 태즈메이니아 섬에 서식하던 육식 동물이다. 캥거루, 코알라처럼 배에 새끼를 넣어 키운다. 태즈메이니아 주머니늑대라고도 하는데 몸집은 개와 비슷하다. 몸 길이 1m에 꼬리가 엄청 길어 그 길이가 50cm에 이른다. 몸통은 엷은 갈색이고 어깨부터 허리까지 검은 줄무늬가 있다. 이빨이 날카로우나 다리가 짧은 것으로 보아 왈라비, 새 등 작은 동물을 잡아먹고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출처: 태즈메이니아 박물관 1820년대 목축업이 시작된 이래로 태즈메이니아호랑이는 가축을 잡아먹는 유해동물로 몰렸다. 18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무차별 사냥으로 3천500마리 이상이 희생됐다. 그러다 태즈메이니아 주도 호바트 동물원에 감금되어 있던 마지막 개체가 1936년 7월에 사망한 것이 공식적인 마지막 기록. 그 후에도 태즈메이니아호랑이가 살아 있다는 확실한 증거는 아무 곳에도 없다. 그런데
【코코타임즈】 폴 레버리(30) 씨는 닥스훈트 '할소'(Harlso) 머리 위에 한 번은 장난감을 올려 놓았다가 이 아이의 놀라운 재주를 발견했다.이후 인스타그램(@harlso_the_balancing_hound)에 아보카도, 피자, 물병 등을 올린 할소의 사진을 지속적으로 업로드했다. 사진 출처: SWNS 그렇게 할소는 팔로워 11만을 돌파한 인스타그램 셀럽(celebrity이 됐다. 갖고 있는 나비넥타이만 300개가 넘는 자타 공인 '패셔니스타'이기도 하다. 트레이드 마크인 나비넥타이는 머리 위에 올린 물건 색과 맞춰 코디한다. 공식 홈페이지(https://harlso.com/)에서 굿즈(goods)로 판매하고 있기도 하다. 머리 위에 올리는 물건의 종류는 가리지 않는 편. 무엇이든 일단 머리에 올려 보는데 첫 번째 시도에 성공하는 확률이 90%가 넘는다고. 단 너무 무겁거나 위험한 물건은 피한다. "머리 위에 라떼 잔 올리기 미션도 가뿐히 성공!" 레버리 씨는 "할소가 재주를 부리는 비결을 묻는 연락이 많이 오는데 아무래도 타고난 것 같다"고 밝혔다. 보기에는 쉬워 보여도 따라하기는 쉽지 않은 재주인 것. 뜨거운 인기를 증명하듯 세계기네스협회(Gu
【코코타임즈】 어느덧 가을이 우리 곁으로 성큼 다가왔다. 선선한 기온 탓에 야외 활동하기에 쾌적한 계절. 하지만 일교차가 유독 커서 면역력이 떨어지기 쉬운 시기이기도 하다. 이런 때일수록 반려동물 건강 관리에 각별히 신경써야 할 터. 올 가을, 반려동물에 꼭 필요한 아이템들을 알아보자. 선풍기 시장 점유율 1위로 유명한 신일은 올해 펫 가전 브랜드 '퍼비'를 론칭하고 스파&드라이, 발 세척기 등을 출시했다. '스파&드라이'는 목욕, 마사지, 드라이가 모두 가능한 반려동물 전용 욕조다. 작동 원리는 간단하다. 물 속에 공기를 분사해 만들어진 공기 방울로 반려동물을 마사지하고 산책에서 생긴 먼지를 꼼꼼히 제거하는 것. 욕조 바닥판에서 나오는 바람으로 반려동물 털을 1차로 건조한 다음, 호스에 전용 브러시를 연결해 빗어주면 털이 뽀송뽀송해진다. 미용과 감기 예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제품. 산책 후 위생 관리에 탁월한 반려견 전용 자동 발세척기도 선보였다. 반려견 발을 넣으면 내부의 회전 솔이 발을 씻겨 주는 원리. 욕조에 쪼그려 앉아 반려견을 씻기지 않아도 되어 편리하다. 12㎏ 이하 소형견용, 12㎏ 이상 18㎏ 이하 중형견용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