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 페이스북(@londonmeow) 공인(?)된 '치료사'답게 닥터가운을 입은 단정한 차림으로 2주에 한 번씩 런던 곳곳의 병원을 방문한다. 할머니 할아버지, 심지어 어린이 환자들도 이 치료사를 보는 것만으로도 오랜만에 웃음을 되찾는다.
독일의 심리학자 안드레아 베츠(Andrea Beetz) 연구팀에 따르면 동물을 쓰다듬는 것만으로도 혈압이 떨어지고 스트레스지수가 낮아지고 우울증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야옹이를 품에 안고 토닥이는 짧은 순간이 환자들에게는 큰 위안과 기쁨이 되는 것. 의료진들도 어느새 야옹이의 방문에 익숙해져 지금은 2주에 한 번 돌아오는 방문일을 손꼽아 기다린다. https://www.youtube.com/watch?v=UTY6c4I2CTQ 묘주 이사벨 세라핌(Isabel Serafim) 씨는 "야옹이가 오히려 치료 동물로 제격"이라 한다. 낯선 사람과 잘 어울리는데다 적응력까지 좋기 때문. 특히 미스터런던의 경우, 느긋하면서도 장난기 많은 성격이라 이 생활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다.
게다가 공개적인 자리에서 떨지 않는 예능 기질까지 다분하다. 그러다 보니 방송계 러브콜도 이어지고 있다. 
조만간 런던고양이(Mr. London)라는 별명도 바꿔야 할 지 모른다. 런던에만 있는 게 아니라 프랑스, 네덜란드 등 이미 7개국을 방문했기 때문. 기회만 된다면 언제든 세계 각국의 환자를 만날 준비가 되어 있다. 환자들의 심장을 강타한 깜찍한 런던 야옹이의 일상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통해 만나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