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중국 펫시장은 여전히 발전 속도가 눈부시다. 아직도 연간 성장률이 20% 가까이나 된다. 특히 돈을 아끼지 않으면서 사료도 천연 재료로 만든 사료, 아이 건강을 높여줄 처방 사료와 맞춤 사료, 사람 먹는 것과 비슷한 휴머니제이션(humanization) 사료 선호도가 점점 높아간다. 18일 코트라(KOTRA) 광저우무역관에 따르면 중국의 2020년 펫시장은 2천988억 위안 규모. 전년보다 18,5%나 커졌다. 펫푸드만 해도 미국에 이어 명실공히 세계 2위다. 일본 시장보다 크다. 전국에서 6천294만명 반려인들이 1억 마리가 넘는 반려동물을 키운다. 개와 고양이가 벌써 비슷한 수준에 이르렀다. 개는 51%, 고양이는 46%. 반려동물 1마리당 연간 소비액도 2020년 6천653위안으로 커졌다. 전년 소비액(5천561위안)과 비교해도 19.6% 증가한 정도다. 사료와 간식 시장이 가장 크다. 게다가 영양에 초점을 맞춘 간식, 건강보조식품 비중이 최근 빠르게 커지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의 발육과 성장을 돕거나 치료 보조용으로 활용되는 건강보조식품들이 각광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의 털·고관절·위장 건강을 지켜주는 보조식품과 비타민 수
【코코타임즈】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우리 반려생활엔 어떤 변화가 가장 두드러지고 있을까?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하 '농정원')은 그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최근의 반려문화 트렌드 변화를 온라인 빅데이터 약 3만건으로 분석해봤다. 그랬더니 크게 2가지가 나타났다. 하나는 반려동물 펫케어서비스에 대한 관심, 다른 하나는 반려동물을 동반한 여행과 캠핑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것. 펫장례, 펫시터, 펫셔리 등 펫케어서비스 조회수 확 늘었다 11일 농정원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전에는 펫케어(돌봄)서비스에 공감하고, 관련 서비스 도입을 환영한다는 의견이 소수였다. 15%에 불과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엔 펫케어서비스 긍정 평가가 2배 이상 증가한 32%로 나왔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 장례', '펫시터' 등 의료·돌봄 산업이 '펫셔리' 등 프리미엄 서비스와 함께 반려동물 이색문화로 높은 관심을 받은 것. 특히 펫장례'는 무려 1만4천411건이 언급되며 이색문화 빅데이터 통계 1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 반려동물 평균 연령이 확 높아지며 노령견 노령묘가 급격하게 늘고 있고, 그에 따라 사람처럼 장례를 치러주는 비율이 높아가고 있다는 증거다. 또 반려동물
【코코타임즈】 반려동물에 주는 사료는 한 번 정하면 잘 바꾸지 않는다는 통념과 달리, 실제로는 반려동물을 키우며 한 번 이상 사료를 바꿔봤다는 비율이 압도적이다. 거의 80%에 가깝다. 원재료 성분 등을 꼼꼼이 살펴보고, 또 주변 추천까지 받아가며 더 좋은 사료를 찾아 먹이려 한다는 것. 이와 함께 보호자의 66% 정도가 사료와 함께 건강식품도 함께 먹이고 있는데, 종합영양제 외에도 관절/뼈, 위장, 구강, 피부/모발, 눈 영양제에 대한 관심이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자동장난감과 이동백팩(back pack), 자동급식기 등을 많이 샀으나, 앞으로는 드라이룸, 자동화장실, 모니터링 CCTV, 유모차, 공기청정기 등을 두루 사용해보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다. '펫(pet) 가전 황금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는 얘기다. 오픈서베이, '반려동물 트렌드 리포트 2021' 발표 국내 모바일 리서치 '오픈서베이'(open survey)는 19일, '반려동물 트렌드 리포트 2021'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코로나19 장기화로 우리나라에서도 반려동물 키우는 비율이 소폭 상승했다”고 전했다. 올해 반려동물 키우는 가구가 전체의 27.2%로 지난해보다 3.5%
【코코타임즈】 아시아 최대 규모의 중국 B2B 펫 전시회 CIPS(China International Pet Show)가 12일 광저우에서 시작됐다. 오프라인 전시회는 15일까지, 온라인 전시회는 20일까지 진행되며 CIPS 홈페이지(바로가기)를 통해 열람 가능하다. 온라인 전시회를 통해서도 다양한 전시 업체들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으며, 비즈 허브(Biz Hub)에 참여해 업체들을 소개받을 수 있다. CIPS는 지난 6월과 7월에도 4회에 걸쳐 온라인 비즈니스 미팅 세션을 진행한 바 있으며, 78개 국가의 바이어들이 참여해 2천개의 온라인 미팅을 성사시켰다. 이와 관련, CIPS측은 "지난 온라인 세션 설문조사에서 바이어들의 85%는 온라인 거래가 앞으로 새로운 트렌드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고, 92%는 온라인 세션이 사업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한편, 1997년에 86개 업체의 전시로 시작된 CIPS는 2019년 1천387개 업체가 참가했다.
【코코타임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혼돈에 빠진 전세계 pet-사료산업에도 소비자 트렌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가장 중요한 메인 트렌드는 건강지향적 단순 식단, 프리미엄급 고급 식단, 환경 친화형 식단 등 3가지. 반려견 사료 관련 글로벌 소비 트렌드에 대해 미국 반려동물 전문매체 <Pet Industry News>는 관련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두루 모아 이같은 키워드 3가지를 뽑아냈다고 7일 밝혔다. 건강과 영양에 초점 맞춘, "단순한 식단" 가장 큰 트렌드 변화는 '건강한 식단', '단순한 식단'이다. 그 방향은 반려동물 헬스케어를 향하고 있다. 즉, 여러 가지 복잡한 원료와 첨가제로 가공된 식품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보다는 영양과 건강 증진에 초점을 맞춘, 단순한 사료를 더 선호하기 때문이다. 미국 레드반 펫 프로덕트(Redbarn Pet Product)의 린지 트레이시(Lindsay Tracy) CEO는 “건강에 좋은, 자연에서 바로 얻은 '클린 라벨'(clean-label) 제품에 대한 욕구가 점점 더 강해지고 있다”고 말한다. 사람도 그렇지만, 반려동물 사료에서도 건강과 위생이 음식을 고르는 가장 중요한 팩트가 됐다는 뜻이다. 프리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