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동물보건사' 국가자격시험이 내년 또 치러진다. 5개월 정도 남았다. 구체적인 일정은 시험 3개월 전에 공고된다. 현재는 정부가 구체적인 시험 일시와 장소를 검토하고 있지만, 내년 2월 26일(일요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KINTEX)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시험 과목도 Δ기초 동물보건학 Δ예방 동물보건학 Δ임상 동물보건학 Δ동물 보건·윤리 및 복지 관련 법규 등 4개로 지난해와 같다. 동물보건사 제2회 자격시험, 내년 2월 26일 유력...5개월 앞으로 다가와 그런데 문제가 있다. 동물보건사는 올해 2월, 첫번째 자격시험을 치렀다. 모두 2천907명이 응시해 최종 2천311명 합격했다. 합격률이 79.5%에 이른다. 당시 농식품부는 "필기시험 합격자가 처음엔 2천544명이었으나, 제출서류 심사 등 자격 검증 과정에서 233명이 탈락해 최종 합격자는 2천311명으로 집계됐다"고 설명했었다. 그런데, 합격자 대부분이 일정 기간 동물병원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특례대상자’(2천65명, 89.36%)였다. 이미 동물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들인 것. 대학에서 관련 전공을 공부한 이후 갓 졸업했거나 또는 졸업 예정이었던 합격자는 모두
【코코타임즈】 의치한약수. 즉, 의사-치과의사-한의사-약사-수의사. 의료계열 전문직에 대한 대학 수험생들 선호도 순서다. 그런데 최근, 수의사 선호도가 약사 선호도를 넘어섰다는 얘기도 들린다. 대학 수험생 합격 커트라인이 수의대가 약대보다 높아졌다는 것. 그만큼 수의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급상승하고 있다. "동물병원이 약국이나 한의원보다 낫다"는 얘기도 이미 한참 됐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수의계를 이끌어갈 미래의 주역, 수의대생들은 졸업 후 어떤 진로를 생각하고 있을까? 우리나라 수의대는 10개다. 서울대와 지역 거점 국립대들에 수의대가 1개씩 있다. 사립대로는 건국대가 유일하다. 여기 10개 대학 졸업생 500명 정도가 매년 수의사(DVM, Doctor of Veterinary Medicine) 면허를 딴다. 그 중 대부분은 동물병원 임상 수의사의 길을 걷는다. 수의대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것이 동물병원, 올해 2월 현재, 전국 동물병원 4천900여개에 근무하는 수의사만 약 7천600여명이다. 우리나라 수의사 전체의 35.2%. 하지만 은퇴자를 포함해 지금 현재 수의사 면허를 갖고 있는 이들 모두(약 2만1천여명)를 대상으로 한 비율일 뿐. 현실은 집중 현
【코코타임즈】 “세상에서 최고 명의(名醫)는 수의사다. 강아지 고양이에 어디 아프냐고 물을 수는 없지만, 그래도 바로 (병을) 알아낼 테니.” “The best doctor in the world is the veterinarian. He can’t ask his patients what is the matter-he’s got to just know.”-Will Rogers(1879~1935) 맞는 얘기고, 또 재밌는 얘기다. 하지만 모든 수의사가 ‘명의’는 아니다. 척 보기만 해선 “어디가, 진짜 아픈지” 바로 알아낼 수는 없으니. 오히려 ‘탐정’에 가깝다. 손으로 만져보고, 청진기로 들어보기도 하지만, 혈액검사 등 각종 검사도 필수다. 베일에 가려진 범인을 찾아내듯 여러 단서를 하나하나 꼼꼼하게 살피며 병을 찾아낸다. 전쟁터 ‘군인’일 때도 있다. 긴장하면 무작정 물고 할퀴고 도망가는 게 이쪽 아이들. 언제 어디서 총알이 날아올지 모른다. 초보 수의사들일수록 손에, 팔에, 얼굴에 상처를 달고 사는 것은 그 때문. 그래서 겉보기로 판단하면 오산이다. 하얀 가운 입고, 보호자와 웃으며 만나는 이면(裏面)엔 ‘녀석들’과의 또 다른 세계가 있다. 그래도 사랑으
【코코타임즈】 펫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펫푸드다. 하지만 주로 먹는 건식 및 습식 사료는 글로벌 회사나 국내 대형업체들이 시장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몇 개 업체들만 경쟁하는 과점(寡占) 시장인 것. 자본력이나 브랜드가 약한 스타트업들은 그래서 간식이나 영양제 시장쪽을 넘본다. 시장 규모는 훨씬 작지만, 펫푸드가 돈이 된다는 소문에 너도나도 이 시장부터 노크하는 것. 그래서 여긴 너무 많은 업체가 싸우는, 과당경쟁(過當競爭) 시장이다. 문제가 있는 제품들도 많다. 근거가 부족하지만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 “특정 질병이나 건강관리에 효과가 있다”고 홍보하는 제품들도 우후죽순이다. 펫푸드 검증 관리체계 부실... 품목허가 단계부터 안정성 문제는 공백 하지만 이들을 두루 다 검증하기엔 관리체계가 아직 부실하다. 펫푸드 품목허가를 내주는 과정부터 탄수화물이나, 단백질, 지방, 칼슘, 인 등 일부 성분 함량이나 비율만 따질 뿐. 영양학적 균형이나, 필요 성분이 충분한지, 독성물질이 잔류하고 있지나 않은 지는 검토 과정에서 도외시된다. 보호자들은 당혹스럽다. 업체가 제공하는 정보에 의존할 수밖에 없고, 이를 검증할 수단이 없다. 심하게 말하면 광
【코코타임즈】 동물병원 진료비가 비싸다는 얘기가 나온 건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특히 집에서 키우는 강아지 고양이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당뇨 고혈압 악성종양(암) 등 만성질환 중증질환 앓는 반려동물도 늘어난다. 장기 입원에다 대형 수술이라도 받게 되면 병원비가 수백만 원, 심지어 천만 원 넘는 사례도 나온다. 그런데 진료비 청구서를 뜯어보면 각종 검사비와 진료비에다 부가세 10%가 또 붙어있다. 사람 진료엔 붙지 않는 항목. 동물 진료비가 사람 진료비보다 비싸 보이는 결정적 이유 중의 하나다. 세계에서 드문 부가세 부과...“세수 늘리겠다”는 이명박 정부 작품 세계적으로 다른 나라들도 모두 그러는 것도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 반려동물에만 부가세를 부과하는 나라는 찾아보기 힘들다. 미국의 일부 주와 유럽연합(EU), 그리고 일본 정도다. 거기에 우리나라도 포함된다. 2011년 이명박 정부 때부터다. 당시 이명박 정부는 일부 야당과 수의사, 반려동물 보호자들의 거센 반대에도 반려동물 진료비에 부가세 10% 부과를 밀어붙였다. 국가가 관리하는 공공(公共)진료, 즉 ‘공중보건’은 사람에 해당하지, 동물에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 소 돼지 닭 등 ‘가축’ 진료는 부가
【코코타임즈】 펫산업은 우리나라 대표적 성장산업의 하나다. 도시 주요 상권마다 동물병원, 펫숍, 펫카페들이 몇 개씩이다. 반려인구가 늘면서 반려견 놀이터부터 펫테마파크, 펫장례식장 등 기반시설들도 빠르고 늘고 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엔 그런 경향이 더 빨라졌다. 온라인쇼핑몰부터 할인매장과 백화점, 심지어 동네 편의점 등까지 반려견 사료나 용품코너들이 넘쳐난다. 전체적인 불황 속에서도 펫산업은 거뜬하다. “펫산업은 경기변동에 비(非)탄력적”이란 얘기가 실감 난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 펫산업은 어느 정도나 커졌을까? 아쉽게도 아직 모른다. 추정치만 있을 뿐. 공급 측면에서도, 수요 측면에서도 정확한 통계가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국민은행 KB경영연구소 등은 우리나라 펫산업 규모를 2009년 9천억원에서 2015년 1조9천억원, 2020년 3조4천억원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봤다. 그런 추세로 2021년 3조8천억원을 거쳐 2027년 전후엔 6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었다. 그동안 '반려동물 680만, 반려인구 1천500만' 추산 하지만 이는 실제보다 부풀려져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동안 우리는 반려동물 가구수와 반려인구, 반려
【코코타임즈】 TV에 나오는 모 연예인의 반려견은 사랑스럽고 말도 잘 듣는데 우리 개는 도대체 뭐가 문제일까? 동네 시끄럽게 짖어대고 아무 데나 볼일을 보며 가족에게조차 사납다. 그 문제를 푸는 열쇠는 '사회화'다. 동물메디컬센터W 최갑철 대표원장의 얘기를 통해 반려견 보호자라면 꼭 알아야 할 사회화의 핵심 포인트를 짚어보자.(편집자 주) 개는 그들 특유의 교감능력과 친화력 때문에 오래전부터 우리 삶 깊숙이서 함께하고 있다. 지치고 외로운 우리에게 위로를 주고 삶을 윤택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반려견을 가족으로 맞이하고 있다. 하지만 곧 많은 보호자들이 자신의 반려견은 왜 이리 문제가 많은지 고민한다. 문제의 유형은 다양하다. 혼자 있지 못하는 개, 사람이나 다른 동물만 보면 짖는 개, 쉽게 흥분하는 개, 집안을 엉망으로 만드는 개, 그리고 무는 개. 이런 상황이 되면 보호자들은 개를 탓하고 심지어는 포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개의 문제가 아니다. 준비 없이 개를 키운 우리들의 책임이다. 문제행동 원인 대부분은 강아지 시절에 올바른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생긴다. 강아지 시절의 올바른 사회화와 각종 예절 교육이 개의 삶 전체를 결정짓는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