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개나 고양이가 어쩌다 한번 재채기를 하는 것은 정상이다. 단순히 코가 간지러워서 그런 것일 수도 있다. 화학 성분의 냄새나 먼지가 코에 들어가도 재채기가 나올 수 있다. 고양이가 화장실 주변에서 재채기한다면 모래에 화학 성분이 들어있거나 가루가 날려서 그런 것일 수도 있다. 개들은 가끔 재밌게 놀다가 재채기를 하기도 한다. 하지만 재채기가 지속되거나, 다른 증상이 동반되면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다. 이물질 털이나 풀잎 등의 이물질이 코에 들어가면 재채기가 나온다. 재채기를 통해서 이물질이 제거되는 경우도 있지만 제거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자극을 하며 감염의 위험이 있다. 호흡기 감염 재채기의 흔한 원인 중 하나는 호흡기 감염이다. 고양이에서는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virus), 칼리시 바이러스(calicivirus) 등의 바이러스 감염과 클라미디아(Chlamydia) 등의 박테리아 감염이 재채기를 일으킨다. 바이러스로 인한 호흡기 감염이 일어나면 재채기뿐 아니라 기침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눈물 증가나 눈곱이 끼는 증상이 흔히 나타난다. 간혹 비강에 곰팡이 감염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코에 통증이 있는 듯 앞발로 비비거나 코피
【코코타임즈】 아이에게 이상 징후가 나타나면 보호자들은 고민하게 된다. “지금 당장 병원으로 뛰어가야 하는지”, 아니면 “며칠 더 두고 봐도 괜찮은 지” 판단이 잘 서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코가 납작하고 짧은 품종들은 원래 코의 비강이 좁아서 호흡이 원활하지 않다. 코골이도 잦고. 비만 때문에 호흡이 쉽지 않고, 쌕쌕거리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그런 이유가 아닌데, 호흡 문제가 생기면 이는 고민할 필요가 없다. 무조건, 최대한 빨리 병원으로 가야 한다. 무슨 원인이 됐든 호흡 문제는 1분 1초가 급한 상황. 특히 쇼크 상태가 함께 오거나, 입술 잇몸 혀가 보라색이나 하얗게 변해있다면 더 그렇다. 그래서 보호자들은 평소에도 호흡수 심박수 정도는 세심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호흡곤란 겪는 강아지 고양이 특징들 특히 고양이와 강아지는 호흡곤란이 올 때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보인다. 먼저 강아지는 기침을 계속하는데 특히 밤에 더 한다. 운동을 잘 못하고, 호흡수가 분당 40회 정도로 빨라진다. 불안 증세를 보이며, 짖을 때 목이 쉰 것 같다. 계속해서 헥헥거리며, 숨을 쉬기 위해 목을 앞으로 뻗는 모습을 보인다. 숨을 쉬기
【코코타임즈】 산책 나가 즐겁게 놀던 우리집 강아지, 하도 이뻐 맛있는 걸 이것저것 사줬더니 갑자기 몸을 긁고, 설사를 한다. 낭패다. "혹시 알레르기 아냐?"하며 보호자들 걱정도 이만저만 아니다. 미국 터프츠대학교 연구에 따르면, ‘식이성 알레르기’란 “반려동물 면역시스템이 음식 단백질을 침입자로 오인해 과도한 이상반응을 보일 때 발생”한다. 원인은 다양하다. 일단, 모든 알레르기 반응의 10%는 음식에서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식에서 비롯된 식이성 알레르기가 나타나면 피부 가려움증, 구토, 기침, 재채기, 탈모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식이성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재료는 우유나 치즈같은 유제품, 소 돼지 양 닭고기 등. 또 밀 옥수수 보리 같은 곡류, 인공색소와 향료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육식동물인 고양이는 채소와 곡물을 소화시키기 힘들다. 그래서 고양이에겐 여기서 알레르기가 발생하기 쉽다. 캐나다 반려동물 잡지 <모던 도그>(Modern Dog)에 따르면 식이성 알레르기가 잘 발생하는 견종은 저먼 셰퍼드, 래브라도 리트리버, 미니어처 슈나우저, 닥스훈트, 푸들, 샤페이 등이다. 반려동물 사료업체 ‘힐스(Hill’s) 펫
【코코타임즈】 '디스템퍼 바이러스(Canine Distemper Virus) 감염'이란 발열성 질환의 하나. 증상이 크게 3가지로 콧물이나 재채기 등의 호흡기 증상,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 마비와 운동 장애 등의 신경 증상.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어린 강아지가 감염됐을 경우 90%의 치사율을 나타내는 아주 위험한 질병이다. 백신을 접종했거나 면역력이 있는 개는 바이러스에 노출돼도 무증상이나 가볍게 발병한 후 소멸하는 것이 일반적. [증상] 백신을 맞지 않은 개, 특히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강아지와 늙은 개, 또는 다른 질병으로 체력이 약해져 있는 개는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관찰된다. 감염 1~3일 간은 40 ℃ 전후의 발열과 눈곱이 끼고 식욕부진 증상이 나타난다. 기침이나 재채기, 비염, 기관지염 같은 호흡기 증상과 구토 설사 혈변 등의 소화기 증상도 보인다. 이런 경우 세균의 2차 감염에 의해 중증 폐렴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수포나 농양 형성이 관찰되고, 발바닥이 갈라지거나 단단해지는 '경화현상'도 나타난다. 이유 없이 반복적으로 머리를 흔들며, 발작과 경련을 일으킨다. 또는 침을 흘리고 운동 장애를 보이기도 한다. [원인] 이미 감염된 다
【코코타임즈】 콧물을 훌쩍거리기 시작한 고양이, 에어컨 바람으로 감기에 걸린 탓일까? 고양이가 콧물을 흘리거나 감기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면 빠른 치료에 들어가야 한다. 가볍게는 축농증이나 비염일 수도, 혹은 생명을 위협하는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일 수도 있다. ‘고양이 콧물 원인’에 대해서 알아본다. 알레르기성 비염 고양이가 맑은 콧물을 흘리거나 재채기, 기침한다면 알레르기성 비염 초기일 가능성이 높다. 증상이 심해지면 고름으로 인해서 진득한 콧물이 흐르고 얼굴을 더럽힌다. 코 주변도 헐어버린다. 숨을 쉬기 힘들어서 입을 벌린 채 호흡하기도 한다. 담배 연기나 사람이 사용하는 화학물질(방향제, 향수 등), 꽃가루, 진드기 등을 흡입해서 발생한다. 축농증 평소 콧물을 자주 흘린다면 축농증을 의심해본다. 고름이나 피 섞인 콧물도 종종 보인다. 축농증은 부비강이라는 기관에 염증이 생긴 증상을 말한다. 비염이나 바이러스 치료가 제대로 되지 않아도 축농증이 발생한다. 숨을 쉬기 힘들어하며 식욕 저하, 재채기, 이마 부근 발열 등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바이러스 감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고양이를 방치할 경우 폐렴으로 사망할 수 있다. 칼리시
【코코타임즈】 개 비염(Rhinitis)은 바이러스와 박테리아가 비강과 부비동(paranasal sinus)에 침입해 코 안의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발병하면 코 막힘, 콧물, 지속적인 기침과 재채기, 고름,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보인다.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등 미생물 감염이나 여러 알레르기 등의 원인이 있으며 주로 노령견에게서 발병 확률이 높다. [증상] 개 비염의 가장 흔한 증상은 사람과 비슷한 콧물과 재채기 코막힘 등이다. 콧물과 코막힘으로 코로 숨쉬기가 힘들어지기 때문에 개가 입을 벌리고 거친 숨을 몰아쉬는 게 관찰된다. 숨을 짧게 들이마셔서 비강에 있는 콧물을 목으로 넘기기도 한다. 식욕이 감소하기도 하며 냄새를 맡을 수 없어 음식을 찾지 못하는 모습도 관찰될 수 있다. 얼굴을 비비거나 앞발로 만지는 모습도 보인다. 비염 초기에는 코가 건조해지고 물처럼 맑은 콧물이 나오지만, 증상이 심해지면 점액의 콧물로 변하고 색도 누렇게 진해진다. 또한, 부비강까지 염증이 퍼지면 부비강 입구가 좁아지고 막혀서 부비강 내부가 곪아 고름이 쌓이며 축농증이나 부비강염으로 발전하게 된다. [원인] 비염은 콧속에 종양이 생기
【코코타임즈】 부비강염(paranasal sinusitis)이란 비염의 장기화로 발생하는 만성적 질환을 말한다. 한 번 발병하면 완치는 사실상 불가능하며, 평생 콧물이나 재채기의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성가신 질환이다. 특히 페르시아, 히말라얀, 샴 고양이는 발병률이 높은 편이니 이 품종의 보호자들은 조금 더 세심히 살펴주면 좋겠다. [증상] 부비강염은 재채기와 함께 콧물이 멈추지 않는 등 비염과 거의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지만, 강도는 더 심하다. 누런 고름처럼 보이는 콧물이 나오며 호흡이 힘들어 입을 벌리고 숨을 쉬는 모습도 보이게 된다. 보통의 부비강염은 콧물과 재채기로 불편한 부분은 있지만, 그것을 제외하면 크게 염려할 질병은 아니다. 하지만, 고양이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라면 다른 질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커지므로 유의해야 한다. 누런 고름성 콧물이 농축돼 고이면 축농증이 발병되며, 증상이 더 악화되면 발열과 통증 때문에 식욕과 기운을 잃게 된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원인] 비염이 만성화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부비강 주변의 종양이나 위쪽 잇몸이 화농화되어 부비강까지 옮아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