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반려동물 눈과 피부에 병이 있는지 알려주는 ‘티티케어’(TTcare)가 올 하반기면 반려동물 관절 질환 징후도 찾아준다. 보다 전문화된 ‘티티케어 클리닉(clinic)’도 곧 출시한다. 질병 진단을 하는 수의사를 보조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이를 통해 동물병원 진료 예약이나 온라인 상담이 가능해진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티티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에이아이포펫(AIFORPET)이 반려동물 관절의 이상 유무를 찾아주는 '현장 테스트'(field test)를 수도권의 일선 동물병원들에서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본적인 개발이 끝나, 실제 상황에서 서비스 품질을 다듬고 있는 것. 지금까지 해오던 눈과 피부 질환에 이어 관절 질환 증상으로도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는 단계로 읽힌다. 이와 관련, 에이아이포펫 허은아 대표<사진>는 "티티케어 앱으로 반려견이 걷는 옆모습을 3~5초 정도 촬영하면, 인공지능이 관절 포인트를 찾아서 관절이 움직이는 패턴, 발의 각도 및 높이 등을 이용하여 관절의 이상 유무를 알려주는 서비스"라면서 "올 하반기(9월 정도)에 오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절 질환은 수술을
【코코타임즈】 (사)대한수의학회(KSVS, 이사장 김곤섭, 회장 박상열)가 오는 28일 충북 청주 오송에서 '2022 춘계학술대회'를 연다. "수의학에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적용"(Application of Big-data and AI in Veterinary Medicine)이 전체 주제다. 이날 오전 9시30분부터 지능로봇공학과 축산데이터, 경영정보학 전문가들이 나와 '빅데이터와 딥러닝을 이용한 최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명과 함께 시작한다. 12일 대한수의학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개회식 직후 이어질 기조 강연 주제도 '유전자 기반 메타버스 아바타'. EDGC(주) 김태현 전략실장이 자기 회사의 '유후(YouWho) 메타버스 프로젝트'를 활용해 설명한다. 학술대회에선 또 Δ질병 발병과 진단에 빅데이터 이용하기 위한 전략, Δ치유농업(Agro-healing)에서 발견하는 인간-동물 상호작용의 역할, ΔMUMS(the Minor Use and Minor Species) 동물약품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모델의 발전 상황 등을 비롯한 4개 세션이 오후 5시까지 이어진다. 이와 관련, 김곤섭 이사장(경상국립대 수의대 교수)<사진>은 "빅데이터
【코코타임즈】 인공지능(AI) 기술이 의료산업와 만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기계 학습으로 다양한 빅데이터를 학습한 후 질환의 핵심 부위를 빠르게 찾아낸다. 다른 데이터들까지 종합해 앞으로 나타날 질병도 예측한다. 환자의 조건에 맞는 맞춤형 치료법을 제안할 수도 있다. 예방의료, 개인맞춤형의료로 빠르게 변하고 있는 최근의 의료 패러다임과도 직결된다. AI 도입이 가장 활발한 분야의 하나가 바로 의료다. 영상진단과 AI(인공지능)의 만남...의료 패러다임 변화와 직결 특히 X-Ray(엑스레이), CT(컴퓨터단층촬영), MRI(자기공명영상) 등 영상진단쪽이 더 활발하다. 영상 판독 정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어서다. AI 기계학습 과정에서 이 분야 전문가들의 지식과 경험, 그리고 예측이 '집단지성' 형태로 녹아있기 때문. 더 나아가 비대면 원격진료로 나아가는 지름길이기도 하다. 그래서 사람 의료쪽은 이미 눈부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이후 AI 의료기기 허가 건수가 매년 2배 넘게 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15개 회사 36개 제품이 허가를 받았다. 벌써 세계 시장이 주목하는 제품도 나오기 시작한 정도. 중증질환일수록 서울대병원
【코코타임즈】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진 1장이면 반려동물의 예상 질병을 알아낸다. 인공지능(AI)이 다양한 빅데이터를 통해 발병 가능성 높은 질환을 짚어주는 것. 동물병원에 가기 전 혹은 미리 집에서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서비스인 셈이다. 예방에도 도움이 되지만, 아이 몸 상태를 상시 체크해 보는 효과도 있다. ㈜오션라이트에이아이(OceanLightAI, 대표 박해광•사진)는 지난해 AI 기반의 펫 메디컬 App.‘도닥도닥’(dodac dodac)을 출시하며 펫 헬스케어 분야로 뛰어들었다. IT와 AI 전문가 여럿이 모여 데이터 수집과 정제를 거쳐 AI 건강 체크 모델을 설계하고 개발한, 젊은 스타트업. 처음엔 반려동물 피부 건강상태를 체크해주는 서비스 정도였다. 하지만 도닥도닥은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동물용 의료기기(의료 영상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 품목허가를 받아냈다. AI 기술력에다 정보 신뢰도를 인정 받았다는 얘기다. 박해광 대표는 "인공지능 전문가들이 데이터 수집과 정제를 거쳐 AI 건강 체크 모델을 설계하고 개발했다"면서 "체계적으로 반려동물 건강 관리를 돕는 게 우리의 목표"라고 했다. 이에 피부 뿐만 아니라 구토, 분변, 치아, 안구 등
【코코타임즈】 동물은 사람과 '가족'이 됐습니다. 그렇다면 이들은 사람 삶에 어디까지 함께 공존하며 지내는 걸까요? 지금까지 아홉 번에 걸쳐 그 오묘한 세계에 대해 이야기를 해왔지만, 그 끝은 없는 것 같습니다. 특히 강아지에겐 특별한 능력이 있습니다. 먼저 후각의 경우, 강아지에겐 '야콥스'라는 특수한 기관이 입 천장에 있어, 미세한 화학 분자와 호르몬까지 파악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강아지가 냄새를 맡는 능력은 사람의 100만배나 된다고 합니다. 코로나19 확진자 찾아내는 족집게 강아지들 미국은 그래서 냄새 구별 교육을 받은 탐지견을 활용하여 코로나-19 확진자 선별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정확도는 무려 94~97%. 신속진단검사 방법인 ‘횡방향 흐름 검사’보다도 높습니다. 이런 반려견 후각 능력을 활용한 연구가 미국 뿐 아니라 영국, 프랑스, 독일, 칠레, 오스트리아, 핀란드, 태국 등 다른 많은 나라들에서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럼 반려견이 확진자 검사 하다가 코로나-19에 걸리면 어떻게 될까요? 이런 걱정을 하는 사람들 우려를 말끔히 씻어줄 소식도 있었는데요. 지난 3월 러시아는 이미 '카니박'(The Carnivak-Cov vac
【코코타임즈】 반려동물 진료 상담의 80%는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를 통해 집에서도 처치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의 대표적인 동물 원격진료(telemedicine) 플랫폼 ‘조이(Joii)’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해 원격진료가 활성화되면서 지난 1년간 진행됐던 3만8천449건의 상담 중 80%가 집에서 치료가 가능했다. 수의사와 영상 상담으로 증상 확인 후 처방약이나 제품을 받아 집에서도 충분히 케어가 가능했다는 것이다. 조이 앱은 24시간 365일 진료 상담이 가능하다. 증상 확인과 간호사 상담은 무료로 진행되며 수의사 상담은 15분당 24파운드(약 3만8천원)다. 많은 경우의 상담은 영상으로 진행되며, 상담 후 필요한 제품이나 약이 처방된다. 처방된 약은 앱을 통해 구매 가능하다. 처방약을 받았던 환자의 80%는 피부, 기생충, 근골격 및 안과 관련 상담이었다. 반면 전체 상담 중 12%는 치료가 필요 없었다. 특정 질환으로 볼 필요가 없는, 성장 과정에서의 통상적인 증상들이었기에 굳이 병원까지 가서 진료를 받지 않아도 괜찮았다는 것이다. 이 조사 결과는 미국의 원격진료 앱 '펫트리아쥬'(Petriage)의 데이터와 비슷했다. 증상 체크를 통
【코코타임즈】 서울 강동구가 인공지능을 활용해 유기동물 보호소에서 사료를 주거나 놀아주는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코로나19로 자원봉사자 발길이 끊어지면서 나온 고육지책이긴 하지만, 직영 동물보호센터에 이같은 프로그램을 접목하는 건 강동구가 전국 처음이다. 이는 전국 지자체 차원에선 최초로 카페형 유기동물 입양센터인 '리본'을 운영하고 있기에 가능했다. 이와 관련, 강동구(구청장 이정훈)는 29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유기동물 보호관리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히고 "코로나19 이후 발길이 끊긴 자원봉사자의 도움의 손길을 첨단기술로 대체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에 따르면 최근 유기견없는도시, LG유플러스와 손잡고 위드 코로나 시대에 적극 대응하고자 차세대 첨단기술인 인공지능(AI) 등을 도입하기로 했다. 리본센터에서 활용하면서 연구 과정의 시행착오 등을 포함한 빅데이터를 축적하는 등 시범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인공지능을 통해 질병이나 장애, 이상행동 등으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거나 시설에 입소한지 얼마 되지 않은 유기동물의 적응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활동량 관찰을 통해 보호동물의 건강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 업체 측 설명. 또
【코코타임즈】 보호자가 없어도 시간 맞춰 강아지 간식주는 스트리밍 카메라 '퍼보'(Furbo). 그렇잖아도 똑똑한 이 녀석이 더 똑똑해지고 있다. 강아지가 짖으면, 그게 무슨 뜻인지 이젠 알아차릴 정도가 됐기 때문. 그래서 강아지 짖는 소리를 구분해 이상하다 싶으면 보호자에게 알람(alarm)으로 바로 알려줄 수 있게도 됐다. 이 새로운 기능은 퍼보가 캡처한 10초짜리 동영상들에 대해 수천 명의 유저들에게서 피드백을 받아 머신러닝으로 분석한 결과. 강아지가 배고파 짖는 것과 다쳐서 짖는 것을 구분할 수 있다는 얘기다. 집에 보호자가 없어도 긴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시대다. 미국 <뉴욕타임즈>(The New York Times)는 8일자(현지시각) "인공지능(AI) 덕분에 반려동물들 생활에 이젠 비밀이 없다"(With A.I., the Secret Life of Pets Is Not So Secret)는 기사에서 "(이처럼) 반려동물용 사물인터넷(IoT) 제품들이 인공지능(AI)으로 빠르게 바뀌고 있다"고 보도했다. 간식을 배급하고 레이저로 놀아주던 스트리밍 카메라들이 이젠 한발 더 나아가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으로 반려동물 행동
【코코타임즈】 반려동물 개체식별을 위한 홍채 및 비문 인식기술을 개발한 기업 ‘파이리코’가 반려동물의 행동을 분석해 질환, 심리상태 등을 예측하는 인공지능(AI) 개발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5일 파이리코가 주최한 ‘반려동물 행동분석’ 웨비나는 반려동물의 행동이 어떻게 질환, 심리상태, 문제행동 등과 연관되는지 전문가들을 통해 알아보고 이런 정보를 인식해 ‘반려동물 상태 알아보기’ 서비스를 개발 중임을 알리는 시간이었다. 파이리코가 초빙한 2명의 전문가는 N동물의료센터의 한재웅 대표원장과 이삭애견훈련소의 이찬종 소장. 이들은 일반 보호자들이 잘 모를 수 있는 반려동물의 행동에 대해 설명했다. “반려동물 행동을 보면 질병이 보인다” 한재웅 원장은 이날 "보호자들이 반려동물의 증상을 구분하는 법을 잘 몰라서 수의사들에게 잘못 전달하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예를 들어 기침, 재채기, 역재채기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 우리들이 코가 간질간질할 때 재채기를 하듯 개나 고양이도 재채기는 코에 있는 것을 배출하는 것. 반대로 코에 있는 것을 들이마시는 행동은 역재채기라고 한다. "역재채기는 반려견들이 흔히 하는 행동으로 다른 호흡기 증상이 동반되지 않는 이상 안심해도 된
【코코타임즈】 일반인은 물론, 전문 지식을 갖춘 예리한 조류학자들에게도 어려운 것이 있다. 바로 온갖 종류의 새들을 바로 바로 구분하고 식별해내는 것. 하지만 희소식이 나왔다. 비슷하고, 심지어 희귀 종류의 새들까지도 쉽게 식별해내는 인공지능(AI) 기술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영국 <가디언>(The Guardian)은 27일(현지 시각), 프랑스 몽펠리에에 위치한 ‘기능·진화적 생태학 센터’(CEFE-ENRS)가 이와 같은 놀라운 AI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전했다. 해당 AI 시스템은 서로 다른 종류의 새를 각각 구별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CEFE-ENRS’ 소속 안드레 페레이라는 “실제로 조류학자들에게도 현장에서 섞여있는 다양한 종류의 새들을 구별해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며 “AI 시스템이 이와 같은 과정을 담당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페레이라 학생 또한 이와 같은 어려움을 경험한 적이 있다. 그는 과거 남아프리카 공화국 건조한 북서부 지역에 서식하는 작은 새 ‘소셔블위버’(Sociable Weaver)를 연구했다. 소셔블위버는 독특한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한 번에 300마리까지 군집을 이루어 서식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