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COCOTimes)】 어느날 문득 고양이 눈에 눈곱이 많아진 것을 발견할 때가 있다. 눈물이나 눈곱이 자주 관찰되면 눈과 관련된 질환일 확률이 높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질병 때문일 수도 있다. 눈물과 눈곱이 많아진 경우 어떤 질병과 연관이 있는지 살펴보자. 기관지염, 결막염, 각막염, 각막궤양, 백내장, 안검내·외반증, 유루증, 비염 등이 있는데 증상으로는 눈이 붉게 충혈된다거나 흐르는 눈물로 인해 눈 주위가 자주 젖어 있다. 또, 가려움이나 통증 때문에 앞발로 눈을 문지르는 모습을 보이게 되고 , 눈을 잘 뜨지 못하고 자주 깜박거릴 수 있다. 가벼운 결막염이 원인이라면 안약과 항생제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 각막궤양의 경우에도 증상이 가볍다면 주사와 안약만으로도 치료가 된다. 하지만 난치성이나 중증의 경우 상처가 발생한 각막과 정상 각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등 외과적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백내장 역시 초기에 발견된다면 처방받은 안약과 내복약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하지만 중증 치료는 수정체를 적출한 뒤 인공 수정체를 삽입해 주는 수술을 요한다. 또 수술 후에는 염증과 감염 방지를 위해 꾸준히 점안액 치료를 해줘야 한다. 안검 내 반증이 있
【코코타임즈(COCOTimes)】 고양이의 결막염(Conjunctivitis)이란 고양이 안구를 감싸고 있는 결막에 염증이 발생한 상태를 말한다. 결막 자체가 안구를 보호하는 점막으로 외부 환경에 쉽게 노출돼 있는데, 그루밍 하는 습관과 화장실에 깔아놓은 모래 때문에 고양이는 개에 비해 결막염에 더 쉽게 노출돼 있는 편이다. 세균 및 바이러스 등에 감염돼 발생하며, 항생제나 항염증제 안약을 점안해 치료하게 된다. 전염성 결막염도 있기 때문에 다른 고양이에게 옮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결막염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에 감염돼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알레르기가 있거나 속눈썹 등의 이물질이 눈에 들어갔을 경우, 또 눈꺼풀 종양이 있어도 자극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은 눈동자가 충혈되거나 눈 주변이 빨갛게 부어오르고, 이물감을 느껴 과도한 깜빡임을 보이며 눈을 잘 뜨지 못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하얀색 혹은 노란색 눈곱이 나오기도 하며, 피고름을 보이기도 한다. 세균 및 바이러스가 눈에서 호흡기로 퍼진 경우에는 재채기와 기침, 콧물을 보이기도 한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지는데 세균 감염이 있다면
【코코타임즈】 아무리 수의학이 발전하고 반려동물 기대수명이 늘어난다고는 해도 노화를 막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노화는 생명이라면 모두가 겪는 자연스러운 과정일 뿐이다. 나이든 개 건강을 위해서 반려인은 노화로 인한 신체 변화를 익히고 알아차려야 한다.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해야만 개가 조금이라도 더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다. #털의 윤기가 사라지고 탈모가 심해진다. 털이 옅어진다. 흰 털이 나거나 누런빛이 돈다. 빗질을 꾸준히 해 혈액 순환을 촉진해주도록 한다. 털의 양이 줄어드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 하지만, 전체에 걸쳐 탈모가 심하거나 부분 탈모가 보일 때는 질병을 의심해봐야 한다. #피부 표면에 멍울이 만져진다 노령 동물은 암 발생률이 높다. 암은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무척 중요하다. 평소 피부 구석구석을 살펴서 피부에 멍울이 잡히는지 살펴본다. 피부 조직에 생긴 멍울은 피부암, 유선종양, 림포마 등을 의미할 수도 있다. #눈이 뿌옇게 변한다. 노령으로 인해 안구가 뿌옇게 변하는 핵 경화증은 시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아 별다른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핵 경화증을 제외하고는 단순하지 않은 안과 질환을 앓고 있다는 뜻이다. 가정에서는 핵 경
【코코타임즈】 결막염(Conjunctivitis)이란 안구를 감싸고 있는 결막에 염증이 발생한 상태다. 안구 위에서 점액을 분비하는 결막은 평소에는 눈에 잘 띄지 않는다. 하지만 염증이 발생하면 눈이 붓고 충혈되므로 보호자가 조금만 관심을 가져도 쉽게 알아차릴 수 있는 질병의 하나다. [증상] 평소엔 분홍색을 띠지만 염증이 생기면 붉게 변한다. 눈물이 많이 나오며, 노란색 또는 초록빛 띠는 눈곱 같은 분비물도 나온다. 눈을 찡그리고 자주 깜빡거리는 것도 특징이다. 눈꺼풀이 맞붙어 눈을 뜨지 못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 가려움과 통증 때문에 앞발로 문지르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결막염은 원인에 따라 한쪽 눈에 생기는 경우도 있고, 양쪽 눈 모두에 생기는 경우도 있다. [원인] 결막염은 디스템퍼 같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의한 결막염은 전염성이 강하다. 그래서 '감염성 결막염'이라 부른다. 비(非)감염성 결막염은 감염성 결막염보다는 흔하지만 전염성이 없다. 알레르기 등의 면역 매개 질환, 종양, 안구건조증, 안검내반, 포도막염, 녹내장, 눈의 상처, 자극적인 이물질 등이 비감염성 결막염을 유발한다. [치료] 결막염 치료가 제
【코코타임즈】 비싼 사료와 매일 하는 산책, 다양한 경험만이 강아지를 보살피는 데에 중요한 요소일까? 그렇다면 강아지의 몸 구석구석을 매일 살피는 습관은? 강아지는 보호자가 알아차리기 전까지 아파도 말을 하지 못하고 불편함을 이겨낼 수밖에 없는 작은 존재다. 강아지의 불편함이나 건강의 이상징후를 해결해줄 수 있는 사람은 보호자인 만큼 매일 강아지의 정신적, 신체적 컨디션을 살펴보자. 강아지의 신체 구석구석 꼼꼼히 살펴보는 습관은 더 큰 질병을 예방하는 지름길이다. 실제로 치료 시기는 삶의 질을 크게 저하할 수도, 개선할 수도 있다. 그동안 건강 관리나 컨디션을 파악하는 데에 놓친 부분은 없었는지 알아보자. #눈 GOOD 눈동자는 초롱초롱하고 촉촉하다. 눈곱이나 눈물이 없다. BAD 눈곱이 많거나 붉은 눈물 자국이 있다. 눈물 냄새가 심하다. 눈꺼풀 부근 점막이 튀어나와 있다. 체리아이라고도 한다. 앞발로 눈을 비빈다. 충혈돼 있다. 눈꺼풀이 부어 있다. 눈부셔하거나 제대로 뜨지 못한다. 주변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어딘가에 자꾸 부딪는다. 수정체가 혼탁하다. 수정체 혼탁의 대표적인 원인은 두 가지다. 시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노령성 핵경화, 시력에 영향을
【코코타임즈】 개는 기본적으로 목욕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목욕 중에 마음대로 움직이고, 말을 듣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눈에 비눗물이 들어가지 않게 주의하는 게 중요하다. 개는 눈이 매우 민감한 편이어서 조금만 불편해도 눈을 문지르거나 긁으면서 상처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대로 두면 결막염으로 악화될 위험도 있다. 실제 비눗물이 눈에 들어가면 개는 통증을 느껴 가만두지 않는다. 이를 방지하려면 얼굴을 닦을 때 손으로 쓰다듬듯이 닦고, 물로 헹굴 때도 샤워기를 얼굴에 직접 대지 않는 게 좋다. 손에 물을 묻혀서 살살 닦아내야 한다. 비눗물이 개의 눈에 들어갔다면 바로 흐르는 물로 닦아내는 게 안전하다. 개에게 평소보다 눈곱이 많이 끼거나 눈물이 많을 때는 목욕을 하지 말아야 한다. 눈 상태가 안 좋은 상태이기 때문에 잘못해 물이 들어갔다가 염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목욕하면서 눈을 깨끗이 한다고 생각하지 말고, 목욕 전 미리 눈 주위를 정리하는 게 좋다. 주변에 눈곱이나 이물질이 많이 붙어있으면 씻는 중 이물질과 구정물이 눈으로 들어갈 수 있다. 한편 목욕 중에 귀에 비눗물이 들어가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개의 귓속 통로는 길
【코코타임즈】 고양이 안과 질환은 원인이나 그 요소가 다양하다. 분명한 점이라면 이상 증상을 발견한 즉시 치료에 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눈이 뿌옇게 변했을 때도 마찬가지다. 노령으로 인해 안구가 뿌옇게 변하는 핵경화증은 시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아 별다른 치료가 필요하지 않지만, 핵경화증을 제외하고는 단순하지 않은 안과 질환을 앓고 있다는 뜻이다. 가정에서는 수정체가 뿌옇게 변한 이유를 구분하기 어렵다. 크게 두 가지 경우가 있다. 하나는 안구가 하얗게 흐려지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안구 속 동공이 하얗게 변하는 것이다. 전자는 각막 상처나 세균 감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각막에 염증이 생기는 각막염은 고양이에게 흔히 발생하는 안과 질환이다. 고양이가 눈 통증을 호소하거나 눈 표면 일부가 갈색빛을 띠기도 한다. 안검내반증이 원인이다 후자는 백내장이나 녹내장을 의심해봐야 한다.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탁해지면서 점차 시력을 잃는 질환이다. 앞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고양이가 벽에 붙어 걸어 다니거나 사물에 부딪히는 상황이 종종 생긴다. 노령성, 당뇨, 안내염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녹내장은 동공이 뿌옇게 변할 뿐만 아니라 고양
【코코타임즈】 추운 겨울날. 옴짝달싹 하고 싶지 않지만 그렇다고 집 안에만 있을 수는 없다. 게다가 밖에 눈까지 온다면... 눈 오는 날 산책은 강아지가 특히 좋아한다. 게다가 반려견의 시각과 후각 등 감각 발달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그렇다고 산책을 오래하는 것이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먼저, 강아지는 털이 있어 추위를 안 탈 것 같지만 모든 반려견들이 다 추위에 강하지는 않다. 몰티즈, 치와와, 푸들 등 겉털만 있는 단일모 종의 반려견들은 상대적으로 추위에 약하다. 반면 포메라니안, 웰시코기 등 겉털과 속털이 있는 이중모 종의 반려견들은 추위에 강한 편이다. 강아지 특성을 잘 파악해 산책 시간을 조절해야 하는 이유다. 또 산책 전에는 준비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다. 따뜻한 곳에 있다가 갑자기 추운 곳으로 이동하게 되면 심혈관 수축 등 문제가 생길 수 있기에 반려견 피부를 마사지해 주거나 스트레칭을 하고 나가도록 한다. 새끼 강아지와 노령견의 경우 면역력이 약하기에 추위를 더 많이 탄다. 눈을 맞아 털이 젖은 상태로 오래 돌아다니면 감기는 물론, 자칫 동상에도 걸릴 수 있다. "사람이 신발 없이 양말만 신은 상태로 눈 위에 한참 서 있다고 생각해보세요.
【코코타임즈】 개 시력은 사람보다 현저히 낮다고 한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무엇이 어떻게 다른지 좀 더 정확히 알아볼 수는 없는 걸까? 먼저, 개가 볼 수 있는 색은 무엇이 있을까? 개의 시력에 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다. '개는 흑백으로 세상을 본다', '개도 노란색은 볼 수 있다', '개는 세상이 뿌옇게 보인다' 등등. 특히 개가 색깔을 구분하는 능력에 대한 이야기는 진부하면서도 시원하게 풀리지 않아 궁금한 문제였다. 서울대 수의대 서강문 교수는 "개는 모든 색을 볼 수 없는 건 아니다. 적색과 녹색을 구분하지 못하는 '적녹색맹'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는 색을 구분하는 세포인 추상세포 종류가 사람보다 적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사람은 추상세포 종류가 3개로, 빨간색과 녹색, 파란색을 감지한다. 반면, 개는 추상세포가 두 종류이다. 이 추상 세포는 노란색과 파란색을 감지한다. 시력은 얼마나 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개의 시력을 사람 시력으로 따지면 좌우 0.26 정도이다. 그렇다면 시력이 0.26쯤 되는 사람에게 맞는 렌즈를 개에게 끼워준다고 해서 그 사람과 사물을 똑같이 볼 수 있을까? 시력은 단순히 망막에 상이 맺히는 문제만이 아니다. 시신경과 뇌
【코코타임즈】 강아지 사진을 찍기만 해도 강아지 눈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앱이 내달 중순 출시된다.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에이아이포펫(AI포펫)은 27일, "수의과대학 안과전문 교수와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가 모여 공동개발한 '똑똑케어' 앱의 베타 버전을 다음달 14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정식 서비스는 내년 초부터 시작할 예정. 똑똑케어는 반려인이 집에서 휴대폰으로 강아지의 눈 사진 또는 동영상을 찍으면 인공지능(AI)이 분석해 각막손상, 안검 내반, 유류증 등 안구 질환과 관련된 6가지 증상 유무를 알려주는 강아지 건강관리 앱이다. 똑똑케어에 활용된 AI기반 진단 기술은 동물용의료기기(의료영상진단 보조소프트웨어)로 등록됐다고 업체측은 강조했다. 그리고 사용자 편의를 위해 위치기반으로 근처 동물병원에 대한 상세 정보와 온라인 예약 서비스 등도 제공한다. 이뿐만 아니라 견종과 반려견의 생활 패턴에 맞춰 예방접종 시기 및 필요한 건강 관리 정보들을 맞춤 제공해 준다. 즐거운 반려생활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도 제공할 예정이다. 허은아 에이아이포펫 대표는 "의학 발전으로 인간의 수명이 백세로 늘어났듯이 평소 꾸준히 건강관리를 하면 반려견의 수명도 30세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