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현행 도로교통법에 따라, 음주운전은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현행 수의사법에 따라, 동물에 대한 무면허 진료행위도 금지하고 있다. 수의사가 아닌 사람이 주사기를 이용해 동물에게 진료행위(약물 투여)를 했다가 수의사법 위반으로 처벌받은 사례가 많다. 음주운전은 불법인데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운전자에게 술을 판매하는 것이 합법이라면 어떨까? 지극히 상식에 어긋나고, 큰일이 날 수 있는 문제다. 당연히 휴게소에서 주류 판매는 일절 금지되어 있다. 그런데 ‘운전자에게 술을 파는' 행위처럼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동물에게는 실제로 벌어지고 있다. 반려동물 보호자가 자신의 반려동물에게 주사를 하는 행위는 불법인데, 약국에서 백신과 주사기를 파는 것은 합법인 것이다. 심지어 이런 어처구니없는 상황을 방지하려는 정부 움직임에 “술을 계속 팔게 해달라”고 주장하는 단체가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5월 6일까지 ‘수의사 처방 대상 동물약품 확대 행정예고’(2020.4.16.)에 대한 의견을 받고 있다. 이에 따르면, 반려동물에 대한 주요 백신이 수의사 처방 대상으로 지정된다. 운전자에게 술을 팔면 안 되는 것처럼, 반려동물 보호자에게 아무런 제한 없이 백신을
"People are still buying drugs and vaccines at pharmacies and they do not realise they could be offenders," the country's vet association director says. "It is illegal for any person to practice veterinary medicine. Such act without the licensure have penalties, and they could get prison sentences as well. I hope to prevent that from happening." Korean Animal Hospital Association (KAHA) President Lee Byoung-yeol, who took office on, told the COCOTimes last week that widening a list of prescription drugs does not necessarily mean vets will get more money, but it will get the things right. As pa
【코코타임즈】 “보호자가 자신의 반려동물에게 직접 진료행위 하는 걸 현행법은 엄격히 금지하고 있습니다. 징역이나 벌금 같은 처벌 규정도 있구요. 그런데 동물약국에서 일반 약품은 물론 주사용 의약품들까지 그냥 팔리고 있어요. 자칫 보호자들이 범법자가 될 수 있는 아이러니한 상황인 거죠. 그걸 막자는 겁니다." 우리나라 4천500여 동물병원들을 대표하는 한국동물병원협회(KAHA) 이병렬 신임 협회장은 21일 오후 <코코타임즈>와 만나 “수의사 처방 대상 의약품을 확대하자는 게 수의사들이 돈 더 벌자는 얘기는 결코 아니다”면서 “잘못된 우리 현실을 바로잡으려는 것”이라 강조했다. KAHA가 전국 수의사들을 대상으로 최근까지 서명운동을 벌여온 것도 그런 때문. 이 협회장은 또 내년 8월부터 시행될 ‘동물보건사’ 국가자격제도에 대해 “기본 취지에는 공감하나, 전체의 70%나 되는 ‘1인 동물병원’들 영세한 현실을 감안하면 채용 여력이 없을 것이란 점이 큰 걸림돌”이라고 아쉬워했다. 이어 “우리나라 임상 수의사들의 전문성을 높이고, 갈수록 높아가는 보호자들의 눈높이에 맞추기 위해 지난해부터 시작한 ‘유럽 인증의’ 교육과정을 과감히 확대하겠다”고 했다. ‘전
【코코타임즈】 With over 10 million people living with companion animals, the new paradigm in this era needs not only vets but everyone involved in the industry, says the country's veterinary chief. "Like an orchestra working together in perfect harmony, we are determined to do our best for the society in which people and animals coexist," the newly-elected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KVMA) President Hur Ju-hyung told the COCOTimes Wednesday. "We should all work together to make things happen." The 26th KVMA leader, who kicked off his role on 2 March stressed the importance of reforming th
【코코타임즈】 “반려동물 1천만 시대의 새 패러다임은 수의사들만으로는 만들어갈 수 없습니다. 관련 분야, 관련 산업, 관련 단체, 그리고 보호자들이 함께 성장하고 협력해야하는 거죠.” 대한수의사회 제26대 허주형 신임 회장은 18일, “마치 오케스트라가 서로 협력해 멋진 하모니를 이루듯, 우리 수의사들도 (사람-동물-환경이 함께 건강한 사회를 위해) 역할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 2일 임기를 시작한 허 회장은 이날 오후 <코코타임즈>와 만나 “사람-동물 공통감염병이나 신종 코로나19와 같은 국가적 위기상황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선 국가 의료체계를 개편해 수의학도 그 안에 들어가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수의사법과 의료법을 함께 개정할 것"을 촉구했다. 이어 지난 2월 전국 동물병원에 의무화된 ‘전자처방전’ 문제에 대해 “저도 그 기본방향에 대해선 공감한다”면서도 “과도하게 늘어나는 행정규제들로 임상 현장의 불만이 너무 높다”고 토로했다. 허 회장은 특히 △동물병원 진료비 부가가치세의 부당성 △온라인쇼핑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동물병원전용’ 제품들의 허위/과장 광고 △정부 주도 ‘광견병 예방접종’ 관행에 도사린 불편한 진실 등 거의
"동물병원을 처음 시작하면서 생각했어요. 동물들도 사람처럼 암 치료를 받을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 다행히 지금 어느 정도는 목표를 이뤘네요." 헬릭스동물메디컬센터 황정연 대표원장은 국내 최초로 대학병원에서 사용하는 장비와 동일한 방사선치료장비를 도입한 이유를 묻자 이렇게 대답했다. "사람들은 병원에 갈 때 불안감이 있잖아요. 동물도 마찬가지입니다. 동물들도 편안하고 보호자들도 불편하지 않도록 전직원 친절 서비스는 기본이고 병원 인테리어도 하나하나 신경 썼죠." 어렸을 때부터 동물을 좋아했다는 황 원장은 지난 2010년 당시 국내 최대 규모 동물병원인 헬릭스동물메디컬센터를 개원했다. 그리고 동물들도 언제든지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연중무휴 24시간 진료를 도입했다. 동물들에게도 최고수준의 의료복지를 누리게 해주고 싶은 마음에서였다. 서울 서초본원을 포함해 송파분원과 일산분원은 물론 최근 중구에 개원한 동물암센터까지 모두 치료가 쉽지 않은, 중증 질환을 앓고 있는 동물들을 배려한 것들. 사실 그가 수의대를 졸업하고 20여년전 처음 동물병원에서 임상을 시작했을 때만 해도 강아지, 고양이가 병에 걸리면 제대로 치료받기 힘들었다. 치료할 수 있는 의료기기도
【코코타임즈】 부산시의회에 근무하는 한 지인이 유튜브 동영상을 보내왔다. 그러면서 "원장님, 이것 믿어도 되나요?" 동영상을 살펴보니 자기 나름 유명한 재미 내과 의사가 신종 코로나에 대한 논문을 한 편 들고 열변을 토하는 장면이 담겨 있었다. 논문의 가설에 대한 자기 해석과 의견을 제법 진지한 모습으로 전달하기 위해 애쓰는 모습이었다. 곧 답을 보냈다. "자기 주장이니 믿지 말라"고. 암 환자의 수술을 꽤 많이 하는 필자의 병원에서 자주 벌어지는 일상도 비슷하다. 암 선고를 받은 환자 중에 담담하게 현실을 받아들이는 숫자는 몇 되지 않는다. 수술 잘 되어 안심하라는 주치의 말에도 수술 받은 환자나 가족은 궁금한 점이 너무 많다. 몇 기인지? 얼마나 오래 살 수 있는지? 재발을 하지 않으려면 무엇을 조심해야 하는지? 가려야 할 음식은 없는지 등등 끝이 없다. 이런 환자의 궁금증은 몇 달이 간다. 때로는 5년이 다 되어 완치의 상황에서도 궁금해 한다. 이게 암 환자의 심리이다. 그래서 필자는 동료 의사들과 함께 암 환자를 위한 책을 만들었다. 당연히 비매품이다. <대장암 극복하기>에는 암에 대한 발병 기전, 진단과 치료, 수술 후 자기 관리, 식생
"개 전기 도살 사건과 관련해서 검사로서 주목한 것은 '고통'이었어요. 살아있는 생명의 숨이 끊어질 때 고통을 느꼈을까, 도살하는 모습을 본 사람들은 잔인하다고 생각해서 심적 고통을 느꼈을까 두 가지였죠." 박재현 서울고등검찰청 부장검사. 그는 최근 서울고등법원이 동물보호법 위반이라고 판단한 '개 전기 도살' 사건을 맡은 담당 검사다. 푸들 종의 반려견 해피를 6년째 키우는 일명 '개아빠'이기도 하다. 앞서 지난달 19일 서울고법 형사5부(김형두 부장판사)는 전기가 흐르는 쇠꼬챙이를 개의 주둥이에 대고 도살한 혐의로 기소된 개 사육업자 A씨의 파기환송심 선고 공판에서 원심인 무죄를 파기하고 벌금 100만원의 선고를 2년간 유예했다. "개의 뇌가 아닌 '주둥이'에 전기를 흘려 죽이는 것은 동물보호법에서 금지하는 '잔인한' 방법"이라는 법원의 첫 유죄 판단이었다. 최근 몇 년 사이 반려동물로 키우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이 사건은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았다. 서울고검에서도 중요사건으로 분류했다. ◇ "뇌 아닌 입에 전기 충격, 무의식 상태 아니다" 박 검사가 주목한 두 가지는 1·2심 무죄 판결을 파기환송심에서 유죄로 뒤집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어떤 결과
【코코타임즈】 https://youtu.be/kNfjaY8GbEE 연기학원 원장인 정이환은 ‘꼼지’ 아빠다. 비숑 꼼지는 걸어 다니는 하얀 솜사탕같이 너무 귀엽고 앙증맞다. 이 때문에 그는 퇴근길이면 꼼지를 빨리 보고싶은 마음에 걸음이 빨라진다. 비숑은 원래 프랑스어 '비숑 아 푸알 프리제'(Bichon à poil frisé; 곱슬거리는 털)를 의미한다. 비숑의 머리는 곱슬거리는 털이 자라면서 동그란 형태(일명 '화이바')가 된다(나무위키). 복슬복슬 하얀 솜털의 비숑은 움직이는 그 모습 하나하나가 매력 만점이다. 하얀 눈사람 같은 꼼지와 콤비를 이루듯 하얀색 털 스웨터를 입고 온 그를 경기도 일산 고양경기문화창조허브 스튜디오에서 만났다. -꼼지, 어떻게 키우게 됐나요? "사실은 강아지를 키우지 않으려 했어요. 예전 다른 강아지 맡아서 키워 2년 가까이 정들었는데, 원치 않게 다시 보내야 했거든요. 그때 너무 마음이 아픈 것이 오래가더라고요. 그런데 강아지를 너무 좋아하니까 길거리에 산책하는 강아지만 봐도 예뻐서 안 키울수가 없는 거예요. 그래서 만난 강아지가 바로 꼼지예요." -꼼지에게 아픔이 있다면
https://www.youtube.com/watch?v=LJ_kqkkywNg 그에겐 정말 예쁘고 사랑스러운 아이, 푸들 ‘똘이’가 있다. 그런데 똘이는 차 타는 걸 극도로 싫어한다. 그래서 어는 좋은 곳도, 함께 가질 못한다. 그렇다고 똘이는 떼놓고, 혼자서 멀리 여행가는 것은 마뜩찮다. 똘이의 그 아픈, 마음의 상처를 그는 알고 있어서 더 그렇다. 이 귀엽고 깜찍한 아이에게 남모를 아픔이 있다는 것이 어쩌면 그 아이를 더 애틋하게 품는 이유일지도 모른다. 한때 배우이기도 했지만 지금은 유투브 등 SNS 채널을 통해 우리나라 케이뷰티(K-Beauty)를 전세계로 알리고 있는 첨병, '뷰티 크리에이터'(Beauty Creator)로 정신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하지만, 그런 남다른 일상에서도 문지희가 꼽는 첫 손가락은 늘 똘이다. 그와 똘이를 경기도 일산 고양경기문화창조허브 스튜디오에서 만났다. 똘이는 크리스마스 시즌을 앞두고 목에 빨간 목도리를 두르고 나타났다. 정말, 듣던 대로 둘은 예뻤다. -똘이를 어떻게 만나게 되셨나요? "지금 8살인데, 저랑 보낸 시간은 4년이에요. 똘이는 한번 파양을 당했던 아이예요. 제가 아는 친구가 버려진 이 아이를 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