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강아지 뇌에는 물이 흐르고 있다. 뇌척수액(CSF: Cerebro-Spinal Fluid)이다. 뇌 건강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물질. 영양분을 공급하고, 외부 충격을 흡수해준다. 뇌실에 생긴 노폐물을 제거해주는 역할도 한다. 뇌척수액은 일정한 양을 유지하며 잘 순환해야 한다. 문제는 그렇지 못할 때 생긴다. 어떤 이유로 너무 많이 생겼거나, 흡수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때다. 그러면 뇌실에 압력이 높아지면서 여러 신경증적 증상이 나타난다. 이를 '뇌수두증'(Hydrocephalus), 또는 '뇌수종'이라 한다. 김용선 수의사(경기 수원 본동물의료센터 원장)는 "뇌수두증은 (선천성으로 많이 생기므로) 평생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라며 "소형견들에 잘 생기는데, 실제로 병원에서 CT나 MRI 찍어보면 뇌실이 커져 있는 아이들 제법 많이 볼 수 있다"고 했다. 발작 경련 마비 일으키는 뇌수두증...코커스패니얼 치와와 몰티즈 요키 등 소형견들에 잘 생겨 [개요] 개 두개골 내부의 뇌실(Ventricle)에서는 뇌척수액(CSF)이 계속해서 생성되고, 이 뇌척수액은 개의 몸 곳곳을 순환하다가 혈액 속으로 흡수하게 되어있다. 그러나 뇌척수액이 과다하게 증가
【코코타임즈】 담즙(쓸개즙)은 음식물을 소화하는데 없어선 안 될, 필수 요소다. 담즙은 간 옆에 붙어있는 담낭에서 만들어져 담관을 통해 장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담관에 염증이 생기면 담즙이 잘 배출되지 못하면서 각종 소화기 증상은 물론 신경병 증상이 생긴다. 개에게 흔한 질병은 아니다. 하지만 담관염이 간에까지 퍼지면 간혹 사망에까지 이르게 된다. 뒤늦게 치료 해도 예후가 좋지 않을 수도 있다. [증상] 담관염(cholangitis) 초기에는 눈에 띄는 특별한 증상이 없다. 이 때문에 개의 담관염 증상을 발견했을 때에는 이미 상당기간 병이 진행된 상태이다. 담관염에 걸린 개는 배가 빵빵해지고 식욕 저하가 일어난다. 간헐적으로 구토를 하거나, 이로 인해 빠른 체중 감소, 무기력함, 기절과 혼수상태를 보이기도 한다. 담관염이 악화되면 담관의 폐색(막힘)을 유발해 황달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원인] 개의 담관염 원인은 세균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중에서도 Escherichia coli(대장균), Enterococcus(장구균 ), Klebsiella( 협막 간균), Clostridium(클로스트리듐속의 세균), Fecal Streptococcus(분원성
【코코타임즈】 "중성화 수술엔 사실 정답이 없습니다. 나라마다, 나이마다, 견종마다, 암수마다 다 조금씩 효과나 부작용이 다르기 때문이죠." 중성화는 반려동물 보호자들에겐 참 까다로운 문제다. 하자니 부작용이 걱정 되고, 하지 말자니 나중에 병이 될까 조심스럽다. 전문가들이나 저널들에선 중성화를 권한다. 동물병원들마다 ‘슬개골 탈구 수술’과 ‘중성화 수술’을 기본 메뉴처럼 붙여 놓고 있다. 반면, 중성화 수술에 대한 부정적인 연구 결과도 있다. 국내외 수의사단체들도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어려워 한다. 그나마 미국동물병원협회(AAHA)가 “강아지 소형견은 생후 6개월 전후, 대형견은 9~15개월 전후가 적정하다”, 영국 소동물수의사협회(BSAVA)는 “고양이는 생후 16주 전후부터 중성화 수술이 가능하다”고 제안하고 있는 정도. 그래서 지난달 29일, 반려동물 교육채널 ‘위들아카데미’에서 유튜브로 진행한 ‘반려견과 반려묘의 중성화’ 라이브는 큰 관심을 끌었다. 방송이 끝난 후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참가자 98.4%는 “반려동물 중성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강의를 맡은 대구 두남자동물병원 박영탁 원장<사진>은 이날 “중성화 결정
【코코타임즈】 임신부가 고양이를 키우면 기형아를 낳거나 유산 한다는 얘기가 있다. 그래서 어렵사리 아기를 갖게 되면 키우던 고양이를 다른 집에 입양 보내는 사례도 적지 않다. 그렇다면 고양이가 태아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실일까? 먼저, 이런 얘기가 나오는 이유는 고양이를 숙주로 해 서식하는 '톡소플라즈마'(Toxoplasma)라는 기생충 때문. 톡소플라즈마는 사람 몸에 감염될 수 있고, 임신부가 감염되면 유산이 되거나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옮겨 지적장애, 실명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론 반려묘를 통해 톡소플라즈마에 감염될 확률이 매우 낮다는 것. 고양이는 보통 쥐 등 야생동물을 잡아먹으면서 톡소플라즈마에 감염된다. 그래서 집에서 사료만 먹고 자란 고양이는 감염 위험이 거의 없다. 반려묘가 톡소플라즈마에 감염됐어도 고양이 변을 손으로 만져, 기생충 알이 피부에 묻고, 이것이 입으로 들어가야만 사람에게 감염되기 때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양이 변에서 톡소플라즈마가 검출될 확률은 0.3~0.4%에 불과하다. 그렇다면 실내에서 키우는 고양이가 감염될 확률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오히려 사람이 덜 익힌 고기, 잘 씻지 않은 채소를 먹어 톡소플라
【코코타임즈】 고양이의 털 빠짐은 털을 ‘뿜는다’고 표현할 정도로 심하다. 보통 전신에 걸쳐 털이 빠지며, 털갈이 시기인 봄, 가을에는 더 많은 양의 털이 빠진다. 이는 지극히 정상적인 모습이다. 고양이 몸에 생긴 부분 탈모는 건강 이상 신호다. 원인과 의심해볼 수 있는 질병은 다양하다. 악성 종양이 생겼거나 과도한 그루밍, 호르몬 불균형, 습진, 피부 알레르기, 세균성 감염, 기생충 감염 등일 수도 있고 단순히 나이가 들어서일 수도 있다. 부분적으로 생긴 탈모는 질병을 의심해봐야 한다. 탈모 부위나 동반하는 증상에 따라 질병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 된다. #얼굴 부근 원형 탈모 얼굴 부근에 생긴 원형 탈모는 고양이 링웜(Ringworm)이라고도 부른다. 피부 사상균 곰팡이(진균)가 주된 원인이다. 면역력 약한 고양이가 피부 사상균에 감염된 동물 혹은 이 곰팡이에 노출됐을 때 옮는다. 탈모 부분이 붉거나 비듬, 딱지, 가벼운 가려움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간혹 사람도 옮기 때문에 고양이를 만진 후 피부가 가렵다면 피부과에서 치료받는 것이 좋다. #머리, 이마 탈모 특정 음식으로 인한 음식 알레르기 탈모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달걀 흰자는 소화력을 떨어뜨리는 아비
【코코타임즈】 고양이 귓병의 상당수는 외이염(Otitis externa)이다. 고양이 귓병의 80%가 외이염 때문이라 할 정도. 외이염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귀에서 고린내가 나고, 자꾸만 귀를 긁는 모습을 보인다. 외이염은 고막부터 귓바퀴로 이어지는 통로인 외이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외이도에 공기가 잘 통하지 않기에 냄새가 나곤 한다. 피부 각질층에 서식하는 말라세지아 균이나 기타 세균 감염, 곰팡이 감염, 귀지 과분비, 귀 종양, 쿠싱 질환 등이 주된 원인이다. 모든 질병은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하지만, 특히나 외이염에 대해 빠른 치료를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동물병원 수의사들부터 “외이염은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중이염'(Tympanitis)으로 악화하고, 심하면 안면 마비나 청력 손실의 우려가 있는 귓병"이라 주의를 당부한다. 중이염은 청각과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내이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내이에 염증이 생긴 고양이는 균형 감각을 잃거나 머리를 기울이고 다닌다. 또 걷는 모양새도 부자연스럽다. 제자리에서 빙빙 돌기도 한다. 마치 치매에 걸린 아이 같기도 하다. 때문에 외이염은 간단히 넘길 사안이 아니다. 예방과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
【코코타임즈】 강아지는 태어나서 3주가 지나면 유치가 올라온다. 4개월 무렵에는 유치가 하나 둘 빠지고 영구치가 올라오기 시작한다. 생후 7~8개월쯤에는 이갈이가 대부분 끝난다. 간혹 유치가 빠지지 않고 영구치가 자라기도 하는데, 이때는 영구치가 있어야 할 자리에 있지 못하고 유치도 쉽게 발치 되지 않는다. 게다가 부정교합을 유발하기 때문에 뻐드렁니가 되거나 송곳니가 입천장을 뚫는 등 말썽을 부리기도 한다. 유치와 영구치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면서 치석이 발생하고 잇몸이나 치아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강아지 유치가 생후 9개월 무렵까지 다 빠지지 않으면 유치 제거술을 받는 것이 좋다. 유치가 잔존해 있을 때는 치아가 두 줄로 나거나, 어금니가 잇달아 나는 등의 모습을 보인다. 만일 현재 나 있는 이빨이 유치인지 아닌지 확인이 어렵다면 이빨 개수를 세어보거나 병원에서 방사선 촬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다. 개 영구치 개수는 평균적으로 위 20개, 아래 22개로 총 42개다.
【코코타임즈】 노르웨지안 룬데훈트(Norwegian Lundehund)는 1500년 대경 노르웨이의 북부 해안에서 퍼핀(Puffin.바다쇠오리)과 퍼핀의 알을 사냥하는데 이용되던 견종이다. 오랜 기간 해안가 절벽을 기어오르며 사냥하던 습성 때문에 노르웨지안 룬데훈트는 신체적으로 몇 가지 큰 변화를 겪기도 했다. 양쪽 다리가 90˚ 각도로 벌어지게 됐으며, 머리가 등에 닿을 만큼 매우 유연한 목과 척추, 어깨를 가지고 있고, 귀를 접어 귓속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도 있다. 또한, 노르웨지안 룬데훈트의 발가락은 양쪽 각 여섯 개씩 가지고 있으며, 여섯 번째 발가락은 사람의 엄지손가락처럼 바깥으로 휘어져 있어 절벽을 오를 때 더욱 단단히 바위를 잡을 수 있다. 19세기, 퍼핀의 사냥이 법으로 금지되며 노르웨지안 룬데훈트를 키우는 사냥꾼은 점점 줄게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이 견종은 거의 멸종에 가까울 만큼 개체 수가 줄었다가 간신히 명맥을 이어갈 만큼 유지됐다고 한다. 현재도 북유럽 쪽을 제외하면 만나기 어려운 소수의 견종으로 취급된다. AKC에서는 2011년 정식으로 공인 됐다. 적당한 근육질 몸매에 머리는 작은 편이며, 짙은 갈색의 눈은
【코코타임즈】 종양을 제외하고, 나이가 들수록 반려동물에 가장 고약한 질환은 바로 '신장질환'이 아닐까 싶다. 통계상으로도 고양이 사망 원인의 2위, 개의 사망 원인 3위가 바로 신장질환이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신장질환은 여간해서는 티가 나지도 않아 심각한 상황이 되어서야 알아차리곤 한다. 소변으로 세심한 관찰 필요 근래에 반려동물의 소변량이 평소보다 현저히 증가하거나 유난히 투명한 색이라면 일단 경계경보를 울려야 한다. 이런 증상을 보였다면, 최근 들어 물도 많이 마셨을 가능성이 크다. 고양이의 경우 이전보다 화장실 모래를 자주 교체해줘야 하거나 모래가 끈적거리는 현상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만약 소변을 자주 보려 하기는 하는데 잘 보지 못하거나 찔끔거린다면, 상황이 더욱 좋지 않은 것이다. 신장질환, 생명을 앗아갈 수도... 신장은 손상 정도에 따라 삶의 질이 현저히 저하된다. 심지어 생명을 앗아가기도 한다. 신장이 몸에서 꽤나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신장은 혈액 내 불필요한 노폐물을 걸러낸 뒤 소변을 통해 배출시키는 것이 핵심 역할이다. 혈압을 안정적으로 조절하기도 하고 몸의 수분량과 전해질, 산
【코코타임즈】 반려견이 격렬한 놀이나 야외활동 도중 꺽꺽거리며 거위 울음소리를 내는 모습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흥분하거나 목줄이 목을 자극해 호흡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호흡 곤란으로 사망에 이르기도 만드는 '기관 허탈'(Tracheal collpase)이다. 봄에서 여름,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환절기에 종종 볼 수 있다. 여기서 '기관'은 코와 입으로 들이마신 숨을 허파로 전달하는 공기 통로다. 기관의 75%가 연골, 나머지는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관 허탈'은 바로 이 연골이 선천적 혹은 후천적인 요인으로 납작해지고 근육이 내려 앉아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것. 선천적으로 기관 허탈에 걸리기 쉬운 대표적인 품종으로는 요크셔 테리어가 있다. 이 종의 70%는 기관 허탈에 시달릴 만큼 발병률이 높다. 자세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종의 특이성으로 연골이 쉽게 무너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밖에도 몰티즈, 포메라니안, 푸들 등 소형견들이 여기에 잘 걸린다. 후천적인 요인으로는 노령과 비만이 있다. 서울 로얄동물메디컬센터 이기종 원장<사진>은 "강아지가 호흡 곤란을 보이거나 거위 울음소리를 낸다면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