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지난 2017년, 미국 뉴욕 'Mount Sinai Kravis 어린이병원'. 여기선 그해 11월부터 3개월동안 강아지를 활용한 실험이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중환자실과 소아과 병동 간호사들이 그 대상이었어요. 이들이 느끼는 스트레스가 큰데, 그 스트레스가 어떻게 변화하는 지가 목적이었죠. 이를 위해 래브라도 리트리버가 '치료도우미견'(therapy dog)으로 등장했습니다. 이미 잘 훈련된 강아지들이었죠. 이들을 교육시켜온 핸들러(handler)와 도우미견들이 간호사가 환자를 돌볼 때나 병원 업무 시간 내내 함께 했습니다. 아이들 치료에 동반한 거죠. 또 쉬는 시간에는 도우미견들을 쓰다듬고, 안아주고 하며 이들과 간호사들의 상호 교감 프로그램을 진행했고요. 그 결과, 치료도우미견과 함께 생활한 간호사들은 스트레스가 줄고, 환자를 돌보며 느꼈던 고통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합니다. 일정한 자격을 갖춘 반려동물과 함께 육체적 정신적 질환을 치료하는 것을 '동물매개치료'(AAT, Animal Assisted Therapy)라 합니다. 이를 통해 질환이 있는 사람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적응력이 향상되기도 하죠. 적용 대상이 넓어지는 동물매개치료
【코코타임즈】 로봇개의 활약상이 놀랍다. 이제 사람들 생활 곳곳으로 그들의 활동 반경이 빠르게 커지고 있어서다. 이들의 역할은 치료견, 반려견, 탐사견, 군견 등 벌써 다양하다. 오히려 극한 환경이나 강력한 파워를 발휘해야 하는 곳에선 더 적임이다. 먼저, 영국에 위치한 포츠머스 대학(University of Portsmouth) 연구팀은 최근 "로봇 동물은 실제 동물과 비교했을 때 인간에게 ‘완벽한 대체물’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이를 뒷받침할 근거는, 그들의 연구 결과다. 연구팀은 11~12세의 34명 아이들에게 실제 강아지와 생체 모방 로봇(biomimetic robot) ‘미로-E’(Miro-E)를 만나게 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아이들은 실제 강아지, 그리고 ‘미로-E’와 비슷한 시간을 보냈다. 하지만, 실제 강아지보다 ‘미로-E’와 더 많은 소통을 나누고 있었다. 이는 특히 아이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긍정적인 감정을 표출하는 데 도움이 됐다. 연구팀은 “‘미로-E’는 테라피독(therapy dog)과 유사한 치료 효과를 갖고 있다"라며 “하지만 이는 (잠재력이란 측면에서) 치료견 이상의 작용을 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처럼 인간을 위한 로봇
【코코타임즈】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 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그 여파가 미치지 않은 곳이 거의 없는 요즘, 특히 병원균 감염에 특급 주의가 필요한 병원은 더욱 긴장감이 나돈다. 어린이 병동은 더 그렇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 환자들이 있는 곳이니 주의 사항도 두배다. '가나가와현(神奈川県)아동의료센터'. 소아암 등 큰 병과 싸우고 있는 어린이들이 많이 입원해 있는 전문병원이다. 조용한 복도에 한 마리의 골든 리트리버가 걸어간다. 개를 발견한 어린이들이 병실 여기저기서 웅성거리며 얼굴을 비치기 시작한다. 힘없이 계속 누워만 있던 한 남자 아이는 개를 보자마자 상반신을 천천히 세워 밝은 얼굴로 웃는다. 함께 있던 의사와 간호사들 눈이 휘둥그레질 정도다. 우울증으로 평소엔 말 한 마디도 하지 않던 아이도 반갑게 이름을 부르며 개를 쓰다듬는다. 이 골든 리트리버 '애니(アニ)'는 병원에 상주 근무하는 어엿한 직원이다. 이른바 '퍼실리티 독(facility dog)'. '퍼실리티 독'이란 동물매개치료(animal therapy) 중에서도 고도의 전문적 훈련을 받은 개들이다. '심리치료도우미견'(therapy dog)의 한 종류이기도 하지만, 다른 치료
【코코타임즈】 삽살개(shaggy dog)는 '살기를 없애고 귀신을 물리친다'는 뜻을 가진 순우리말의 개 이름으로 '삽사리'라고도 불린다. 한반도의 동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서식했던 것으로 전해오며, 민담이나 시가(詩歌) 등에도 자주 등장해왔다. 400년 전, 왕실과 귀족층의 사랑을 받으며 길러 오다가 통일신라가 멸망하며 민가에까지 흘러가게 되었고 그 후로는 대표적인 서민 개로 우리 민족과 함께 해 왔었다. 일제 강점기 시절, 조선의 개는 일본이 독점한다는 말도 안 되는 [조선총독부령] 제26호에 의거, 공권력 주도하에 삽살개는 무참히 학살당했고 당시 희생된 삽살개의 가죽들은 일본군의 군용모피 자원으로 사용되는 비참함을 겪었다. 그 후 6.25를 지나며 삽살개는 기어이 멸종 위기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천만 다행히도 1969년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교수진을 중심으로 삽살개의 복원작업이 시작되었고, 1992년 3월 삽살개 복원에 매진하던 경북대학교 하지홍 교수팀의 추천에 의해 천연기념물 제368호로 지정되었다.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 거치며 거의 멸종 위기...경북대 교수진, 삽살개 복원 작업 현재는 주로 경북 경산 지역에서 순수한 혈통을 잘 보존한 채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