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사람에게도 반려동물에게도, 비만은 ‘건강의 적’이다. 반려동물도 과도한 영양식에다 과식으로 인한 비만이 심각한 질병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 미국반려동물제품협회(APPA)의 2018년 자료에 따르면, 미국 반려견의 55.8%가 "과체중" 또는 "비만"이었다. 반려묘는 그보다 더 많은 59.6%기 "과체중" 내지 "비만"으로 간주됐다. 문제는 그런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판정받은 반려견과 반려묘의 50~60%가 나중에 당뇨병에 걸렸다는 것. 이에 따라 우리나라 보호자들 역시 최근 들어선 반려동물의 체중관리에 고심하고 있다. 펫사료 브랜드 로얄캐닌이 지난달 입소스(Ipsos)에 의뢰한 ‘반려동물 현황 및 건강 관련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보호자들이 반려견 건강에 대한 걱정 중 가장 큰 것은 바로 ‘체중 관리’(23.6%)였던 것은 그런 증거다. 이어 ‘소화 및 배변 상태’(14.5%)가 2위, ‘노령에 따른 질환’(14.3%)이 3위를 차지했다. 반려동물 비만도는 크게 다섯 단계로 나뉜다. 먼저 척추와 갈비뼈, 골반이 뚜렷이 눈으로 보이면 가장 마른 체형인 '1단계'다. 또 갈비뼈가 만져지고 골반이 튀어 나왔다면 조금 마른 체형
【코코타임즈】 일반적으로 개는 사람과 달라 운동으로 살을 빼기란 더 어렵다. 행여 운동으로 다이어트를 시킨다 하더라도 살이 빠지기 전에 관절이 먼저 망가지고 만다. 따라서 다이어트가 필요한 개는 운동이 아닌 식단 관리가 우선이다. 그렇다면 다이어트를 위해 식단은 어떻게 관리해줘야 할까? 개의 다이어트를 위해 가장 먼저 할 일은 기존 사료를 다이어트용 사료로 교체하는 것이다. 다이어트 사료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단백질 함량이 높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은 적은 열량으로도 포만감을 줄 수 있고, 고단백 식품을 통해 기초대사량과 근육량을 높여 쉽게 살찌지 않는 체질로 만들어준다. 다만 신장이나 간이 좋지 않은 동물은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그래서 다이어트 사료를 주기 전, 건강검진을 받고 수의사와 상담을 거쳐봐야 한다. 건강에 따른 적정 목표체중을 찾기 위해서도 수의사와의 충분한 대화가 필요하다. 만약, 건강상의 이유로 다이어트 사료를 줄 수 없다면, 일반 사료의 양은 줄이되, 포만감을 위해 물을 타서 주거나 습식사료를 주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 간식이 생활화돼 있어 끊기 어렵더라도 집중 다이어트 기간은 보조제나 간식, 과일 등을 주
【코코타임즈】 닥스훈트를 키우고 있는 김선영씨(서울 종로구)는 '봄이'가 밥을 잘 먹지 않자 새로운 사료로 바꿨다. 그런데 이번엔 봄이가 새 사료를 너무 잘 먹어 고민이다. 체중이 순식간에 불어난 것. 다리가 짧은 닥스훈트 품종이라서 살이 찌니 몸통 전체가 빵빵해지고 배가 거의 땅에 닿을 지경에 이르렀다. 별명도 '쏘세지'가 아니라 '핫도그'가 더 어울리는 상황. 게다가 봄이 체중이 늘자 산책이 어려워졌다. 비만한 강아지는 관절에 무리가 가니 운동도 하지 말라고 하는데 살을 뺄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없을까? 동물이 살을 빼기 위해서는 '음식을 통한 칼로리 조절'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고안된 것이 다이어트 전용 사료. 다이어트 사료, 무엇이 다를까? 다이어트 전용 사료는 무엇보다 식이섬유 함량이 높고 단백질이 풍부하다. 식이섬유는 혈당이 오르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비만의 합병증인 당뇨병을 예방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대장 활동을 원활히 하므로 변비 예방에도 탁월하다. 게다가 섬유질은 포만감은 높여주지만 열량이 거의 없어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다. 고단백인 다이어트 사료는 요요현상을 예방하고 지방보다는 근육에 관여해 살이 찌는 체질을 개선할 수도 있다
【코코타임즈】 요즘은 개인적 신념 때문에 채식을 하거나 유행하는 다이어트 식단을 시도하는 사람들이 많다. 심지어 반려동물에게도 같은 식단을 적용하는 이들이 느는 추세. 과연 그래도 안전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답은 ‘아니오’다. 모든 사진 출처: Pixabay 세계소동물수의사회(The World Small Animal Veterinary Association)는 반려동물의 품종, 몸무게, 신체 구조, 건강 상태에 따라 식단을 달리 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수의학과(The Ohio State University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의 발레리 파커(Valerie Parker) 박사는 그중에서도 특히 피해야 할 유행 다이어트식단을 꼽았다. 곡류를 배제한 그레인 프리(Grain Free) 식단 다이어트를 하려면 탄수화물 섭취부터 줄여야 한다는 말, 한번쯤은 들어 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글루텐이 건강에 나쁘다며 밀가루를 끊는 사람들도 있다. 그야말로 탄수화물의 수난시대인 것. 이런 추세를 반영하듯 반려인들 사이에서도 그레인 프리 사료가 인기다. 옥수수, 대두, 밀, 쌀, 보리 대신 완두콩, 렌틸콩, 병아리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