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COCOTimes)】 반려견이 세상을 떠난 뒤 슬픔을 지속적으로 느끼는 ‘반려동물 상실 증후군’(pet loss syndrome)을 앓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영국의 정신의학자이자 정신분석가 볼비(John Bowlby)는 "사랑했던 사람을 잃었을 때 애도의 과정은 네 단계를 거친다"고 이야기한다. 물론 사랑하는 사람이 반려동물이어도 애도의 과정이 나타난다. 첫 번째로 중요한 타인이 실제로 죽었다는 사실을 믿지 못하고 정서적으로 무감각해지는 단계가 나타난다. 두 번째는 갈망(yearning)과 찾기(searching) 단계로 이때는 상실의 현실을 직시하고 무감각이 사라지기 시작한다. 세 번째는 혼란(disorganization)과 절망(despair) 단계로 피로와 우울 증상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고, 마지막으로 사랑하는 사람이 없는 세상을 수용하는 쪽으로 변화는 재정립 단계로 이뤄진다. 이 중 갈망과 혼란, 절망 단계에서 극복을 못해 지속적으로 반려동물상실증후군을 앓게 되기도 한다. 그럼 우리가 반려동물을 잃었을 때 감정을 치유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미국 수의사회(AVMA,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
【코코타임즈(COCOTimes)】 일본 도쿄 시부야역 앞에는 특별한 개 동상이 하나 있다. '하치코'라는 개이다. 하치코는 매일 주인과 함께 집에서 지하철역까지 걸어갔다가 주인이 지하철을 타면, 저녁 퇴근할 때까지 거기서 기다렸다. 도쿄대학 교수(농학부)였던 주인이 도착하면 함께 집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1925년 어느 날, 주인이 갑자기 뇌출혈로 세상을 떠나게 된다. 그 사실을 몰랐던 하치코는 목숨이 다 할 때까지 무려 9년이나 역 부근에서 하염없이 주인을 기다렸다고 한다. 이런 하치코 사연은 한 신문에 보도가 됐고, 이를 본 어떤 조각가가 조각상을 만들고 싶다는 뜻을 시청에 제안해 지금의 충견 동상이 생겼다. 이 감동적인 이야기는 나중에 '하치 이야기'(1987년)란 타이틀로 영화가 됐고, 2009년엔 미국에서도 리처드 기어가 주연을 한 영화 'Hachi Story'로 리메이크 됐다. 우리나라에도 있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렸을 만큼 많은 이들에게 알려진 충견 이야기다. 신라시대에 한 무덤가에서 주인이 낮잠이 들었는데, 무덤 주변에 불이 나자 개가 털에 물을 묻혀와 불을 끄고, 주인을 살렸다는 것이다. 깨어난 개 주인이 자기 목숨을 구해준 것을 고맙게 여
【코코타임즈】 강아지나 고양이 등 반려동물과 어울리면 사람은 심리적 안정과 함께 삶의 활력을 되찾는다. 특히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기피하는 자폐증 아동이나 인지 장애가 진행되고 있는 노인들에게선 그런 효과가 두드러진다는 연구 결과도 많다.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동물매개치료'(Animal assisted therapy, AAT)도 바로 그런 특성과 효과를 반영한 심리치료법의 일종. 일정한 자격을 갖춘 '치료도우미 동물'을 활용한다. 사람과 교감이 잘 된다는 개(dog)가 가장 많이 쓰이지만, 고양이 물고기 토끼 등도 선발해 훈련 시킨 후 도우미로 활용한다. HAB(human animal bond), 즉 사람과 동물 사이 유대를 통해 질병을 개선하거나 보완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대체의학적 요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AAT는 여러 명을 모아 놓고 서로의 변화를 비교해가며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치유 효과가 더 높기 때문.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가그런 치료 사례들을 모아 '집단상담을 위한 동물매개치료의 이론과 실제'<사진>를 10일 펴냈다. 김옥진 회장(원광대 교수)<사진>을 비롯해 강원국 사무국장, 오가영·이현아 상임이사가 함께 썼다. 그
【코코타임즈】 저의 반려견은 밤 9시 30분이 되면 혼자서 조용히 안방으로 들어가 반려견 계단이 놓인 침대에 올라 잠을 먼저 청하곤 합니다. 그렇게 저의 반려견과 함께 동침하며 잠을 청한 지도 이제 6년이 되어 가는 듯 하네요. 잠을 잘 때 반려견을 꼭 안고 자면 무언가 마음의 안정을 찾는 것 같아 함께 자는게 좋다는 생각도 있지만, 어떤 날은 저의 다리 밑에서 곤히 잠을 자고 있는 반려견이 깰까 움직임에 불편함을 느껴 선잠을 자는 경우도 다반사입니다.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반려견을 키우시는 분이라면 공감을 할 텐데요. 반려견과 함께 수면을 취하는 것은 사람에게 어떠한 영향을 줄까요? 최근 연구 결과로는 인간 건강에 이롭다고 합니다. 지난 2015년 미국의 미국 미네소타의 메이요클리닉(Mayo Clinic) 수면센터 연구진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150명을 대상으로 수면 습관 및 수면의 질을 조사하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전체 조사 참가자의 56%가 자신의 반려견이나 반려묘와 함께 침대 혹은 침실을 공유한다고 답하였고, 이중 반려동물 때문에 수면을 방해 받는다고 답한 사람은 20%였던 반면, 오히려 수면에 도움이 된다고 말한 사람은 2배에 달하는 41
【코코타임즈】 사랑하는 내 반려동물이 언제가 내 곁을 떠난다면 내 삶은 어떻게 바뀔까요? 가족을 잃은 것이나 다름없으니, 그 때의 충격이야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실제로 반려동물이 세상을 떠나서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많습니다. 극도의 상실감과 슬픔, 우울감, 절망감 등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심할 경우 자살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펫로스신드롬'(Pet loss Syndrome)이란 말을 들어보셨나요? 반려동물을 잃고 난 이후 보호자들이 겪는 여러가지 정신적인 충격, 그리고 우울증 증세입니다. 지난 2019년 KBS에서 우리나라 50~60대를 대상으로 '내 삶의 우선 순위'를 조사한 적이 있었는데요. 당시 결과는 1위 자기 자신, 2위 배우자, 3위 자녀, 4위 부모 형제에 이어 5위가 반려동물이었습니다. 그래서 반려동물을 한 가족 구성원으로 생각을 하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고, 그로 인해 반려동물이 세상을 떠났을 때 단순히 동물을 잃는 것이 아니라 가족을 잃는 감정을 고스란히 겪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죠. 현재 우리 사회는 반려견의 '노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원하지 않아도 ‘반려동물 상실 증후군’(pet loss syndrome)을
【코코타임즈】 최근 미국에서는 '소 껴안기'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쌓인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동물과의 교감을 통해 치유하고자 많은 사람들이 농장에 있는 소와 껴안기 프로그램을 참여했고, 그 결과 심리적 안정감을 얻은 사례가 많습니다. 최근 농장에는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단순히 작물이나 동물들을 재배하거나 키우는 것이 아닌 몸이 좋지 않은 사람 또는 의학적·사회적인 치료가 필요한 사람들이 식물을 가꾸고 동물을 돌보며 재활운동을 하는 농장으로 탈바꿈하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특히, 동물들에게 먹이를 주는 활동을 통해 신체적 건강을 향상 시켜주고, 이러한 경험은 생명에 대한 소중함과 소유 의식을 비롯해 자기 자신이 주체가 된다는 자존감을 키워주며 정신적인 치료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1974년에 설립된 미국 뉴욕 Brewster 시에 있는 Green Chimneys라는 비영리단체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농장동물을 활용한 치료와 교육을 진행해봤습니다. 이 단체에서 운영하는 동물농장에는 양, 염소, 닭, 개등 약 300종에 이르는 동물들이 있으며, 동물에게 ‘먹이주기’, ‘집 청소해주기’, ‘쓰다듬기’, ‘동물 숲 탐색하기’,
【코코타임즈】 흔히 승마는 말(馬)과 사람이 일체가 되어야 하는 특수한 성격을 지닌 운동으로서 신체를 단련하고 기사도 정신을 함양하여 호연지기를 기르는 스포츠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승마 활동에도 조금씩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스포츠 및 신체적, 정서적 치료를 위한 승마 활동 등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우리는 ‘재활승마’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재활승마는 1958년 영국에서 최초로 시작되어, 1980년 유럽국가 단체들을 중심으로 세계장애인승마연맹(Federation of Riding for the Disabled International)이 창립되며 전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국내의 경우, 2011년 삼성전자 승마단에서 재활승마를 최초로 도입을 하였고, 2015년 한국마사회에서도 재활승마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최근 경기도 시흥에서는 청소년의 체력 증진과 심신 수양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학생 승마체험 사업’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서울 강동구에서는 올 4월부터 중증 장애인과 발달 장애인을 위한 재활승마교실을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마상체조’, ‘평보’, ‘속보’ 등으로 프로그램을 재활승마를 구성하여 진행하였고, 신체적으로 거동이
【코코타임즈】 2019년 전북 김제. 이곳의 한 초등학교에서는 농촌진흥청의 국립축산과학원이 운영하는 동물농장 시범사업을 신청했습니다. 시골 학교여서 아이들이 많이 접하고, 또 직접 키울 수 있는 토끼가 그 대상이었죠. 그러면서 생명의 소중함을 깨닫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인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을까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토끼의 행동 특성과 먹이 습성 등을 통해 학생들이 토끼의 생태를 알아가는 다양한 방법들이 마련됐습니다. ‘토끼 먹이 주기, ’토끼 집 꾸며주기, ‘토끼의 일생’, ‘토끼 가면 만들기’와 같은 교감 프로그램도 진행됐죠. 그 결과, 아이들은 이전보다 훨씬 더 생명을 존중하고, 인성이 풍부해지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합니다. 이와 같이 동물을 활용하여 교육과 정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전문가가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과학적 평가를 진행하는 것을 '동물매개교육'(Animal Assisted Education; AAE)이라 합니다. 전북 익산의 한 초등학교에서도 이를 실행해보았습니다. 유기견 2마리를 입양해 학교 안에서 키우게 해본 거죠. 또 강아지를 교실로 들어올 수 있게 한 후 아이들과 함께 수업도 듣게 했어요. 그리고는 아이들이 돌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