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강아지 고양이를 '가족'이라 하면서도, 아이들 죽은 후 화장(火葬)을 하고 제대로 장례 치러주는 비율은 아직 10%가 채 되지 않는다. 10마리 중 9마리는 아직도 예전처럼 산과 들에 묻거나, 생활쓰레기 또는 의료폐기물로 버리는 일이 여전하다는 것. 우리나라 반려견은 현재 600만 마리 이상. 고양이도 250만 마리가 넘는다. 견종 묘종마다 다르겠지만, 이들의 평균 연령을 15년이라 가정한다면 한 해 무지개 다리를 건너는 아이들만 56만7천마리나 된다. 하지만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동물장례식장에서 화장으로 장례를 치러준 건 3만3천998마리뿐이었다. 1년 평균 무지개 다리를 건널 56만7천마리의 6.0%에 불과하다.그렇다면 나머지 53만여 마리 사체는? 여러 통계나 조사를 종합하면, 산이나 들에 묻어 버리는 비율이 아직도 절반 이상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현행법상 '불법'이다. 자연 환경을 훼손하고,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외에 생활 쓰레기봉투에 넣어 버리는 비율, 또는 동물병원에 위탁해 다른 의료폐기물과 함께 소각해버리는 비율도 아직 높다. 은밀히 진행되기에 공식적인 통계도 물론 없다. 하지만 어
【코코타임즈】 반려동물들의 화장을 전문으로 하는 합법적인 '등록' 장례식장이 드디어 40개를 돌파했다. 2019년 10월 현재 농림부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동물보호법과 폐기물관리법 등 법률의 '등록' 요건을 모두 충족한 전국의 동물장묘업체는 이제 40곳에 이르렀다. 동물 전용 장례식장은 지난해 11월 말까지만 해도 전국에 28곳에 불과했다. 2000년 전후, 국내에 동물화장장과 동물장례식장이 처음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거의 1년 사이에 무려 12곳이 한꺼번에 늘어나기는 사실상 처음이다. 특히 경남엔 김해 양산에만 펫누리 시민장례식장 펫로스케어 아이헤븐 위드업 펫노블레스 등 6곳이 새로 생겨나 벌써부터 과당 경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전국을 주민 생활권역별로 나누어볼 때, 수도권은 17곳, 동남권 9곳, 충청권 8곳, 대경+강원권 4곳, 호남권 2곳 등으로 수요-공급 사이에 조금씩 균형이 맞춰지기 시작했다. 이처럼 반려동물 장례식장들이 빠르게 늘어나는 것은 반려동물이 죽으면 최소한 '화장(火葬)'이라도 치러주는 것을 당연시하는 최근의 사회 흐름을 반영하고 있는 것. 이에 따라 일부 지자체들은 '공설' 장례식장을 설치하려는 움직임도 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