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COCOTimes)】 개 피부암(Skin cancer)이란 개의 피부에 종양이 관찰 되는 것을 의미하며 중년 이상의 노견일수록 발병 확률이 높다. 개 피부암은 크게 악성 종양과 양성 종양으로 분류한다. 양성 종양은 개가 통증을 느끼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종양의 성장 속도 또한 느리게 변화하거나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반면 악성의 경우는 명확하지 않은 종양의 모습을 보이며 성장 속도 또한 매우 빠르다. 피부암에 약한 특정 견종으로는 시추와 마스티프, 바셋하운드, 블러드하운드 등이 있다. [증상] 개 피부암의 증상은 전이 정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개는 아래의 증상들이 종양의 크기와 함께 통증도 점점 강해지게 된다. 개가 피부암에 노출되면 음식물을 삼키기 힘들어하며 이에 따른 식욕 저하와 체중감소가 나타난다. 활동량 저하와 구토, 설사, 기침, 무기력, 탈모, 지속적인 피부 병변, 신체 개구부(opening)의 출혈과 분비물들이 지속적으로 관찰되며 배변에도 어려움을 보인다. [원인] 개 피부암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사람과 마찬가지로 개 또한 햇빛의 과도한 노출은 피부암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적 요인과
【코코타임즈】 피부, 코, 입과 같이 몸의 외부와 닿는 표면엔 비만세포(mast cell)가 있다. 그런데 세균 또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노출되면 비만세포는 히스타민 같은 화학물질들을 분출해 가려움, 재채기, 눈물, 콧물 등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킨다. 비만세포종(MCT, mast cell tumor)은 바로 이런 비만세포에 생긴 악성 종양이다. 개에게서 가장 흔한 피부암이다. 드물게는 비장, 간, 위장, 골수 등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비만세포로 이루어진 종양은 불안정하다. 만지면 붉게 부어오르고 가려워진다. 특히 피부에 난 혹이 하루 안에 커졌다 작아졌다를 반복하면 이는 비만세포종일 가능성이 크다. [증상] 피부에 발생하는 비만세포종은 피부 밑에 덩어리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또 붉게 부어 오르기도 하다. 대개 그 덩어리는 커졌다 작아졌다를 반복한다. 그런데 비만세포종은 몇 달 동안 성장하지 않고 있을 수도 있고, 갑자기 생겨서 빨리 성장할 수도 있다.림프절, 비장, 간 등으로 잘 전이된다. 비만세포의 화학물질이 한꺼번에 혈관에 배출되면 몸 전체에 문제를 일으킨다. 출혈까지 일어난다. 또 심한 저혈압, 염증 반응으로 인한 쇼크 등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이
【코코타임즈】 피부암(skin cancer)은 림프종(lymphoma)에 이어 고양이에서 두 번째로 흔한 암이다. 그중에서도 기저세포종(basal cell tumor), 비만세포종(mast cell cancer) 등이 가장 많다. 섬유육종(fibrosarcoma), 편평세포암종(squamous cell carcinoma) 등도 많이 걸린다. [증상] 피부암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피부암과 염증성 질환을 구분하기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을 구분하는 것은 특화된 지식과 장비가 필요하다. 대개는 털이 빠진 부위, 변색된 부위에서 발견할 수 있다. 피부암은 주로 피부에 있는 작은 덩어리, 발진이나 궤양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그중에서도 기저세포종은 덩어리에 궤양이 생기거나 줄기처럼 뻗기도 한다. 고양이에서는 색소가 침착되어 변색되기도 한다. 비만세포종은 주로 머리와 목 주변, 또는 귀에서 발견된다. 비만세포는 알레르기 반응과 연관이 있는 히스타민을 분비한다. 종양이 되면 비만세포는 히스타민을 한꺼번에 분비하여 붉게 부어오르고 하루 안에도 크기가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히스타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