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반려동물 통계가 주무부처 농림축산식품부와 정부 통계청 사이에 차이가 너무 크다는 지적에 통계청은 “우리 수치가 맞다”면서 15%가 정부의 공식 ‘승인통계’라고 했다. 12일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류근관 통계청장은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홍근 위원(더불어민주당)이 "인구주택총조사 결과가 제가 그동안 알던 지식과 너무 달라 깜짝 놀랐다"고 지적하자 다음과 같이 답변했다.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는 우리나라 전체 모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한다. 통계청 숫자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온라인으로 5천 가구를 조사해 확장한 숫자 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데, 통계청 수치가 신뢰성이 있다고 감히 말씀드린다." 이와 관련, 농식품부는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약 27.7%(638만가구)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다고 했다. 전체가구의 4분의 1이다. “우리나라 640만 가구 1천500명이 개와 고양이 680만 마리를 키우고 있다”는 얘기도 그에 근거한 것. 반면 통계청은 최근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지난해 11월 현재 약 15.0%인 312만9천 가구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다”고 했다. 정부 부처 사이에 같은 통계를 놓고 무려 1
【코코타임즈】 통계청이 우리나라 전체 가구를 꼼꼼히 조사해보니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는 300만 가구가 조금 넘었다. 전체 가구의 15%에 불과하다. 그동안 “약 650만 가구로 전체의 25~27%에 이른다”던 여러 추계치가 실제론 엉터리에 가까웠던 셈이다. 심지어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 통계와도 배 이상 차이가 났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 표본 집계 결과, 전체 2천92만7천가구 중 312만9천가구가 반려동물을 키운다고 답했다. 전체 가구의 약 15%다. 그중 강아지를 키우는 집은 242만3천 가구(11.6%), 고양이 키우는 집은 71만7천 가구(3.4%)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반려동물 관련 통계를 내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어린이 수는 줄고 있는데, 강아지 고양이 수는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에 상응한 사회현상의 변화를 짚어보려는 취지. 특히 인구주택총조사는 전국에 걸친 전수조사 형태인 만큼 현장의 수치를 가장 잘 반영한 결과로 꼽힌다. 그런데 통계청의 이번 조사 결과는 그동안 여러 기관들이 경쟁적으로 추정해왔던 추계치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대표적인 것이 반려동물 가구수. 지금까지 우리나라 반려동물 양육가구는 약 650만 가구, 전체
【코코타임즈】 애견 및 애묘 등 반려상품과 관련된 상표 출원이 2014년 이후 5년간 연평균 무려 12% 이상 늘어났다. 14년 7546건에서 2019년 1만3,256건으로 증가했기 때문. 상표 출원 시 지정하는 상품 및 서비스업도 함께 다양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개목걸이, 개집, 개밥그릇' 등에서 최근에는 '산책업, 애견팬션·호텔운영업, 애견관련 미용업 및 목욕업' 등으로. 또 ‘반려동물 장례서비스업, 반려동물 분실방지용 GPS 위치추적장치, 반려동물 심리치료업, 반려동물 건강관리서비스업’ 등 새로운 서비스업종도 많아졌다. 특히 반려동물용 식이보충제를 지정상품으로 한 상표출원은 2014년 3건에서 2019년 481건으로 급증했으며, 반려동물 훈련업 143.8%, 반려동물 호텔업 69.4%, 반려동물 미용업은 55.0% 증가했다. 특허청 문삼섭 상표디자인심사국장은 10일 “반려산업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상품과 서비스도 고급화·다양화되면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 출원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한편, 반려산업 시장이 성장하면서 다양한 신조어가 생겨나고 있다.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사람을 뜻하는 ‘펫팸족’, 아이 없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