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종근당바이오가 '라비벳'의 장 건강&구강 유산균 제품을 리뉴얼했다. 강아지가 싫어하는 일부 향을 없애 반려동물 기호도를 높이는 한편, 입과 장 기능 강화에 도움을 주는 비타민B2 등 기능성 성분을 추가한 것. 플라그 제거와 입냄새 없애는 효과가 보강됐다. 20일 종근당바이오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장과 구강 건강을 한번에 관리하는 유산균 브랜드 '라비벳'은 장 기능 개선 유산균 3종 및 유산균의 먹이 역할을 하는 프리바이오틱스, 구강 건강 특허 유산균인 '오랄 프로텍트-L'을 함유하고 있다. 장 건강뿐 아니라 구강 내 유해균 성장 억제 및 구강 건강 개선에 도움을 준다. 라비벳은 여기에 반려동물의 제품 기호도를 대폭 개선했다. 이와 함께 구취 제거와 구강 케어 기능까지 강화했다. 향에 민감한 반려동물을 고려해 기존의 복합 허브 추출물과 프로폴리스를 제외하는 대신, 향이 적고 기능성은 높인 비타민B와 STAY-C® 50 성분을 추가한 것. STAY-C® 50은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강아지·고양이 임상 실험에서 플라그 형성 억제 효과가 확인된 구강 건강 특화 성분. 또 비타민 B2는 구내염 예방 및 항산화 작용 기능이
【코코타임즈】 건강한 개는 입 냄새가 거의 나지 않는다. 물론 음식을 먹고 난 뒤에는 일시적으로 냄새가 날 수 있지만, 양치질 후에는 입 냄새가 사라져야 정상이다. 가볍게는 치석, 치주 질환이 구취 원인 중 하나로 손꼽힌다. 청담우리동물병원 윤병국 원장은 “개 구취는 구강질환으로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라고 했다. 그래서 입 냄새가 부쩍 심해졌을 때는 스케일링을 고려해봐야 한다. 치석이 각종 구강질환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이유가 아닌데도 구취가 계속되거나 입 주변을 만져 냄새가 나는 것은 건강 이상 신호다. 식도, 위, 장에 문제가 있거나 콩팥 기능이 떨어졌을 때도 입 냄새가 날 수 있다. 특히 콩팥 기능이 떨어지면 몸에서 독소들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축적되면서 냄새를 유발한다. 혹은 당뇨가 원인일 수도 있다. 입 냄새 없어지지 않는다면 치과 질환에다 내과 질환까지 의심해봐야 미국 수의학협회 전 회장 마이크 토퍼(Mike Topper) 박사는 "만약 반려동물 구취가 심해졌다면 단순 치과 질환뿐만 아니라 내과 질환을 의심해봐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입 냄새가 입 자체에서 나는 것인지, 몸속 문제로 나는 것인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코코타임즈】 퀴퀴한 입 냄새를 없애주고, 이빨에 치석 끼이는 것을 막아주는 필름형 구강관리(oral care) 제품이 나왔다. 원료의약품 제조사 ㈜경보제약(대표 김태영)은 14일 “제약회사 연구진과 수의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이바네착’(iBanechak)을 공식 출시했다”면서 “강아지 입 안으로 하루에 한 장을 녹여주면 강아지 구강 내 염증 개선 및 치석 제거에 도움을 준다”고 설명했다. 프로폴리스 스피루리나 세이지 등 구강 건강을 돕는 여러 성분이 들어있고, 강아지 입맛에 맞게 닭고기향과 블루베리향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인공색소 방부제 글루텐을 넣지 않은 것은 물론 ‘그레인 프리’(grain free)여서 알레르기가 있는 반려견도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중견기업 종근당홀딩스 계열인 (주)경보제약은 무균 주사제 원료와 1단계 복제약(1st Generic)을 만드는 국제 인증을 받은 기업으로 그동안 항생제(세파로스포린계)와 고지혈증 치료제, 항암제 등을 수출해왔다. 이번에 내놓은 ‘이바네착’을 시작으로 반려동물 전문브랜드 ‘르뽀떼’(LEPOTE)도 론칭했다. 프랑스어로 "믿을 수 있는 친구"란 뜻. 병원 약국이 아닌, 온라인 쇼핑몰과 오프라인 펫샵에서도
【코코타임즈】 이갈이를 마친 고양이 입에서 계속 냄새가 난다면? 먼저 입 안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지는 않은지 확인해 보자. 캔 사료 같은 습식 사료를 주식으로 섭취하면 음식물이 치아에 달라붙기 쉬우니 건식 사료로 교체하는 것도 방법이다. 간이나 생선 등 사료의 원료에 따라 냄새가 발생하기도 한다. 만일 사료 문제가 아니라면 고양이 구취의 가장 흔한 원인은 치은염(gingivitis)이나 구내염(stomatitis) 등의 치주질환이다. 6살 이상 고양이 중 치주질환을 겪는 케이스는 약 85% 정도다. 그래서 고양이 4대 치과 질환(치주질환, 치아 흡수성 병변, 치아골절, 만성 구내염) 중에서도 치주질환을 가장 조심해야 한다. 치주질환을 치료하지 않으면 세균이 혈관을 타고 혈액으로 유입될 수 있어서다. 이 경우 심장, 신장 등 중요 장기를 감염시킬 위험이 있다. 치주질환 외에도 당뇨나 간, 신장, 호흡기 계통 문제도 구취를 유발할 수 있다. 장기간 방치할 경우 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니 원인을 일찍 파악하는 것이 좋다. [증상] 염증과 세균이 치아 주위 조직을 파괴한다. 초기에는 치아 주변에 치석이 쌓이
【코코타임즈】 강아지 고양이도 잇몸병이 생길 수 있다. 잇몸병이 악화되면 균이 잇몸뼈(치조골)까지 부식시켜 치료가 어려워진다. 이가 빠지거나, 또는 빼야 할 상황. 심하면 턱뼈까지 감염이 번지고, 비강에 구멍이 뚫린다. 잇몸병이 생겼다고 의심할 수 있는 첫째 증상은 잇몸이 빨갛게 부어오르는 것이다. 그리고 입에서 냄새가 난다. 잇몸이 점차 내려앉기도 한다. 전문가들은 "개 입 냄새를 대수롭게 생각하면 안 된다"고 한다. 청담우리동물병원 윤병국 원장은 "개 입 냄새의 가장 흔한 원인은 잇몸병"이라며 "입 주변을 만진 뒤 손에서 퀴퀴한 냄새가 난다면 치과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다. 치아 뿌리가 보이거나, 잇몸에서 피가 날 때도 있다. 아이가 음식을 씹을 때 피가 나거나, 이를 닦을 때 입 안에서 피가 나고 있다면, 잇몸병이 진행되고 있다는 분명한 신호다. 그렇다면 잇몸병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최선의 방법은 이를 규칙적으로 닦아주는 것이다. 하루 한 번 닦는 게 가장 좋지만, 어렵다면 일주일에 2~3번 정도 시도한다. 시중에는 개 잇몸병 예방에 도움을 준다는 양치껌, 물에 타 먹는 치약 등 다양한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