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 이하 ‘검역본부’)와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학장 한호재, 이하 ‘서울대’)이 4일부터 19일까지 '수의(獸醫) 유물 온라인 교환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런 방식의 공동 개최는 두 기관 모두 처음이다. 대한민국 수의 역사와 궤를 같이 해온 검역본부, 그리고 서울대 수의대가 “과거를 통해 미래를 보다”라는 주제로 한국의 근현대 수의학 발전사를 보여줄 예정. 검역본부는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적인 수의 전문 국가기관으로 수의 기록물 등 총 3만여 점의 자료를 보관하고 있다. 이번에 시민들에게 전시할 유물은 ‘가축질병 보고서(1913년), 축혼비(1916년), 실험장비(1970년대)’ 등 30여 점이다. 또 서울대학교도 1947년 우리나라 최초로 수의학부를 개설했다. 지난해 10월 개관한 수의학박물관에 300여점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에 보여줄 유물은 73년 서울대 수의대 역사를 상징하는 ‘수의학 교과서(1950년), 실험실 저울(1960년대) 등 30여 점. 두 기관은 1950년 한국전쟁 당시 부산으로 피난 가 있던 '가축위생연구소'에서 서울대 수의과대학 학생들이 수업을 받았던 인연이 있다. 당시의 가축위생연구소는
【코코타임즈】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저먼 셰퍼드 두 마리를 백악관에 데려갈 예정이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때문에 끊어진 ‘퍼스트 펫’(First Pet of the United States) 자리가 4년 만에 다시 채워질 예정이다. 대통령 가족과 함께 백악관에서 생활하는 반려동물을 의미하는 퍼스트 펫. 이를 두는 것은 100년 이상 내려오는 미국 전통의 하나다. 퍼스트 펫은 주로 강아지나 고양이가 차지하지만, 미국의 역사 속에는 조금 특이한 동물들이 퍼스트 펫이 된 경우들도 있다. 시어도어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의 동물 가족 1901년부터 1909년까지 대통령이었던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여행과 등산을 즐기고 자연 보호에 앞장섰다. 그래서 루스벨트 가족은 동물들을 사랑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백악관에 다양한 동물들을 데려왔다. 대통령 반려동물 박물관(Presidential Pet Museum)에 따르면 루스벨트 전 대통령의 임기 중엔 말과 개뿐만 아니라 하야신스 마코 금강앵무(Hyacinth macaw), 캥거루쥐, 기니피그 다섯 마리, 그리고 ‘다리가 하나뿐인 수탉’도 있었다. 그 외에도 “조시아(Josiah)라는 이름의 오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