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건강한 개는 입 냄새가 거의 나지 않는다. 물론 음식을 먹고 난 뒤에는 일시적으로 냄새가 날 수 있지만, 양치질 후에는 입 냄새가 사라져야 정상이다. 가볍게는 치석, 치주 질환이 구취 원인 중 하나로 손꼽힌다. 청담우리동물병원 윤병국 원장은 “개 구취는 구강질환으로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라고 했다. 그래서 입 냄새가 부쩍 심해졌을 때는 스케일링을 고려해봐야 한다. 치석이 각종 구강질환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이유가 아닌데도 구취가 계속되거나 입 주변을 만져 냄새가 나는 것은 건강 이상 신호다. 식도, 위, 장에 문제가 있거나 콩팥 기능이 떨어졌을 때도 입 냄새가 날 수 있다. 특히 콩팥 기능이 떨어지면 몸에서 독소들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축적되면서 냄새를 유발한다. 혹은 당뇨가 원인일 수도 있다. 입 냄새 없어지지 않는다면 치과 질환에다 내과 질환까지 의심해봐야 미국 수의학협회 전 회장 마이크 토퍼(Mike Topper) 박사는 "만약 반려동물 구취가 심해졌다면 단순 치과 질환뿐만 아니라 내과 질환을 의심해봐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입 냄새가 입 자체에서 나는 것인지, 몸속 문제로 나는 것인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코코타임즈】 고양이 신장병 치료제를 연구 중인 도쿄대학 연구팀에게 1만 건이 넘는 기부가 몰려들고 있다. 도쿄대학교 전체가 이전에 받아온 기부는 1년 통틀어도 1만 건 정도. 그런데 하나의 개별 연구에 이렇게 많은 기부가 쇄도한 것은 사상 초유의 일이다. 그만큼 고양이 신장병에 일본 사람들 관심이 크다는 뜻이다. 고양이는 신부전으로 사망하는 일이 많아 호랑이나 사자, 치타 등 고양이과 동물들에게 신장병은 숙명과도 같은 난치병. 그 원인도 아직 다 밝혀지지 않았다. 신장병 원인은 단백질 AIM 기능 상실 이 연구는 도쿄대학 대학원 의학계 연구과 소속의 미야자키 토오루(宮崎徹)교수 팀이 진행 중이다. 미야자키교수는 질환생명과학, 면역학 전문으로 사람이나 쥐 등의 동물 혈액 중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AIM’이라는 단백질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AIM이란 신장을 막히게 만드는 죽은 세포 등 노폐물을 제거해 신장 기능을 유지하도록 돕는 단백질. 그런데 고양이과의 동물은 AIM을 갖고는 있지만 유전적으로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이 신장병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라는 사실이 2016년 알려졌다. AIM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니 고양이는 나이가 들수록 신장이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