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강아지를 두 마리, 세 마리 키우는 '다견(多犬) 가정'이 빠르게 늘고 있다. 시장 조사업체 입소스(Ipsos)에 따르면 우리나라 다견 가정은 2019년의 경우, 지난 2015년 대비 무려 28%나 증가했다. 분리불안이 있거나, 외로움을 많이 타는 아이가 안쓰러워 '친구'하라고 새 강아지를 들인다. 하지만 그게 경쟁심리와 질투를 유발하기도 하고, 서로 성향이 안 맞는 경우라면 오히려 '최악의 조합'이 되기도 한다. 30일 오후 10시 45분 EBS1-TV에서 방송되는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이하 '세나개')는 그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다. 사람 나이로 치면 일흔이 넘은 15살 노견 몰티즈 '루니'. 루니는 11살 몰티즈 동생 '미니'와 평화로운 견생(犬生) 노후를 잘 보내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감당 불가의 늦둥이 동생이 생겼다. 7개월짜리 꼬똥 드 툴레아, '보니'. 사람 사춘기에 해당하는 '개춘기'까지 겹쳐 몸에서 넘치는 에너지를 주체하지 못하는 녀석이다. 다견 가정의 딜레마... 보호자의 의도대로 현실이 흘러가진 않아 문제는 '보니'가 '루니'를 자꾸 괴롭힌다는 것. 더욱 걱정스러운 건 최근 루니에게 '인지 장애', 즉 치매
【코코타임즈】 배변 잘 가리던 강아지, 갑자기 아무 곳에나 싼다면? 늘 지정된 곳에 가 대소변을 잘 보던 강아지가 느닷없이 아무 곳에서 마구 배변하기도 한다. 이유는 역시 스트레스일 확률이 가장 크다. 1편에서도 이야기했듯 강아지의 배변은 단지 ‘배설’의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다. 심리적으로 불안하거나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표현이다. 그 원인은 보호자가 가장 잘 알고 있다. 최근에 어떠한 충격을 받았을 수도 있고 미용이나 목욕, 치료 등을 위해 외부에서 스트레스를 받았을 수 있다. 현재 강아지의 생활이 개로서의 정상적인 생활인지를 점검해봐야 한다. 무엇보다 산책을 자주 나가 스트레스를 푸는 것이 도움이 된다. 배변판을 ‘반’만 사용하는 강아지 소변은 실수하지 않고 배변판 위에서 잘 싸지만, 대변은 엉뚱한 곳에서 보거나 혹은 이와 반대로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개가 있다. 보호자는 이를 두고 문제라 여기지만, 사실 대소변 장소가 같아야 할 이유는 없다. 이런 강아지는 기존 배변판을 유지하되, 욕실이나 기타 장소를 또 다른 배변 장소로 만들어주면 된다. 하지만 이런 특성을 간과하고 계속해서 혼을 내면 산책을 나가서만 배변을 보게 된다. 집 안에서 용변을 보면 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