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배변 잘 가리던 강아지, 갑자기 아무 곳에나 싼다면?
늘 지정된 곳에 가 대소변을 잘 보던 강아지가 느닷없이 아무 곳에서 마구 배변하기도 한다. 이유는 역시 스트레스일 확률이 가장 크다.
1편에서도 이야기했듯 강아지의 배변은 단지 ‘배설’의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다. 심리적으로 불안하거나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표현이다.
그 원인은 보호자가 가장 잘 알고 있다. 최근에 어떠한 충격을 받았을 수도 있고 미용이나 목욕, 치료 등을 위해 외부에서 스트레스를 받았을 수 있다.
현재 강아지의 생활이 개로서의 정상적인 생활인지를 점검해봐야 한다. 무엇보다 산책을 자주 나가 스트레스를 푸는 것이 도움이 된다.
배변판을 ‘반’만 사용하는 강아지
소변은 실수하지 않고 배변판 위에서 잘 싸지만, 대변은 엉뚱한 곳에서 보거나 혹은 이와 반대로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개가 있다.
보호자는 이를 두고 문제라 여기지만, 사실 대소변 장소가 같아야 할 이유는 없다. 이런 강아지는 기존 배변판을 유지하되, 욕실이나 기타 장소를 또 다른 배변 장소로 만들어주면 된다.
하지만 이런 특성을 간과하고 계속해서 혼을 내면 산책을 나가서만 배변을 보게 된다. 집 안에서 용변을 보면 혼이 나는 것으로 오해하기 때문이다.
만약 집에서 대소변을 보지 않는다면 일반적인 배변 훈련과 마찬가지로 오랜 시간과 노력을 들여 교육해야 한다.
또 다른 케이스는 배변판을 가끔씩만 사용하는 경우다. 배변판이 낯설거나 불편하면 강아지는 이 장소를 피하게 된다.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깨끗한' 배변판 위에서 익숙해지는 과정을 거쳐주면 해결된다.
자기 변을 먹는 식분증, 그 원인은?
식분증은 강아지가 변을 먹는 증상을 말한다. 이 또한 스트레스가 가장 큰 원인이다.
불리불안이나 배변 실수 후 혼이 났기 때문이다. 혼을 내면 아무 곳에나 배변을 보는 것과 마찬가지로 혼난 후 스트레스성으로 자기 변을 다시 먹기도 한다.
영양 결핍인 경우도 간혹 있다. 영양결핍은 식사량 부족, 기생충으로 인한 영양손실 등이 원인이다.
강아지가 어릴 때 어미가 새끼의 대소변을 먹어서 처리하는 것을 배워서 이를 따라 하는 것일 수도 있다.
관련기사
끝나지 않는 전쟁... 배변 교육 (1) 바로가기
끝나지 않는 전쟁... 배변 교육 (3)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