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대한수의사회 등 수의계가 반려동물 관련 주무부처를 현재의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다른 부처로 이전할 것을 다시 요구하고 나섰다.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라는 정부의 민법 개정안이 나온 이후 앞으로 동물에게 ‘제3의 법적 지위’가 주어지는 만큼 동물복지와 동물의료 등 사람에 준(準)하는 정책을 새롭게 펴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 특히 내년 3월 대선을 앞두고 대권주자들이 전국 1천500만명 ‘펫심’(PET心)을 겨냥, 반려동물 공약을 잇따라 내놓고 있는 시점이란 점에서 수의계의 주무부처 이전 요구가 대선 국면과 정부조직 개편 과정에 어떻게 반영될지 주목된다. 이번엔 청년 수의사들, "민법 개정 지지... 주무부처도 이전해야" 대한수의사회 청년특별위원회(위원장 조영광, 이하 청년특위)는 1일,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라는 문구를 삽입하는 법무부의 민법 개정 시도를 '적극 지지한다'는 입장문을 내놨다. 그러면서 ”동물이 물건이 아니라면 정부는 동물복지 및 동물의료에 대해 보다 적극적이고 심도 있는 정책을 집행해야 할 것"이라며 “법 개정과 함께 주무부처 이전과 부서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직선제 회장 선거 당시부터 지금까지 허주형 대
부산대학교가 반려인구 팽창을 계기로 수의과대학을 신설하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그동안 수면 아래에서 논의해오던 수의대 신설을 신임 총장 취임을 계기로 수면 위로 내놓은 것이다. 이미 의대-약대-간호대-정보의생명공학-자원생명대와 치의학-한의학전문대학원 등을 두루 갖추고 있어 사람-동물-환경을 통합한 '원헬스'(One Health)로 나아가는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는데다, 경남 양산캠퍼스와 밀양캠퍼스의 활용도와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회심의 카드로 보기 때문. 부산대학교 신임 차정인 총장<사진>은 7일 취임사를 통해 “학생들이 선호하는 의학계열 등 학과는 지역의 우수한 인재들이 서울로 가지 않고 지역대학에 진학하는 입시 환경을 만들겠다”면서 "이를 위해 부산대학교에 수의과대학을 신설하고, 양산캠퍼스에 최첨단연구원도 유치하겠다"고 밝혔다. 전국의 10개 거점국립대들 중에 부산대만 수의학과가 없는데, 지난 2006년 밀양대와의 통합으로 농학 및 축산을 다루는 자원생명대학이 생긴 만큼 수의대 신설의 객관적 조건이 맞춰졌다는 것. 게다가 부산대가 이미 갖고 있는 의학-간호학-약학-치과학-한의학에다 수의학까지 연계될 경우, 전세계적 관심사로 떠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