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를 모티브로 한 전시 '묘접몽'(猫蝶夢)이 9월 2일부터 29일까지 서울 성북구 60화랑에서 열린다. 고양이 민화를 그리는 김수빈 작가, 고양이 사진을 전문으로 찍는 이용한 작가의 2인전이다. 고양이에 해학을 입히다 그중 동양화를 전공한 김수빈 작가는 '민화화실 묘한'의 대표. 전통민화 기법에 현대적 감각을 접목해 새로운 시각으로 한국의 고양이를 그려낸다. 고양이 전문수의사 '미야옹철' 김명철(한국고양이수의사회 KSFM 홍보이사)과 부부로 살며 두 마리의 고양이를 키우고 있다. '사모님'은 애니멀 호더(동물수집꾼)로부터 구조했고, '애기씨'는 길고양이를 입양했다. 지금은 팔로워가 각각 2만을 넘는 파워 인스타그래머들. 이번 전시에서는 두 고양이와의 일상을 민화로 재창조한 '화양연화', '송하맹묘도' 등 다섯 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특히 맹묘도는 민화에 자주 등장하는 호랑이를 능청스런 고양이로 바꿔 그린 익살스런 작품. 고양이에 시각을 붙이다 사진 작품을 낸 이용한 작가는 원래 1995년 '실천문학' 신인상을 받으며 등단한 시인. 이후 약 10년간 여행작가로 활동하다 2009년 출간한 '안녕 고양이는 고마웠어요'를 시작으로 고양이 작가로 도 명성을 얻게
【코코타임즈】 국제자연야생사진협회가 주최한 '2019 새사진 공모전'에서 한 아마추어 사진작가가 출품한 남극 황제펭귄 가족사진이 올해 대상을 받았다. 캐나다 온타리오에서 건축가로 일하는 토머스 비자얀(50)씨는 새끼를 가운데 두고 부모새가 서로 온기를 나누며 극한의 남극 추위를 견뎌내는 장면을 사진에 담아냈다. 하트 모양의 구도에서 따스함이 절로 묻어난다. 비자얀씨는 "어미 펭귄은 단 한개의 알을 낳고 떠난다. 아빠새는 살이 에이는 추위와 강풍에도 65일을 꼼짝하지 않고 다리 사이에 알을 품으며 자리를 지킨다"고 썼다. 그는 이어 " 약 2개월 후 먹이사냥에 나섰던 어미새가 돌아온다. 그리고 급히 토해낸(반쯤 소화시킨) 음식물을 새끼에게 먹인다. 이제는 아빠새가 사냥에 나설 차례"라고 덧붙였다. 황제 펭귄은 현재 존재하는 펭귄 중 몸집이 가장 크다. 키는 최대 122cm, 몸무게는 22.7~45.4kg이다. 수컷이 암컷보다 약간 더 크고, 알을 품고 새끼를 양육하는 동안은 체중이 많이 줄어든다. 부리의 길이는 약 8cm이다. 머리·턱·목·등·꼬리·날개의 바깥 면은 검은색, 배와 날개의 안쪽 면은 흰색이다. 검은색 부분과 흰색 부분의 경계가 뚜렷하다. 귀 부분
【코코타임즈】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지난 7일, 올해의 '동물사랑 사진공모전' 입상작 12점을 선정해 발표했다. 동물보호 인식 확산을 위해 2008년 처음 시작한 이래 올해가 벌써 12회째. 특히 "최근 5년간 거의 4천건의 작품이 접수되는 등 동물을 사랑하는 국민들의 문화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검역본부측은 자평했다. 올해의 경우 모두 401건 작품이 접수돼 그중 대상 1점, 최우수상 1점, 우수상 3점, 장려상 7점 등 모두 12점을 입상작으로 선정했다. 그렇다면 여러분이 심사위원이라면 다음 작품들 중 어떤 작품을 대상과 최우수상으로 선택할 것인가? (‘동행’ - 최관식) (‘여기는 어디? 나는 누구? - 이지윤) (‘동행’ - 김태운) (‘유원지의 생활’ - 김영수) (‘오리 가족의 봄나들이’ - 이영진) (‘시선이 머문 곳’ - 김택수) (‘웃음이 절로나네?’ - 서영태) (‘같이 쓸래?’ - 조영헌) (‘교감’ - 고수경) (‘산책’ - 김용대) (‘따라하기’ - 김재현) (‘친구할래’ - 김다은) 이번 공모전 심사위원들이 선정한 대상은 '시선이 머문 곳'(김택수). 아침 대숲을 산책 중 휴식하면서 바라 본 아름다운 빛내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