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COCOTimes)】 가족과 같던 반려동물이 사망하면 상실감, 슬픔 등으로 정신적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를 '펫로스증후군(Pet Loss Syndrome)'이라 하는데, 제대로 대처하지 않으면 우울증으로 악화될 수 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늘면서 반려동물의 죽음으로 우울증이 생기는 사람이 늘었다. 우울감은 보통 6개월 이내에 회복되는데, 이보다 오래 지속되면 만성화될 수 있어 잘 극복하는 법을 알아둬야 한다. 반려견 죽음 미리 인지, 타인과 슬픔 공유 미국수의사협회(AVMA)가 소개하는 펫로스증후군 극복법 5가지는 다음과 같다. ▲반려동물이 없는 현실을 받아들이려 노력하고 ▲슬픈 감정을 충분히 느끼고 ▲반려동물과의 추억을 떠올리고 ▲반려동물이 내게 어떤 의미였는지 되새기고 ▲다른 사람과 감정을 공유하는 것이다. 슬픈 감정을 숨기지 않고 표현해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다른 사람에게 마음을 털어놓는 것은 특별한 조언을 듣지 않아도 감정을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밖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은 ▲반려동물을 입양할 때부터 나보다 먼저 죽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사망 후에는 장례 등 기본적인 의식을 치루고 ▲유품을 서서히 정
【코코타임즈(COCOTimes)】 반려동물이 무지개 다리를 건넌 슬픔은 겪어보지 않으면 모를 정도로 심하다. 주변인들이 위로의 말을 건네기 쉬운데, 오히려 슬픔을 키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주의해야 할 말들을 알아본다. 1. 괜찮아, 다른 아이들은 남아 있잖아. 다른 반려동물이 많이 있어도 각각의 동물과 가지고 있는 유대감의 종류는 조금씩 다르다. 따라서 무지개 다리를 건넌 동물과 완전히 똑같은 감정과 느낌을 다른 동물에게서 느끼기는 어렵다. →권장 : "네가 그 아이를 얼마나 소중하게 생각했는지 알겠어. 너무 안타깝다. 다른 반려동물들이 네가 힘든 시기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랄게." 2. 언제든 다른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맞이하면 돼. 매우 눈치 없는 발언이지만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 말을 건넨다. 반려동물 사망학을 전공한 크리스 케보키안(Kriss Kevokian) 박사는 "사람이 죽었을 때는 이러한 말을 꺼내지 못할 것"이라며 "사랑하는 사람이 죽었을 때 건넬 수 있는 위로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장: "너무 안타깝다. 이 시기를 극복하는 데 내가 도움을 줄 만한 것이 있으면 언제든 말해줘" 3. 나는 그 아이가 마음에 들지
【코코타임즈】 반려동물 수명은 사람보다 현저히 짧기 때문에 언젠가는 이별을 맞이하는 순간이 오고 만다. 이때 발생하는 상실감과 슬픔, 우울, 고통, 죄책감, 부정, 분노 등 정신적 장애를 펫로스 증후군(Pet Loss Syndrome)이라고 한다. 펫로스 증후군 증가와 심각성 농림축산식품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 인구는 약 1,000만 명을 넘어섰다. 국내 인구가 5,100만 명 가까인 것으로 따져보면 5명 중 1명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셈이다. 반려동물 가구가 많아지며, 펫로스 증후군도 확산됐다. 펫로스 증후군이 심할 경우에는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으로 이어지기도 해서 사회적으로 펫로스 치유에 큰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2009년에는 국내 첫 펫로스 관련 서적이 발간됐고, 2010년에는 펫로스로 인한 자살 시도 관련 기사가 보도됐다. 2013년에 이르러서는 펫로스 치유에 대한 심각성을 느끼면서 관련 강좌 개설 사례도 있었다. 펫로스,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반려동물을 잃으며 겪는 슬픔은 자식을 잃은 고통과 맞먹을 정도로 상실감이 무척이나 크다. 언젠가는 겪을 펫로스에 대비하고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조급해할 필요는 없다. 올바른 방법으로 천천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