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개나 고양이와 함께 있으면 금세 기침, 콧물이 나는 사람이 있다. 알레르기(allergy) 증상 때문이다. 가천대 길병원과 서울대 보라매병원이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반려동물 알레르기 관련 조사를 한 적이 있다. 그랬더니 반려견 중 치와와를 키우는 사람들에게 알레르기 유병률이 가장 높았다. 치와와를 키우는 사람의 40%가 알레르기를 겪었고, 뒤를 이어 요크셔테리어(38.3%) 키우는 이들에게 이런 경향이 높았다. 또 말티즈(30.1%), 푸들(22.8%), 스피츠(20.8%), 시츄(17.6%) 등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들 견종들에게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항원인 '당단백질' 분비량이 많은 것이 핵심 이유로 꼽힌다. 이들 강아지들의 알레르기 유발률 전체 평균은 25.3%. 4마리중 1마리는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는 얘기다. 반면 고양이의 경우는 페르시안이 47.8%로 가장 높은 알레르기 유병률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 터키 앙고라(41.7%), 코리안 숏헤어(38.3%)였다. 고양이들의 전체 평균은 34.8%이다. 3마리 중 1마리가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 반면, 알레르기 유발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개도 있다. AKC(미국애견협회)에 따르면
【코코타임즈】 반려동물을 맞이하고자 한다면 나와 반려동물을 모두를 위해 고려해봐야 할 사항이 한둘이 아니다. 동물의 종류부터 생후 주 수, 건강상태, 입양처, 예비 반려인과 입양 보내는 사람의 거주 환경, 반려인의 가족 구성원, 라이프스타일에 이르기까지 세세하게 고민해 봐야 한다. 특히 입양 루트는 주의해야 할 점도, 입양처도 다양하므로 기본적인 사전지식이 필요하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 가정입양 어미가 자란 환경을 보면 새끼의 상태를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다. 지인의 가정이나 정상적인 가정입양을 통해 데려온 동물은 대체로 깨끗한 환경에서 태어나고 자랐기 때문에 전염병이 없고 건강한 편이다. 하지만 인터넷 가정입양 홍보를 무조건 믿어서도 안 된다. 가정입양이라는 타이틀을 악용하는 일부 사람들이 실제로는 번식장에서 데려온 동물을 입양 보내기도 하기 때문이다. 충현동물병원 강종일 원장은 “인터넷을 통해 가정입양을 결정하기 전에는 진짜 가정견, 가정묘가 맞는지, 생후 두 달이 지난 동물인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했다. (TIP: 확인방법) 가장 좋은 방법은 분양자의 집을 방문해 어미가 자라온 환경과 모견을
【코코타임즈】 재패니즈 밥테일(밥[bob]은 단발머리라는 뜻-편집자 주)은 행운을 부르는 고양이로 알려져 있다. 일본 식당이나 상점출입구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고양이 인형 '마네키네코'의 모델이 바로 재패니즈밥테일.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으나 약 천 년 전, 중국 혹은 한국에서 일본으로 넘어갔다는 설이 유력하다. 1976년, 국제고양이애호가협회(CFA)에서 독립 품종으로 공인받았다. 1993년부터는 재패니즈 밥테일 중 장모종을 재패니즈 밥테일 롱헤어로 분류하기 시작했다.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품종이 아닌 자연 발생한 품종이다. 2~8cm 내외의 짧고 뭉뚝한 꼬리가 특징.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길고 근육이 발달한 체형이라 점프력이 좋다. 목소리가 부드럽고 수다스러운 타입이다. 이름을 부르면 알아듣고 “야옹”하고 대답한다. 그만큼 영리하고 호기심이 많은 편. 경계심이 없어서 낯선 사람도 잘 따른다. 활동량이 많아서 묘주와 같이 놀기를 좋아한다. 털빠짐이 적고 면역력이 좋은 편이라 손이 많이 안 간다. 초보 묘주에게 적극 추천! [요약] 원산지 : 일본 성격 : 장난기 많고 영리하다. 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