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음식엔 별다른 이상이 없는데도 자주 토하는 개에겐 '거대식도증'(megaesophagus)이란 병이 있을 수 있다. 식도에 들어간 음식물을 위로 보내지 못해 식도가 부풀면서 커져 보이는 병이다. 치료하지 않으면 음식물을 소화시키지 못하기에 살이 쭉쭉 빠진다. 몸을 사람처럼 세워서 음식을 먹이는 것은 그래서다. 음식물 내려가라고. 때론 음식이 역류하면서 폐로 넘어가 심각한 폐렴을 일으키기도 한다. 강아지에겐 정말 고통스러운 병이다. 독일 셰퍼드, 래브라도 리트리버, 미니어처 슈나우저, 샤페이, 그레이하운드 등이 유전적으로 잘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거대식도증에 걸린 개들은 진단 후 8개월 이내에 '흡인성 폐렴'으로 죽거나 인도적으로 안락사시키는 상황까지 생긴다. 드물긴 하지만, 몹시 심각한 병이다. 거대식도증에 비아그라 '실데나필'(Sildenafil) 성분이 치료제가 된다는 연구가 나왔다. 지금까지 거대식도증 약은 따로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실데나필이 어쩌면 최초의 치료제가 되는 셈이다. 발기 부전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진 실데나필은 개와 사람의 협심증이나 폐동맥 고혈압을 치료하는 데에도 사용해왔다. 미국 WSU 수잔 메하인 박
【코코타임즈】 거대 식도증은 식도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커진 상태에서 나타난다. 늘어난 식도에 음식이 쌓이고 위장까지 도달하지 못한다. 먹으면 소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토하고 괴로워한다. 발육 부진이 관찰된다. 선천적인 경우도 있고 이물질을 잘못 먹어서 생기는 경우도 있다. [증상] 먹은 것을 즉시 토해 버린다. 식도는 음식을 위장까지 보내기 위해 근육이 확장하거나 수축하는 연동운동을 한다. 거대 식도증은 이 운동능력이 저하되어 먹은 음식이 식도의 어떤 부분에 고여 있다가 늘어나 토하는 증상을 보인다. 구토는 복부에서부터 음식이 올라오는 증세라면 거대식도증은 소화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목에 걸린 음식을 밀쳐내는 느낌이다. 증상이 심해지면 구토로도 나타난다. 이 증상이 지속되면 음식을 충분히 섭취 할 수 없기 때문에 발육 부진이 나타난다. 또한 토할 때 음식이나 액체가 코 안쪽으로 들어가 비염이나 흡인성 폐렴을 일으킬 수도 있고 재채기나 기침, 발열,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흡인성 폐렴은 급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원인] 거대 식도증의 원인은 선천성 것과 후천성 것이 있다. 선천성은 식도 자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