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COCOTimes)】 스코티시 테리어(Scottish Terrier)는 19세기 말 애버딘에서 족제비나 여우 등의 사냥을 위해 만들어진 품종이며, 스코틀랜드 웨스턴아일스의 토착견이 이 개의 조상 격이 된다. 하이랜드 테리어 중에서 가장 오래된 품종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애버딘 테리어나 웨스트 하일랜드 테리어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역사는 오래됐지만, 혈통이나 품종 특유의 성격과 외형이 변하지 않고 순수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애호가들이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의 부시 전 대통령도 키우는 견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주얼리 브랜드 아가타의 모델이기도 하다. AKC에서는 1885년에 승인되었다. 몸집은 작지만, 근육이 견고해 전체적으로 단단하고 강한 느낌을 가지고 있다. 독특한 턱수염이 특징적이며, 눈은 민첩해 보이고 두 눈의 사이가 다소 먼 편이다. 다리가 굵고 짧아서 걸음걸이는 부드럽게 구르는 듯 보인다. 철사 느낌의 털은 태풍이 불어와도 흐트러짐 없을 정도로 강하며, 털 빠짐도 적은 편이다. 털 색깔은 검은색과 회색, 청회색, 황갈색, 얼룩무늬 등이 있다. 스코티시 테리어의 체구는 작지만, 그
【코코타임즈(COCOTimes)】 인천광역시 계양구(구청장 윤환)가 ‘2024년 올바른 반려문화 포스터 공모전’을 개최한다. 2022년 인천시 최초로 반려문화 포스터 공모전을 개최한 이래 올해 3년째를 맞은 이번 공모전은 관내 초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1인 1작품을 응모할 수 있다. 공모 주제는 ▲슬기로운 반려동물 공공예절 ▲동물학대 및 유기 방지 ▲사람과 동물의 조화로운 공존으로, 올바른 반려문화 실천을 위한 다양한 소재가 가능하다. 향후 접수된 작품에 대해서는 미술 전문가의 공정한 심사를 통해 수상작을 선정할 계획이며, 계양구청 1층 홀에서 전시회를 열고 계양구청 누리집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도 게재될 예정이다. 아울러 수상작은 계양구청의 올바른 반려문화 확산을 위한 각종 홍보물에 활용할 계획이기도 하다. 접수 기간은 11월 11일까지이며, 학교별·개인별로 계양구청 지역경제과 동물보호팀에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제출하면 된다. 구 관계자는 "공모전을 통해 올바른 반려문화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많은 구민의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계양구청 누리집(https://www.gyeyang.go
【코코타임즈(COCOTimes)】 1600년대 영국인들이 미국으로 넘어갈 때 선박 안에 있던 쥐를 잡을 용도로 고양이를 데려갔다. 당시 낯설고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살아남은 아메리칸 숏헤어는 지금까지도 건강한 고양이 중 하나로 꼽힌다. 이들은 미대륙 내 고양이들과 함께 지내며 번식하였고, 1900년대 CFA에서 정식 단일 품종으로 인정받았다. 넓은 어깨와 가슴, 다부진 다리를 갖고 있으며 몸통은 짧고 빳빳한 털로 덮여있는데, 털의 색과 무늬는 무척 다양하다. 털이 짧아 관리가 쉽지만, 고양이라는 동물 자체는 털이 많이 빠지므로 주기적으로 빗질을 해 줄 필요가 있다. 코리안 숏헤어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아메리칸 숏헤어의 무늬가 좀 더 굵고 둥근 얼굴을 갖고 있다. 원체 건강하기 때문에 관리를 잘해준다면 오래 사는 편이다. 대체로 이 품종은 성격이 좋다. 너그럽고 태평한 성격을 갖고 있다. 사람과의 친화력이 뛰어나고 아이들과도 잘 어울려 미국에서도 인기가 많은 품종. 일명 ‘무릎냥(애교가 많고 사람을 잘 따라 사람의 무릎에 잘 올라와 쉬는 고양이를 귀엽게 일컫는 말)’ 기질을 보인다. 조용한 편이지만 나이가 들어도 장난기가 많다. 아메리칸 숏헤어는 주변에 대해
【코코타임즈(COCOTimes)】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옹진군 및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와 협력해 오는 10월 28일부터 30일까지 도서 지역인 옹진군 백령면을 찾아 가축 무료 진료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에 백령도 44개 농가의 1,125마리 가축에 대한 질병 검진 및 약품 배부를 실시하고, 구제역 및 조류인플루엔자 등 가축전염병 관련 시료채취 및 백신접종을 실시하는 등 섬 지역 소규모 고령 축산농가에 수의 진료 혜택을 제공해 농가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올해에도 지난해에 이어 동물 진료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도서 지역 농가를 위해 옹진군 백령면의 축산농가에 찾아가는 진료 서비스를 진행한다. 수의사가 직접 방문해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 브루셀라, 결핵 등 가축전염병 대비를 위한 방역 지도와 무료 동물진료를 실시하고, 필요한 검사를 위한 시료 채취도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이주호 시 보건환경연구원 동물위생시험소장은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 같은 가축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철저한 백신접종, 야생동물 접촉 차단, 정기적인 소독 실시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코코타임즈(COCOTimes)】 중이염(中耳炎)이란 고막 안쪽에 있는 속귀에 염증이 생긴 상태다. 바깥쪽 귀에 생긴 외이염(外耳炎)이 제대로 치료되지 못해 안쪽 귀까지 번져서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 [증상] 증상 또한 외이염과 거의 흡사하다. 귀 입구가 붉게 변하며, 머리를 흔드는 행동을 자주 하고 귀를 긁기도 한다. 또 귀에서 냄새와 고름이 난다. 더 나아가 안구 함몰, 안진(눈의 흔들림), 메스꺼움, 구토, 발열 증상도 보인다. 안쪽 귀가 청력과 균형감각을 담당하는 기관인 만큼 여기 염증이 오래가면 청력을 잃을 수도 있다. 또 걸음걸이가 부자연스럽고 비틀거릴 수 있다. 머리를 기울이거나 한 방향으로 돌기도 한다. 심한 통증 때문에 무기력한 모습이 자주 보인다. 특히 귀 주변을 건드리면 예민하게 반응한다. 심할 경우, 안면 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안면 마비가 올 수 있다. [원인] 가장 흔한 원인은 외이염 악화에 의한 것이지만, 그 외에도 유전, 기생충 혹은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아토피, 약물 반응, 면역력 저하 등이 있다. 또한 외상이나 귀의 종양, 흙이나 먼지 등 이물질이 침투해 발생할 수도 있다. [치료] 염증의 원인이 되는 세균이나 곰팡이 제거를
【코코타임즈(COCOTimes)】 인천광역시와 인천관광공사가 국내 숙박 플랫폼 ‘여기어때’와 손잡고 반려견 가족을 위한 숙박상품 기획전을 개최한다. 증가하는 반려동물 동반 여행객들을 위해 마련한 온라인 숙박상품 기획전을 9월 23일부터 10월 20일까지 여기어때 홈페이지(www.yeogi.com)와 앱을 통해 이용이 가능하다. 이번 기획전의 테마는 <댕댕이랑 인천 펫캉스 가개>로 인천 내 반려동물과 함께 숙박할 수 있는 호텔, 펜션 등 90여 곳의 다양한 시설을 소개하고 할인쿠폰도 제공할 예정이다. 10만 원 이상 숙박상품 예약 시 1박에 2만 원, 2박 이상 머물 시 최대 5만 원 할인쿠폰을 제공하며 ‘여기어때’ 앱에서 발급하는 국내 숙소 할인쿠폰과 중복으로 사용할 수 있어, 10월 연휴를 맞은 여행객의 예산 절감과 인천 내 숙박업체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숙박상품 기획전의 예약 기간은 9월 23일부터 10월 20일까지이며, 투숙 기간은 9월 23일부터 11월 17일까지다. 또한 이번 기획전에서는 반려동물과 함께 체험할 수 있는 영종 씨사이드파크, 단풍 감상하기 좋은 송도 센트럴파크 및 오랜 사찰이자 힐링 명소인 전등사 등 인천 내 다
【코코타임즈(COCOTimes)】 태아가 산소를 공급받기 위해서는 모체 자궁 안의 동맥관이라는 것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 동맥관은 태아의 출생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닫히면서 태아는 스스로 호흡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하지만, 태아의 출생 후에도 이 동맥관이 열려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현상을 동맥관 개존증(Patent Ductus Arteriosus)이라 하는 것이다. 동맥관이 생후 48시간 안에 닫히지 않을 경우 몸 안의 불필요한 혈액 순환이 발생하며 심장에 심한 무리를 주게 되고 조기 치료를 받지 못하면 끝내 사망에까지 이르게 된다. [증상] 가장 흔한 증상은 잦은 기침이다. 또한, 불규칙적으로 호흡수가 증가하며 숨을 힘들게 쉬는 듯 보이고 짧은 운동에도 헥헥거리는 등 호흡곤란증이 자주 관찰된다. 혀가 파랗게 변하는 청색증이 나타나기도 하며 또래에 비해 성장 속도도 느린 편이다. 위의 증상들이 중증으로 나타날 때까지 아무런 증상이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원인] 동맥관 개존증은 선천성 심장기형 중 가장 흔한 질병으로 특히 치와와, 푸들, 몰티즈, 코카스파니엘 같은 소형견에게 더욱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컷 보다는 암컷의 발병 확률이 3배 이상 높
【코코타임즈(COCOTimes)】 2살 된 고양이 ‘모모’를 키우는 박 씨. 박 씨 집 소파는 ‘고양이 스크래처’ 신세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고양이가 사용할 스크래처를 사줘도 소용없다. '모모'는 오로지 쇼파에서만 발톱을 간다. 스크래처는 고양이가 발톱을 갈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인공 구조물이다. 야생 고양이는 나무를 긁으며 발톱 손질을 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영역표시를 한다. 집고양이는 나무 대신 스크래처를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고양이를 키우는 가정에 스크래처가 없거나 고양이가 스크래처에 흥미를 느끼지 못할 때는 모모와 마찬가지로 가구나 벽지를 모두 긁어놔 보호자를 애먹인다. 전자의 경우 스크래처를 사줌으로써 해결할 수 있지만, 후자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스크래처에 관심을 갖지 않는 이유는? 새로운 스크래처를 마련해줘도 계속해서 가구나 벽에 발톱을 가는 이유는 바로 자신의 몸 냄새, 즉 체취가 그곳에 배어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 캣닢가루를 적절히 활용해보라 조언한다. 왕태미 영양학 수의사는 “고양이가 좋아할 만한 캣닢가루를 스크래처에 뿌려두면 고양이 관심을 돌릴 수 있다"고 했다. 캣닢은 고양이가 좋아하는 식
【코코타임즈(COCOTimes)】 고양이 랩토스피라증(Leptospirosis)은 고양이가 렙토스피라라는 세균에 감염돼 신부전과 간 손상이 발생하는 세균성 질환을 말한다. 농촌이나 공원 등, 풀숲이 많은 곳에서 주로 발생하며, 유행성 출혈열, 쯔쯔가무시병과 함께 가을철 3대 발열성 질환으로 꼽히고 있다. 렙토스피라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은 lcterohemorrhagiae, L.pomona, L.bratislava, L.australis. Leptospira 등이며, 년 중 7월~11월 사이에 대부분 발생한다. 이 세균에 감염된 쥐나 동물의 소변이 주변을 오염시켜 전염되고 있으며 사람도 감염될 수 있는 인수공통전염병이다. [증상] 고양이의 렙토스피라증은 1~2 주 정도의 잠복기를 지나 출혈형과 황달형, 신부전형으로 나뉘어 조금씩 다른 증상을 나타낸다. 출혈형은 40˚ 전후의 고열과 식욕부진, 결막 충혈, 구토와 혈변 등의 동반 증상을 보이다가 말기에는 탈수증과 함께 심하면 요독증으로까지 진행돼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황달형은 황달과 구토, 설사, 입 안의 점막,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출혈형보다 강한 반응의 사례가 많고 중증일 경우 발병 후 수 시간에
【코코타임즈(COCOTimes)】 개가 평소와 달리 묽은 변을 봤을 때, 이 양상이 설사인지 단순히 물기 많은 변인지 판단하기 모호할 때가 있다. 그뿐만이 아니다. 가정에서 지켜봐도 되는 상태인지 아닌지 결정하기 어렵지만, 일단 하루쯤은 집에서 상태를 지켜보고자 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하지만 보호자의 섣부른 판단은 금물이다. 건국대학교 수의 내과학 박희명 교수에게 설사의 기준과 개가 어떤 상태일 때 병원을 찾아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설사일까? 단순 배변일까? 설사는 단순히 ‘평소보다 묽은 변’ 정도로 여기지 않는다. 설사인지 아닌지를 따지는 기준은 ‘평소 배변습관’이다. 평소 배변습관을 기준으로 배변 횟수, 배변의 묽기, 배변량 등이 증가한 상태를 설사라고 한다. 언제 병원을 찾아야 할까? 환경이 변하거나 음식이 바뀌는 등 비교적 가벼운 요인으로 인해서 설사할 때에는 짧은 시일 내에 설사가 멎고 스스로 회복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는 가정에서 경과를 지켜봐야 할지 병원을 찾아야 할지 고민하는 보호자가 많다. 별다른 증상 없이 설사를 1회에 그칠 때는 지켜볼 만하지만,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즉시 병원에 데리고 가야 한다. 박희명 교수는 “설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