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0 (목)

  • 맑음동두천 1.4℃
  • 맑음강릉 2.5℃
  • 맑음서울 1.8℃
  • 맑음대전 3.5℃
  • 맑음대구 4.9℃
  • 맑음울산 4.5℃
  • 맑음광주 3.2℃
  • 맑음부산 6.8℃
  • 맑음고창 0.9℃
  • 구름조금제주 5.9℃
  • 맑음강화 0.4℃
  • 맑음보은 1.9℃
  • 맑음금산 3.2℃
  • 구름조금강진군 3.8℃
  • 맑음경주시 4.9℃
  • 맑음거제 5.4℃
기상청 제공

"암컷 몰티즈가 잘 걸리는 선천성 심장기형"... 동맥관 개존증(Patent Ductus Arteriosus)

【코코타임즈(COCOTimes)】

 

 

태아가 산소를 공급받기 위해서는 모체 자궁 안의 동맥관이라는 것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 동맥관은 태아의 출생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닫히면서 태아는 스스로 호흡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하지만, 태아의 출생 후에도 이 동맥관이 열려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현상을 동맥관 개존증(Patent Ductus Arteriosus)이라 하는 것이다.

 

동맥관이 생후 48시간 안에 닫히지 않을 경우 몸 안의 불필요한 혈액 순환이 발생하며 심장에 심한 무리를 주게 되고 조기 치료를 받지 못하면 끝내 사망에까지 이르게 된다.

 

[증상]

 

가장 흔한 증상은 잦은 기침이다. 또한, 불규칙적으로 호흡수가 증가하며 숨을 힘들게 쉬는 듯 보이고 짧은 운동에도 헥헥거리는 등 호흡곤란증이 자주 관찰된다.

 

혀가 파랗게 변하는 청색증이 나타나기도 하며 또래에 비해 성장 속도도 느린 편이다. 위의 증상들이 중증으로 나타날 때까지 아무런 증상이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원인]

 

동맥관 개존증은 선천성 심장기형 중 가장 흔한 질병으로 특히 치와와, 푸들, 몰티즈, 코카스파니엘 같은 소형견에게 더욱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컷 보다는 암컷의 발병 확률이 3배 이상 높으며 위 품종 중에서도 몰티즈의 발병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치료]

 

동맥관 개존증은 출생 후 1년 안에 외과적 수술로 치료해 주면 예후가 좋은 편이지만, 치료 없이 방치하게 될 경우 2~3년 안에 대부분 사망하게 된다.

 

[예방]

 

동맥관 개존증을 앓았던 개는 번식 되지 않도록 신경 쓰는 것이 좋으며, 생후 6주 후의 정기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을 할 수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