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병원을 찾는 가장 큰 이유는 3가지다. 예방 접종과 정기 검진, 그리고 질병 치료. 그런데 질병은 피부염, 소화기 등의 식이 알레르기성 질환이 가장 많다. 33%가 넘는다. 그 다음은 피부 가려움 등 아토피성 질환. 이 또한 30%가 넘는다. 알레르기와 아토피는 알고 보면 비슷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이 둘이 보호자들 괴롭히는 원흉으로 짝을 이룬 셈이다. 사실 알레르기는 어떤 물질에 대한 거부반응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의 하나다. 그중에서도 알레르기 때문에 생기는 염증 반응은 피부나 위장관 등을 통해 나타난다. 그 물질이 내부인가 외부인가에 따라서 각각 '식이 알레르기'와 '아토피 피부염'으로 나눌 뿐. 먼저 '식이 알레르기'는 대개 구토나 설사가 함께 오는 경우가 많다. 개와 고양이의 1~6%에서 발생한다. 그중에서도 휘튼 테리어, 화이트 테리어, 콜리, 코카 스파니엘, 슈나우저, 리트리버, 푸들 등에서 잘 걸린다. 고양이의 경우 거의 60% 정도가 샴이나 샴 교잡종에서 잘 나타난다. 평균 4~5살 때부터다. 반면 아토피 피부염은 개의 10% 정도가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마리 중 1마리는 아토피 피부염을 갖고 있다는 것. 가려움증이
【코코타임즈】 반려인 1천500만명 시대다. 서너집 걸러 한 집에서 반려동물을 키운다. 게다가 반려동물은 가족이다. 반려동물이 새끼를 낳거나, 새로 입양을 한 경우라면 누군가는 곁에서 무척 세심하게 보살펴야 한다. 그런데 보살펴줄 식구들이 따로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반려동물 육아휴직에 대한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올해 4살된 반려견과 함께 살고 있는 직장인 A(32)씨는 "반려견을 키우는 인구가 늘어나는 만큼 우리집 아이를 위한 휴직 제도가 있었으면 좋겠다" 며 "반려견은 나에게 소중한 가족이고 나의 돌봄이 필요한 존재이다. 보호자로서 당당하게 회사에 휴직계를 내고 반려견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싶다" 라고 말했다. 반려묘 3마리를 양육하고 있는 B(30)씨는 "예전에는 내가 출근하고 퇴근할 때까지 우리집 아이들이 기다리는걸 당연하다 생각했다" 며 "하지만 "아이들이 울고 스트레스 받는 모습을 보면서 당연한 게 아니라는 걸 느꼈다. 휴직이 가능하다면 조금이라도 더 아이들과 시간을 보낼 수 있어서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애견 선진국'.. 다양한 육아정책 도입 반려동물을 많이 키우는 미국에서는 2
【코코타임즈】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양성반응을 보인 첫 반려견이 나왔다. 미국농무부(USDA)의 국립수의과학원은 지난 2일, "뉴욕에 사는 저먼 셰퍼드 종 반려견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견종을 제외한 생김새, 나이, 사는 곳 등 개와 관련된 일체의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USDA는 또 "해당 셰퍼드가 반려인 남성에게서 감염된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비록 양성반응을 보였지만, 생명엔 지장 없이 회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함께 살고있는 보호자가 먼저 코로나19 의심 증상을 보였고, 뒤이어 집에서 함께 살던 두 마리 반려견 중 해당 셰퍼드가 의심 증상을 보여 검사를 받았다. 또 다른 반려견의 경우, 증상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항체는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역시 코로나19 바이러스에는 노출됐었다는 얘기다. 수의전문가단체, "반려동물의 코로나 전염 위험은 낮다" USDA 관계자는 이어 "동물이 코로나19를 퍼뜨릴 수 있다는 결정적인 증거는 아직 없다"며 "동물 복지를 해칠 수 있기에 보호자들은 임의로 조치
【코코타임즈】 반려인이 될 것이냐, 즉 반려동물을 키울 지, 키우지 않을 지를 결정짓는 핵심요인이 유전적인 영향이 가장 크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과 스웨덴 연구팀의 '개 소유권의 유전력'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반려인은 실제로 동물과 더불어 살아왔던 환경보다는 유전적인 이유가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육보다는 천성이라는 의미다. 연구팀은 국제학술지인 <과학연구>(Scientific Reports)에 데이터를 바탕으로 3만 5천여쌍의 쌍둥이의 유전자 구성을 비교 분석했다고 영국매체 <인디펜던트>(The Independent)가 최근 보도했다. 일란성 쌍둥이는 게놈(genome)이 같지만, 이란성 쌍둥이는 유전자의 절반만 공유한다. 이를 이용해 환경적인 요소와 유전적인 요소를 비교할 수 있다. 조사에 따르면 일란성 쌍둥이중 한 명이 반려견과 살고 있는 경우, 두 명 모두 반려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이란성 쌍둥이의 경우 쌍둥이 두 명 모두 반려인이 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 출처: Unsp
【코코타임즈】 개나 고양이의 눈꺼풀과 안구 사이 틈에 작은 지렁이 같은 기생충이 보일 때가 있다. 약간 희거나 투명하며, 눈알 표면 위에서 조금씩 움직인다. '안충'(眼蟲)이라는 기생충이다. 학술적으로는 '동양안충'(Thelazia Callipaeda)이라고도 불린다. 우리나라를 비롯, 중국 일본 등 동양에서 잘 나타난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멀리 아프리카의 경우, 안충의 일종인 회선사상충에 감염되면 소나 개, 심지어 사람까지 실명에 이르기도 한다. 증상 안충이 생기면 눈이 가렵고, 이물감이 있어 눈을 잘 못 뜬다. 그래서 눈이 늘 충혈돼 있다. 초파리가 날뛰기 시작하는 초여름부터가 발병 시기다. 다만 흔하게 걸리는 질병은 아니라는 점이 그나마 다행. 결막염 치료를 받고 있는데도 증상이 전혀 나아지지 않으면 오히려 안충을 의심해볼 때다. 원인 초파리가 개 고양이 눈에 붙었다가 눈 주위에 알을 부화하며 걸린다. 그래서 산책을 자주 하는 반려견이나 실외에서 생활하는 반려견에게서 발견될 확률이 높다. 안충에 감염되면 염증으로 눈곱이 자주 끼고, 눈물을 자꾸 흘리게 된다. 그게 초파리를 더 끌어들이는데, 초파리가 눈에 접촉하면서 안충이 더 심화되는 악순환이
【코코타임즈】 심장사상충은 실같이 가느다란 기생충으로 성체는 수컷의 경우 12~18cm, 암컷의 경우 28~30cm정도 크기이다. 심장사상충(Dirofilaria immitis)에 감염되어 치료가 늦어지면 심장병 증상이 나타나고 생명이 위험할 수도 있다. 심장사상충은 개에게 가장 흔히 나타나지만 고양이, 족제비, 너구리에도 기생한다. 사람도 감염될 수 있다. [증상] 숙주 동물의 크기, 건강상태에 따라 다양한 증세를 보이긴 하지만 감염 초기에는 특별한 징후가 없다가 기침을 하는 등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는 게 일반적이다. 점차 기침이 심해지고 숨이 거칠어지는 등 호흡기 증상이 심해진다. 심해지면 팔 다리가 붓고 배에 물이 차는 복수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헐떡거리고 힘들어 산책 등 움직임을 싫어한다. 황달기운이 있거나 체중이 감소하고 빈혈로 잇몸이 하얗게 보이기도 한다. 심하면 각혈을 하거나 기절을 하기도 하며 기생충이 급증하면 대동맥 증후군이라고 부르는 급성 증상을 일으켜 혈뇨를 보거나 호흡곤란을 겪기도 한다. 대동맥 증후군을 방치하면 대부분 죽는다. 말기에는 폐포들이 다 터져 피를 토하며 죽는다. 증상이 나타나면 피를 뽑아 혈액
【코코타임즈】 사랑하는 반려동물이 나이가 들어 질병으로 고통에 시달리는 모습을 보면 보호자도 심적고통을 받는다. 병에 시달리는 노령동물이 증가하면서 반려동물의 웰 다잉 (well dying)을 위해 안락사를 고민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진통제 처치를 하고도 극심한 통증을 호소한다면 이 방법을 선택하는데, 이 과정은 '내려 놓아주세요' 또는 '잠들게 해주세요' 와 같이 표현되기도 한다. 안락사가 시행되는 건 동물이 질병, 상해로부터 회복이 불가능 하다고 판단될 경우다. 따라서 단순히 반려동물이 병들었단 이유만으로는 안락사가 시행되지 않는다. 미국 동물병원에서는 반려견의 보호자와 수의사가 판단을 내릴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한다. 동물종양학자 앨리스 빌라로보스가 제시한 ‘삶의 질 기준표’에 따르면, 상처(Hurt), 식욕(Hunger), 수분(Hydration), 위생 상태(Hygiene), 행복(Happiness), 이동 능력(Mobility), 컨디션이 좋은 날은 얼마나 되는가(More good days than bad) 등의 7가지 기준이 있다. 앞 글자들을 따 ‘HHHHHMM 기준표’라고도 불린다. 반려인과 수의사는 이 표에 맞춰 각 기준별로 10점 만점으
【코코타임즈】 사랑하는 강아지의 2세를 보고싶은 보호자들이 많다. 임신을 계획하고 출산하는 과정에서 보호자의 적극적인 도움과 개입이 필요하다. 증상 개가 임신할 경우 피로감을 쉽게 느끼거나 더 많은 시간 동안 잠을 잔다. 고양이가 임신한 경우 파고드는 모습이 확연하게 보인다. 젖꼭지가 둥근 모양으로 바뀌고 복부 사이즈가 커지며 체중 증가가 함께 일어난다. 분만이 가까워지면 어미는 식욕 저하, 체온 하강 그리고 바닥을 긁는 등의 불안 행동을 보이는 것이 보통이다. 출산이 시작되면 어미가 방해받지 않는 조용한 공간에서 분만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원인 개는 일반적으로는 8개월에 한 번씩 발정이 온다. 평균적으로 2년에 3회 발정을 하며 새끼를 낳을 수 있어 이 시기에 짝짓기를 하면 임신이 된다. 고양이는 개와 달리 교미 자극으로 배란이 된다. 이 때 짝짓기가 이루어지지 못하면 발정이 계속된다. 교배 후 2주 정도를 거쳐 임신이 이루어진다. 치료 고양이의 임신은 평균 66일 정도. 임신 초반에는 주위 환경과 사료, 모래 등을 관리해 스트레스를 최소화 해준다. 임신 30일째는 동물병원에서 초음파
【코코타임즈】 반려동물의 치아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부위다. 하지만 그들은 자신의 치아를 직접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자주 확인해야 한다. 증상치은염과 치주염은 반려동물에게 흔히 일어나는 질환이다. 잇몸에 염증이 일어났을 때 방치하면 치주 조직이 손상된다. 심하면 아래턱이 골절되기도 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심한 구강 냄새, 잇몸 출혈, 식욕 저하 등이 나타난다. 구내염과 치아흡수성병변은 고양이에게 흔한 구강 질환이다. 치아흡수성병변은 치아의 한 부분이 녹아서 흡수되고 사라지는 질환으로, 치아의 목과 뿌리가 녹는다. 구내염은 입안 점막 부분에 궤양,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또 외상이나 식습관으로 인해 치수가 노출되고 치아뿌리를 포함해 골절이 있으면 발치를 하기도 한다. 원인 치주질환의 원인은 치석이다. 치석은 세균이기 때문에 관리가 되지 않으면 잇몸에 염증이 발생한다. 만약 치석을 제거하지 않고 둔다면 세균이 혈관을 타고 다른 장기로 이동해 심혈관질환, 만성신장질환, 당뇨병 등의 전신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구내염과 치아흡수성병변은 원인이 밝혀져 있지 않다. 때문에 보호자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People are still buying drugs and vaccines at pharmacies and they do not realise they could be offenders," the country's vet association director says. "It is illegal for any person to practice veterinary medicine. Such act without the licensure have penalties, and they could get prison sentences as well. I hope to prevent that from happening." Korean Animal Hospital Association (KAHA) President Lee Byoung-yeol, who took office on, told the COCOTimes last week that widening a list of prescription drugs does not necessarily mean vets will get more money, but it will get the things right. As 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