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반려동물 산업 발전을 위한 토론회'에서 이같이 말하고, "이를 위해선 소비자들이 반려동물 관련 정보를 '인터넷 커뮤니티'가 아닌 '공식 채널'에서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반려동물을 쉽게 사고 버리는 문제가 있으니, 사람들의 책임감을 키우는 교육도 한층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펫산업 발전을 통해 우리가 '선진형 동물복지사회'로 가기 위해선 '신뢰자본'(Trust capital)이 하루빨리 사회적 인프라로 굳게 자리 잡아야 한다는 것.
사실 지금은 펫밀리(Pet-(fa)mily) 1천500만 시대. 우리나라 반려동물 전체 시장규모도 올해 3조 원, 2027년 6조 원으로 커져간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하지만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이를 체감할 수 없다는 원성이 높다. 신민수 한양대 교수는 "반려동물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동물등록제에 대한 실효성 강화가 필요하다. 등록제가 정착돼야 다양한 보험 상품을 마련하는 기반도 될 것"이라며 "동물등록제 실효성 강화를 위해 과태료 부과, 징수 등 행정 처분 기준을 현실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발제를 맡은 김현주 서정대 교수는 "과거 반려동물 산업은 사료, 용품, 수의 진료 등이었지만 새롭게 보험, 애견카페, 장묘 등이 떠오르고 있다"면서 "펫산업이 자칫 동물을 이용해 돈을 번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아니다. 사람과 동물이 함께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진정한 '동물복지'라는 점에서 산업 발전 활성화를 위해선 동물을 어떻게 잘 키울 수 있는지부터 연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런 점에서 반려동물 분양업을 두고는 다양한 방안들이 나왔다. 채일택 동물자유연대 사회변화팀장은 "반려인들은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여기지만 이 반려동물들이 곁에 오기 전까지 사정은 다르다. 물건 취급을 당하기 때문"이라며 "반려동물 수를 늘리는 양적 성장이 아니라 시민들이 반려동물을 제대로 키울 수 있도록 질적으로 건강한 성장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김경서 한국펫산업소매협회 사무총장은 "반려동물 산업이 발전해야 동물복지가 이뤄지고 동물보호단체에 기부도 더 많이 하게 되는 것"이라며 "동물들이 태어나면서 사람들에게 위안과 행복감을 주는데 왜 이런 부분은 간과하는가? 분양이 문제가 아니라 버리는 것이 문제이니 반려동물 문화가 성숙해질 있도록 반려인 교육이 우선돼야 한다"고 맞받았다.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반려인, 비반려인 모두를 고려한 정책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김동현 농림축산식품부 동물복지정책팀 과장은 "여러 정책 중에서도 반려동물 관련해서는 상반된 정책 수요가 많다. 키우는 사람과 안 키우는 사람, 또 안 키우면서 싫어하는 사람 등 다양해서 어떤 정책을 조금만 조정해도 민원이 굉장히 많다"며 "그 사이에서 균형과 속도를 맞춰 어떤 공익이 있는지 살펴 가며 정책을 만드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현조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정책총괄과 과장도 "소상공인 창업 지원 사업을 보면 반려동물 분야에 신사업 창업이 많은 만큼 새로운 서비스가 나오는 것에 대한 규제가 개선돼야 한다"며 "소비자 지향적인 관점에서 규제 개선을 해야 펫산업이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재욱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축사에서 "사람과 동물이 공존하는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인식 전환이 필요해서 예산도 많이 반영하고 있다"며 "보험, 의료 등 반려인들이 불편함을 느끼는 것들에 대해 기준을 어떻게 만들지 고민도 많다"고 말했다. 김세연 한국당 의원(여의도연구원장)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 "반려동물은 물론, 실험동물 산업동물에 대해서도 시대적 과제가 있다"며 "생산, 유통, 의료, 보험, 카페 등 관련 서비스들의 성장을 위해 다양한 정책이 나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