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24 (토)

  • 구름조금동두천 27.7℃
  • 구름많음강릉 28.8℃
  • 구름조금서울 29.3℃
  • 구름조금대전 28.8℃
  • 구름조금대구 33.0℃
  • 맑음울산 29.3℃
  • 맑음광주 30.1℃
  • 맑음부산 29.1℃
  • 맑음고창 28.7℃
  • 맑음제주 30.1℃
  • 맑음강화 26.4℃
  • 구름조금보은 27.9℃
  • 구름조금금산 29.4℃
  • 맑음강진군 29.9℃
  • 맑음경주시 31.0℃
  • 맑음거제 28.3℃
기상청 제공

Main Top

우리나라 유기·유실동물, 처음으로 줄어들었다

 

 

【코코타임즈】 매년 늘어나기만 하던 유기 · 유실동물 수가 지난해 처음으로 줄었다. 2019년 13만5천791마리에서 2020년 13만401마리로 5천300여마리(3.9%) 감소한 것. 

 

게다가 지난해 새로 ‘동물등록’을 한 반려견은 23만5천여마리로 전년 대비 11%나 증가했다. 동물등록이 의무화된 2014년 이후 지난해까지 누계로는 모두 232만 마리가 등록한 셈이다.  

 

반려동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하지만 우리나라 반려견 602만 마리 중 등록하지 않은 강아지가 아직 60%를 넘고 있고, 유기 · 유실동물 운영비와 길고양이 중성화(TNR) 등에 들어가는 국가 예산이 매년 15% 이상씩 급증하는 등 사회적 비용이 커지고 있다는 건 여전히 남은 숙제다. 

 

또 전국 지자체들 사이에서도 동물보호복지를 대하는 인식 격차가 너무 크고, 반려동물을 가까이에서 접하는 펫케어(pet-care)산업에 종사하는 업체 대부분이 ‘업주 1인’에 의존하는 ‘영세 자영업’ 수준이라는 점도 한계로 지적된다. 

 

농식품부 산하 ‘농림축산검역본부’는 1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 반려동물 보호와 복지 관리 실태에 관한 조사 결과'를 내놨다. 현행 '동물보호법'(제45조)에 따라 정부는 매년 이런 조사 결과를 공표해야 한다.

 

지난해 유기동물 유실동물 수 13만 마리... 강아지 73.1%, 고양이 25.7% 


조사 결과, 2020년 말 기준으로 전국 280개소 동물보호센터에 수용된 유기 · 유실 동물은 모두 13만401마리. 그 중 강아지는 73.1%, 고양이는 25.7%, 기타가 1.2%였다. 

 

 

이는 전년 대비 3.9% 감소한 것으로 관계자들은 “매년 증가만 해오던 유기 · 유실 동물 수가  2019년 13만5천791마리를 정점으로 향후 지속적인 하락세로 돌아설 지 주목된다”고 평가했다. 

 

또 이렇게 구조된 유기 · 유실동물은 매년 45% 정도가 보호소에서 생을 마감한다. 지난해의 경우도 안락사가 20.8%, 병사 또는 자연사 등이 25.1%. 

 

반면 소유주가 다시 찾아가는 비율은 매년 10% 내외로 비슷하나, 지난해의 경우 다른 주인을 찾아준 분양 비율이 29.6%로 전년 대비 3.2% 포인트 증가했다. 그동안 여러 지자체와 동물보호단체들이 시행해온 유기 · 유실동물 입양 프로그램이 나름 성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 외 나머지 10% 남짓은 보호소에 '보호 및 관리' 상태로 계속 남게 된다. 

 

 

 

이렇게 전국에서 유기 · 유실 동물을 구조하고 보호, 입양하는 등의 연간 운영비에 정부 예산 267억원이 들어갔다. 전년 대비 15.1% 증가한 것. 

 

또 지난해 길고양이 중성화(TNR, Trap-Neuter-Return) 지원사업을 통해 길고양이 7만3천632마리를 중성화했는데, 여기에도 예산 106억9천만원이 소요됐다. 전년 대비 17.7%가 증가한 것.

 

반려동물 등록률 여전히 40% 밑돌아


이와 함께 지난해 신규 등록된 반려견은 23만5637마리. 전년대비 11%가 늘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33%, 서울 19%, 인천 6% 순.  

 

 

또 등록방법도 올해부터 무선칩만 가능하도록 규정이 바뀜에 따라 ‘내장형 무선식별장치’, 즉 강아지 몸 안에 무선칩을 심는 방식이 58.9%로 압도적으로 많아졌다. 목에 인식표를 달아주는 정도에 그치려면 보호자들이 대거 내장형 무선칩을 선택했기 때문. 

 

이로써 2014년 반려견에 대한 등록제가 의무화된 이후 등록을 한 번이라도 한 반려견은 모두 32만1천701마리로 집계됐다. 

 

하지만 정부가 이에 앞서 발표한 ‘2020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반려동물 보호자 가구에서 키우고 있는 강아지는 모두 602만 마리(전체의 81,6%). 

 

그렇다면 반려견 등록률은 전체 602만마리의 38.5%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그중 이미 사망하는 등 이미 등록을 말소했어야 할 숫자까지 감안한다면 실질 등록률은 그보다 더 낮아진다. 

 

검역본부 최봉순 동물보호과장은 "반려견 등록의 꾸준한 증가 추세는 소유자의 인식이 높아진 결과"라며 "유기 ‧ 유실동물 예방을 위한 제도의 지속적 개선 및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8개 업종 펫케어산업, 대부분 영세 자영업 수준


이에 더해 반려동물을 다루는 펫케어(pet -care)산업은 8개 업종, 총 1만9천285개소로 종사자는 약 2만4천691명으로 나타났다. 업체 수는 벌써 2만개에 달하나, 업체당 종사자 수는 겨우 1.28명에 불과하다. 즉, 대부분이 '1인 기업'이라는 얘기다.  

 

 

 

 

업종별로는 동물미용업체 수가 7천271개(전체의 37.7%)로 가장 많고, 펫카페 등 동물위탁관리업(23.0%)과 펫샵 등 동물판매업(21.5%)  등의 순이다.  또 브리더 등 동물생산업도 전국에 1천900여곳으로 10.1%나 됐다. 

 

이들 8개 업종 종사자는 동물미용업이 8천741명(35.4%)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2019년과 비교해 지난해 반려동물 관련 영업장은 12.4%, 종사자는 9.4% 증가한 규모다.  

 

이어 지난해 지자체 동물보호감시원은 413명으로, 983건의 위반행위를 적발했다. 주요 위반 행위로는 반려동물 소유자의 목줄·인식표 미착용 등 위반(62%), 반려견 미등록(15.2%), 반려동물 관련 미등록 영업(7.7%) 등이 많았다. 

 

한편, 조사에 대한 더 자세한 결과는 검역본부가 운영하는 '동물보호관리시스템'(바로가기)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