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칼럼】우리 펫산업, 이미 6조원 넘어섰다?
【코코타임즈】 펫산업은 우리나라 대표적 성장산업의 하나다. 도시 주요 상권마다 동물병원, 펫숍, 펫카페들이 몇 개씩이다. 반려인구가 늘면서 반려견 놀이터부터 펫테마파크, 펫장례식장 등 기반시설들도 빠르고 늘고 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엔 그런 경향이 더 빨라졌다. 온라인쇼핑몰부터 할인매장과 백화점, 심지어 동네 편의점 등까지 반려견 사료나 용품코너들이 넘쳐난다. 전체적인 불황 속에서도 펫산업은 거뜬하다. “펫산업은 경기변동에 비(非)탄력적”이란 얘기가 실감 난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 펫산업은 어느 정도나 커졌을까? 아쉽게도 아직 모른다. 추정치만 있을 뿐. 공급 측면에서도, 수요 측면에서도 정확한 통계가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국민은행 KB경영연구소 등은 우리나라 펫산업 규모를 2009년 9천억원에서 2015년 1조9천억원, 2020년 3조4천억원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봤다. 그런 추세로 2021년 3조8천억원을 거쳐 2027년 전후엔 6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었다. 그동안 '반려동물 680만, 반려인구 1천500만' 추산 하지만 이는 실제보다 부풀려져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동안 우리는 반려동물 가구수와 반려인구, 반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