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COCOTimes)】 개 회충증(Ascariasis)은 개의 장이 회충에 감염되어 구토와 설사 등의 증상을 유발시키는 질환을 말한다. 건강한 개는 회충증에 감염됐어도 기생충의 수가 적을 경우 특이 증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어린 강아지가 회충증에 감염됐거나, 다 큰 성견이라도 중증의 회충증일 경우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하루에 10만 개 이상 번식되는 회충 알에 노출되면 사람도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한 질병이다. [증상] 회충의 수가 적을 때에는 별다른 증상이 관찰되지 않는다. 하지만, 다량의 회충이 기생하게 되면 볼록하게 배가 불러오며 구토와 설사, 복통,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7~18cm나 되는 회충이 하루에도 10~20만 개의 알을 낳게 되는데 이런 다량의 회충 덩어리들이 장폐색을 유발하거나 경련과 신경 마비 등의 증상을 일으키게 되는 것. 성견이 회충증에 감염됐을 경우에는 식욕 부진과 함께 구토, 설사,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털이 푸석푸석해지고 탈모 증상이 관찰되면서 몸이 마른다. [원인] 개 회충증에 걸린 어미 개가 새끼를 낳았을 경우 어미 개의 뱃속에서부터 탯줄을 통해 새끼 강아지에게 전염될
【코코타임즈】 개회충(dog roundworm)은 개를 숙주로 삼아 소화기에 기생하는 기생충이다. 우리들의 경우, 과거에 재래식 화장실을 쓰거나 분뇨를 거름으로 사용할 당시에는 회충 감염이 잦았다. 하지만 화장실이 수세식으로 바뀌고 거름도 화학비료로 대신하면서 점차 줄어들었다. 또 생활 하수가 하수종말처리시설을 거치게 한 것도 회충 감염률 감소에 한몫했다. 그러나 개는 아직 회충 감염률이 높은 편이다. 야외활동이 잦거나 집 밖에서 키우는 개라면 감염될 확률은 더 높아진다. 야외에는 개회충에 오염돼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개회충에 감염될 경우,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보이지 않는다. 점차 개회충 수가 늘어나면 배가 불러오고 복통, 딸꾹질, 구토, 설사, 빈혈, 체중 감소, 탈모, 털이 푸석해지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개회충 예방과 치료가 중요한 이유는 장폐색과 신경마비 등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개회충은 하루에 10만 개 이상 알을 낳는데, 다량의 회충 덩어리가 건강 이상을 일으키는 것이다. 만약 어미 개에게 개회충이 발견될 경우, 태반을 통해 새끼에게 감염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동물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반려견을 키운다면 정기적
【코코타임즈】 개 회충은 생후 6개월 미만 강아지에게서 자주 발견된다. 실제로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 내 2~6개월 사이 강아지의 80%가 개 회충을 갖고 있다. 개 회충은 어미가 새끼를 가졌을 때 감염돼서 새끼에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탯줄을 통해 감염되거나 어미 개 젖을 통해 새끼 강아지에게 옮는 것이다. 성견의 경우, 개 회충에 감염된 개의 배설물을 핥는 등 경구감염이 원인일 수 있다. 따라서 강아지가 어리거나 임신 계획이 있다면 수의사와 상담을 거쳐 구충에 특히 신경 써야 한다. 기생충 예방약은 경구 투여하거나 피부에 바르는 등의 종류가 있다. 개가 건강한 상태에서도 개 회충에 감염됐다면 대부분 가벼운 증상에서 그치거나 별다른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개 회충에 장시간 혹은 다량 노출된다면 각종 이상 증상을 보인다. 구토나 설사, 복부 팽창 등이 주된 증상이며, 이밖에도 복통이나 빈혈, 식욕부진, 경련, 마비 등을 일으킨다. 한편, 개 회충은 개뿐 아니라 사람에게도 감염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사람의 경우, 알레르기나 가려움증, 기침 등의 증상을 보인다. 심하면 유충이 신
【코코타임즈】 배가 부은 것은 보통 밥을 많이 먹었거나 임신을 했을 때이다. 두 경우를 제외한 상황에서 개나 고양이 배가 부풀어있다면 건강을 체크해봐야 하는 초기 단계. 특히 다음 같은 증상을 함께 보이면, 한가한 상황이 아니다. 이런 증상은 위험해요... 바로 병원에 가보세요 "짧은 시간 내에 배가 급격히 부었다. 구토를 하며, 숨쉬기도 힘들어한다." → 위장에 병이 생겼을 수 있다. 특히 위염전, 위확장.(위확장은 심하면 호흡 곤란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암컷이다. 하복부가 부었다. 구토하며 호흡이 거칠다. 물을 많이 마시며 소변을 자주 본다. 외음부가 부었고 악취가 난다. 외음부에서 고름이나 피가 난다. 구토하거나 설사를 한다." → 중성화 수술을 하지 않았는데도 그런다면 생식기쪽 질환이 생겼을 수 있다. 특히 자궁축농증. "부은 곳이 하복부다. 방광 근처에 응어리가 만져진다. 소변을 제대로 보지 못한다. 혈뇨를 본다. 평소보다 배뇨 횟수가 증가 혹은 감소했다. 소변을 보지 못하거나, 소변 볼 때마다 아파한다." → 비뇨기쪽 질환. 특히 요로 결석일 가능성이 있다. 이런 경우라면 더 세심하게 관찰해봐야 해요 "식욕도 있고 건강해 보인다. 하
【코코타임즈】 가장 흔한 고양이 기생충이다. 전문 용어로는 Toxocara cati 라고 한다. 회충이 있는 고양이의 분변을 핥아서 감염되며 야외에서 쥐를 잡아먹고 감염되는 경우도 있지만 요즘은 대부분 실내에서 기르므로 이보다는 이미 감염된 어미의 수유과정에서 새끼에게 옮기는 경우가 많다. [증상] 설사와 구토를 한다. 체중이 감소하고 쇠약해진다 털이 윤기가 없고 거칠어 진다. 지알디아나 콕시듐 등 위나 장에 기생하는 기생충에 비해 회충은 자칫 다른 부위로 옮겨가 더 큰 병을 일으키기도 하니 주의해야 한다. [원인] 감염된 고양이의 분변을 통해 옮는다. 감염된 생고기를 섭취해서 옮기도 한다. 수유과정에서 새끼가 감염되는 경우도 있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치료] 분변검사를 통해 감염이 확인되면 구충제로 치료한다. [예방] 야외에서 쥐를 잡는 등 사냥을 못하게 막는다. 타 고양이의 분변에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잘 모르는 고양이가 모이는 모임은 가급적 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