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제주 앞바다 가두리에서 야생적응 훈련 중이던 남방큰돌고래 '비봉이'(22~23세 추정)가 원래 있던 수족관(제주 퍼시픽리솜)으로 돌아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비봉이는 "수족관에 마지막까지 남은" 남방큰돌고래인데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방영 이후 또 다시 전국적인 관심사로 떠올랐다. 주인공 우영우 변호사는 "언젠가 제주 바다에 나가 남방큰돌고래를 보고 싶다" 했다. 당시까지만 해도 비봉이는 곧 훈련을 끝내고 바다에서 자연의 생활을 즐길 것으로 기대됐었다. 비봉이는 지난 8월초 수족관(제주 퍼시픽리솜)에서 나와 제주 서귀포 앞바다에 설치된 가두리 시설에서 본격적인 야생적응 훈련에 들어갔다. 그러나 이번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문제였다. 힌남노가 북상하면서 지난달말, 비봉이는 가두리에서 긴급 후송돼 수족관으로 다시 돌아와야 했다. 큰 파도가 몰아치는 바다 가두리에서 비봉이가 위험 상황에 놓이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차원. 실제로 제주 앞바다 가두리 훈련장은 이번 힌남노로 상당 부분이 파괴되고 훼손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수부, "마지막 남은" 남방큰돌고래 비봉이 야생적응 훈련 과정 일반에 공개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그 대신, 13일부터
【코코타임즈】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국내 수족관에 남아있는 마지막 남방큰돌고래 '비봉이'를 자연 생태계로 돌려보내기 위해 관련 기관 및 시민단체, 전문가 등과 협력해 야생적응 훈련 등 해양방류를 위한 본격적인 준비를 시작한다고 3일 밝혔다. 제주도 연안에서 약 120여 개체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남방큰돌고래는 2012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돼 보호·관리되고 있는 종이다, 해양보호생물 지정 당시 국내 수족관에서 총 8마리가 사육되고 있었으며, 2013년 제돌이, 춘삼이, 삼팔이 방류를 시작으로 2015년 태산이, 복순이, 2017년 금등이, 대포 등 총 7마리가 바다로 돌아갔다. 지금은 제주 퍼시픽랜드(㈜호반호텔앤리조트)에 '비봉이' 1마리만 남아있는 상태이다. 해수부는 제주특별자치도, ㈜호반호텔앤리조트, 시민단체 등과 마지막 수족관 남방큰돌고래 '비봉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해 왔으며, 7월 초 해양방류를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방류 세부계획을 마련해 본격적인 방류를 추진하게 됐다. 이에 따라 '비봉이'는 그 동안 생활해 온 퍼시픽랜드의 수조를 벗어나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연안에 설치된 가두리 훈련장<사진
【코코타임즈】 해양수산부는 국내 연구진이 지난해 울릉도에서 발굴한 독도 바다사자(강치, Zalophus japonicus) 뼈를 활용해 바다사자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지도를 완성하고, 이를 국제 학술지(SCI)에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해양환경공단과 부산대학교(이상헌 교수), 부경대학교(김현우 교수) 연구진은 지난해 9월 울릉도에서 40여 점의 독도 바다사자(강치) 뼈를 발굴했다. 이를 이용해 DNA 시료에서 특정영역의 DNA서열을 상대적으로 길게 증폭시키기 위하여 수행하는 분석 기법인 'long-pcr기법'을 사용해 바다사자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지도를 완성했다.20세기 초 과도한 포획으로 개체수 급감 연구진에 따르면 바다사자 유전체는 총 1만6천698개의 염기로 구성돼 있으며, 다른 포유동물과 마찬가지로 13개의 단백질 암호화 유전자를 비롯해 22개의 운반 RNA 암호와 유전자, 2개의 리보솜 RNA 암호와 유전자 등 37개의 유전자로 구성돼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유전 정보는 향후 바다사자의 진화과정에 관한 연구 뿐아니라 이를 활용한 환경유전자(eDNA) 연구 등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독도 바다사자(강치)는 과거 우리나라와 일본, 러시아 등지
【코코타임즈】 정부는 개체수가 급격히 줄고 있는 큰돌고래과 발콩게, 빨간해면맨드라미, 검은머리갈매기, 뿔제비갈매기 등 5종을 '해양보호생물'로 새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이들 해양보호생물을 보호하고 있는 이는 정부에 신고한 후 '보관신고필증'을 받아야 한다. 해양수산부는 1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해양생태계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오는 23일부터 40일간 입법 예고한다고 밝혔다. 해양보호생물은 우리나라 고유종,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있는 종, 학술적‧경제적 가치가 높은 종, 국제적으로 보호가치가 높은 종들로 해수부는 이들을 '해양생태계법'에 따라 지정해 보호‧관리하고 있다. 현재까지 포유류 18종, 무척추동물 34종, 해조‧해초류 7종, 파충류 5종, 어류 5종, 조류 14종 등 총 83종이 지정돼 있다. 이번에 해양보호생물로 추가 지정되는 해양보호생물은 큰돌고래, 발콩게, 빨간해면맨드라미, 검은머리갈매기, 뿔제비갈매기로 총 5종이다. 큰돌고래는 다른 고래류에 비해 국내 연안에 출현하는 횟수는 적지만 국제적 보호가치와 학술적 가치가 높다. 또 우리나라 일부 해역에서만 서식하고 있는 무척추동물인 발콩게와
【코코타임즈】 관상어 반려시장이 뜨고 있다. 정부도 이 시장을 고부가가치 혁신산업으로 보고 2025년까지 관상어 산업을 6천571억원 규모까지 키운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부의 이런 움직임은 최근 관상어를 반려동물로 인식하는 애호가가 빠르게 늘고 있는 추세와 닿아있다. '아쿠아 펫'(Aqua Pet)으로도 불리는 관상어는 강아지, 고양이와 함께 3대 애완동물의 하나로 최근 인터넷을 중심으로 50만명 이상의 동호인이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산업 규모는 세계시장이 45조원, 국내시장이 약 4천100억원 수준. 선진국을 중심으로 매년 평균 7∼8%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국내 관상어 양식업 또한 최근 5년 동안 양식업 신고가 2배 이상 증가해 현재 166개 업체에 이른다. 해양수산부는 22일, '제2차 관상어산업 육성 종합계획(2021~2025)'을 통해 "관상어 반려시장 확대와 산업화 기반을 구축해 산업 규모를 2025년까지 6천571억원으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현재 조성 중인 아쿠아펫랜드(경기 시흥, 2022 준공), 내수면 관상어비즈니스센터(경북 상주, 2022 준공)를 활용해 유망한 관상어 양식어가의 창업을 지원하는 한편, 스마트 양
【코코타임즈】 4월부터는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해양보호생물'들을 3차원 입체영상으로 생생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점박이물범 남방큰돌고래 상괭이 등 우리의 환경오염으로 서식지가 줄어든데다 무분별 남획으로 멸종 위기에까지 이른, 그래서 우리가 오히려 "더 보호해야 할" 아이들이다. 흔해 보이는 산호 거북 게 물개들 중에서도 특별히 보호해야 할 종들도 있다. 해양수산부는 이러한 해양보호생물을 시민들이 더 편하게, 또 더 널리 알 수 있도록 네이버와 '해양생물 3D 콘텐츠 공동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해수부가 네이버에 제공하는 해양생물 3D콘텐츠는 총 27종. 해양포유류 7종, 무척추동물 13종, 바닷새 4종, 어류 2종, 파충류 1종이다. 모두 멸종위기에 처해있거나 보호 가치가 높아 법적으로 보호하고 있는 ‘해양보호생물’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비스에서는 3차원 입체영상은 물론, 주요 특징, 분포 현황 등을 함께 소개해 해양보호생물에 대한 이해를 도울 계획이다. 송명달 해양환경정책관은 "해양생물 3D 콘텐츠를 통해 국민들이 평소 접하기 어려웠던 해양생물을 더욱 생생하게 만나볼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코코타임즈】 장식깃이 뿔처럼 멋지게 자라는 바닷새 '뿔쇠오리'가 올해 1월의 해양생물로 선정됐다. 해양수산부는 2일 "뿔쇠오리 개체수는 전 세계적으로 1만 마리 이하로 보호가 시급하다"며 그 선정 배경을 밝혔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도 뿔쇠오리를 1994년부터 '멸종취약종'(VU)으로 분류하고 있다. 뿔쇠오리는 바다쇠오리속에 속하는 바닷새로, 바다쇠오리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3~7월의 번식기가 되면 뿔처럼 긴 장식깃이 머리에 자라나서 구분하기가 쉽다. 몸길이는 평균 26cm, 몸무게는 약 180g. 거친 바다에서 사는 바닷새치고는 체구가 작은 편이다. 또 일생을 바다에서 살아가지만 번식기가 되면 사람이 살지 않는 섬으로 가서 알을 낳으며, 부화한 지 2~3일밖에 안된 새끼들을 데리고 바다로 나간다. 뿔쇠오리는 일본 규슈와 이즈 제도, 러시아 사할린, 중국, 우리나라 등 동북아시아만 분포한다. 주 번식지는 일본 동남부이며 우리나라 신안 구굴도를 비롯해 서남해의 일부 무인도와 독도에서도 번식하는 것이 확인됐다. 정부는 뿔쇠오리를 보호하기 위해 2016년부터 뿔쇠오리를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뿔쇠오리를 허가 없이 포획하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