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강아지 카페나 강아지 놀이터는 강아지에게 친구를 만들어줄 때 보호자들이 자주 찾는 장소다. 강아지에게 친구를 만들어 주거나 사교성을 길러주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런 공간은 어린 강아지나 사회화 교육이 필요한 개에게 역효과를 일으킬 수도, 건강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전염병 우려 강아지 사회화 시기는 생후 3주~12주 사이다. 이때는 사회화 교육이나 산책 교육을 비롯해 다양한 교육을 시도해볼 수 있는 때. 하지만 주의해야 할 시기이기도 하다. 동물메디컬센터W 최갑철 원장은 “(이 때는) 아직 종합 예방접종 기간이 끝나지 않은 시기이므로 면역력이 약한 상태”라고 말했다. 다양한 개가 오가는 곳은 알게 모르게 전염성 질환에 대한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바이러스나 기생충, 세균 등에 의한 전염성 질환을 가진 개가 공원에 출입했을 경우, 그 종류에 따라 면역력이 강한 개는 전염성 질환에 노출돼도 무증상으로 혹은 가볍게 지나칠 수도 있지만, 면역력이 약한 강아지에게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돌아올 수 있다. 면역력이 약한 강아지 건강을 위해서 강아지 전용 공원이나 놀이터 출입은 예방접종을 모두 마친 뒤가 좋다. 예방접종이 미처 끝나지
【코코타임즈】 내년부터 전국에 산재한 야생동물 카페의 동물전시가 전면 금지된다. 유치원 등에 동물을 가져가 어린이들에 체험하게 하는 이동식 전시도 안 된다. 이에 따라 규모가 작은 민간 동물원들을 비롯, 동물전시로 수익을 올리는 대다수 야생동물 카페들의 경우엔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환경부는 전국 110개 동물원(공영 20개, 민간 90개)에 대한 관리 내용을 담은 '제1차 동물원 관리 종합계획(2021-2025년)'을 수립해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지난 2018년 6월, 적정한 동물원·수족관 관리를 위해 5년마다 종합계획을 수립하도록 '동물원 및 수족관의 관리에 관한 법률(동물원수족관법)'이 개정된 이후 마련된 첫 법정 계획. 이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 중 동물원수족관법을 개정해 현행 동물원 등록제를 허가제로 전환하고, 전문 검사관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허가제가 도입되면 2022년부터 야외 방사장을 갖춘 동물원에서만 맹수류를 보유하도록 하는 등 사육 환경에 따라 전시할 수 있는 야생동물의 종류가 제한된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인수공통감염병 우려로 야생동물카페 등 동물원 설립 규모 미만의 전시 영업을 전면 금지한다.
【코코타임즈】 아르바이트생(이하 알바생) 10명 중 7명 이상은 반려동물 관련 알바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알바몬이 알바생 7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반려동물 알바 선호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알바생들의 상당수가 '펫팸 알바'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설문에 참여한 알바생 중 75%는 '반려동물 관련 아르바이트를 선호한다'고 답했으며, 이 중 77.4%는 다른 아르바이트에 비해 급여가 다소 낮더라도 반려동물 아르바이트를 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반려동물 아르바이를 선호하는 이유로는 △개인적으로 동물들을 너무 좋아하기 때문(45.0%) △동물들과 일하는 것이 재미있을 것 같아서(30.1%) 등을 꼽았다. 이 외에도 △반려동물 관련 직업이 향후 유망할 것 같아서(9.2%) △사람들을 대하는 것보다 동물들과 일하는 것이 더 편할 것 같아서(8.1%) △향후 반려동물 관련 사업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서(6.1%) 등으로 응답했다. 해보고 싶은 반려동물 관련 아르바이트로는(복수응답) △애견카페 등 반려동물 카페 아르바이트(65.4%)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