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과 함께 찾아오는 ‘살인 진드기병’(SFTS) 거기 물렀거라
【코코타임즈】 걸리면 목숨을 잃는 치명률이 아직 20%에 가까운 SFTS(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감염되면 고열이 나는데다 출혈, 또는 피 속의 백혈구와 혈소판을 줄어들게 해 건강에 치명적 타격을 입힌다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흔히 구토와 설사, 복통은 물론 두통이나 근육통, 신경증상(의식장애, 경련, 혼수 등)도 동반한다.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려 생긴다. 진드기를 매개로 감염된 개, 고양이 등 반려동물의 혈액이나 체액(침, 소변 등)에 간접 노출되면 보호자도 2차 감염될 수 있다. 산이나 들, 공원에 나갔다 강아지 털에 묻은 진드기가 강아지 살을 파고 들어 4~15일 잠복하다 강아지에게서 나온 혈액이나 침, 소변 등은 통해 사람에게도 옮는다는 애기다. 그래서 강아지와 함께 산과 들, 공원 등 야외로 많이 나가는 봄철 4월부터 가을철 11월까지 많이 걸린다. SFTS, 치명률 18% 넘어... 백신도 치료제도 없어 하지만 SFTS엔 현재까지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다. 감염을 조기에 인지해 신속하게 대응하는 게 중요한 이유다. SFTS가 처음 알려진 201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