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1929년. 독일 의사 베르너 포르스만은 특별한 실험을 했다. 자신의 심장 동맥에 길고 가느다란 카테터(catheter)를 직접 밀어 넣었다. 그 이후 카테터에 스텐트(stent)를 연결해 혈관의 막힌 곳을 뚫거나, 반대로 혈관을 막아(색전, 塞栓) 출혈을 치료하는 길이 열렸다. 약을 쓰는 ‘내과’, 수술로 해결하는 ‘외과’ 중간에서 이 둘을 연결해주는 중재술(仲裁術, intervention)이란 영역을 개척한 그는 1956년 노벨의학상을 받았다. 국내에서도 30여년 전부터 사람 쪽 수술을 대체하는 시술법으로 널리 퍼졌다. 강아지 고양이 치료에 쓰기 시작한 건 2010년 전후부터. 그러다 최근엔 심장뿐 아니라 종양 등 다양한 질환 치료에 널리 쓰이고 있다. 특히 수술이 어렵다는 간암, 전립선암 등도 치료할 길이 열렸다. 중재술 전성시대가 열리고 있는 셈이다. 해마루2차동물병원 전성훈 수의사(인터벤션센터장)에게 물었다. < 편집자 주> 사람 암치료에 쓰던 색전술, 이젠 강아지 고양이 종양에서도 진가 발휘 강아지에 간이나 전립선 종양은 얼마나 생기나? 간 종양은 전체 종양 환자의 약 1.5%에서 생긴다. 해외 자료에는 미니어처슈나우저 등
【코코타임즈】 개의 후각은 상상 이상으로 뛰어나다. 그래서 공항과 항만 출입을 관리하는 관세청에 소속돼 마약을 탐지하는 등 공적인 업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가 개는 사람 몸에 생긴 암(癌)도 감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것만 전립선암, 유방암, 대장암, 피부암 등이다. 처음 보고된 것은 개가 반려인의 다리에 생긴 점의 냄새를 계속 맡았고, 진단 결과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이었던 영국 사례다. 개가 반려인의 유방암을 발견한 사례도 있었다. 역시 지난 2014년 영국에서 발생한 일이다. 소변 샘플로 암 환자를 가려내는 훈련을 받던 래브라도 종의 데이지라는 개가 있었다. 정확도가 93%에 달할 정도로 높았다. 그러다 데이지가 반려인의 가슴을 킁킁거리기 시작했고, 과도하게 가슴을 발로 밀고 반려인을 넘어뜨리기도 했다. 반려인은 그 부위를 검사했고, 유방암인 것이 드러났다. 다행히 초기에 발견한 덕분에 완치가 가능했다. 개가 사람의 소변을 통해 전립선암 여부를 구별해내는 이탈리아의 2015년 연구에서도 정확도가 97% 이상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탈리아 밀라노의 후마니타스 임상연구센터 비뇨기과 연구팀이 두 마리 독일 셰퍼드의 후각을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