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COCOTimes)】 반려견의 입 냄새가 심해 걱정인 반려인들이 적지 않다. 개의 입 냄새는 양치를 자주 하지 않은 탓일 확률이 크지만, 질병의 신호일 수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개 입 냄새의 가장 흔한 원인은 오래 쌓인 치석과 치주질환이다. 양치를 자주 시키지 않으면 개도 사람처럼 치아에 치석이 끼고 세균이 달라붙는다. 결국 잇몸까지 약해지면 치아가 흔들리기도 한다. 이를 예방하려면 매 끼니 후 양치를 시키는 게 좋다. 어렵다면 매일 1번 혹은 사흘에 1번 등 목표를 정해 주기적으로 양치시키자. 개가 양치를 거부해 꼼꼼히 양치시키는 게 어렵다면 주기적으로 병원에서 스케일링을 받는 것도 방법이다. 양치질 대신 개껌, 일명 '덴탈껌'을 주고 씹게 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덴탈껌으로 치석을 제거하기는 어렵다. 덴탈껌은 치석을 예방하는 정도이기 때문에 양치질만큼의 효과를 기대하면 안 된다. 덴탈껌을 주더라도 양치질은 필요하다. 한편 식도, 위, 장에 문제가 있거나 콩팥 기능이 떨어졌을 때도 입 냄새가 날 수 있다. 특히 콩팥 기능이 떨어지면 몸에서 독소들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축적되면서 냄새를 유발한다. 또한 입에서 피비린내와 고름 냄새가 나면 구강
【코코타임즈】 비싼 사료와 매일 하는 산책, 다양한 경험만이 강아지를 보살피는 데에 중요한 요소일까? 그렇다면 강아지의 몸 구석구석을 매일 살피는 습관은? 강아지는 보호자가 알아차리기 전까지 아파도 말을 하지 못하고 불편함을 이겨낼 수밖에 없는 작은 존재다. 강아지의 불편함이나 건강의 이상징후를 해결해줄 수 있는 사람은 보호자인 만큼 매일 강아지의 정신적, 신체적 컨디션을 살펴보자. 강아지의 신체 구석구석 꼼꼼히 살펴보는 습관은 더 큰 질병을 예방하는 지름길이다. 실제로 치료 시기는 삶의 질을 크게 저하할 수도, 개선할 수도 있다. 그동안 건강 관리나 컨디션을 파악하는 데에 놓친 부분은 없었는지 알아보자. #눈 GOOD 눈동자는 초롱초롱하고 촉촉하다. 눈곱이나 눈물이 없다. BAD 눈곱이 많거나 붉은 눈물 자국이 있다. 눈물 냄새가 심하다. 눈꺼풀 부근 점막이 튀어나와 있다. 체리아이라고도 한다. 앞발로 눈을 비빈다. 충혈돼 있다. 눈꺼풀이 부어 있다. 눈부셔하거나 제대로 뜨지 못한다. 주변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어딘가에 자꾸 부딪는다. 수정체가 혼탁하다. 수정체 혼탁의 대표적인 원인은 두 가지다. 시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노령성 핵경화, 시력에 영향을
【코코타임즈】 기온이 높아지면 선선할 때보다도 발 냄새가 쉽게 난다. 이상하게도 아빠 발 냄새는 더 심하다. 발에서 나는 고린내 때문에 모두 인상을 찌푸리지만, 유독 반려견 방울이 만큼은 아빠 발을 핥는 데에 여념이 없다. 방울이는 아빠 발 냄새조차도 좋은 것일까? 고린내가 나는 발을 왜 이렇게 핥는 것일까? 염창제일동물병원 강석재 원장은 “사람이 느끼는 악취와 개가 생각하는 악취는 다르다. 개가 발 냄새에도 개의치 않고 핥는 이유는 이 때문”이라며 “개가 사람을 핥는 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라고 말했다. 발만 유독 핥는다 단순하다. 발이 개 눈높이에서 가장 접근하기 쉬운 부위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어릴 때 하던 행동이 남아서 사람을 핥으며 어리광 부리는 것. 입만 유독 핥는다 새끼 강아지는 어미 입 주변을 핥으면서 음식을 구하곤 했다. 그래서 이것 또한 어릴 때 행동이 남아 있어서다. 외출 후 특히 핥는다 외출 후에는 유독 다양한 냄새가 많이 묻어 있다. 후각이 발달한 개는 냄새에 흥미를 느끼고 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발과 몸 핥는 행동을 제지해야 할까? 굳이
【코코타임즈】 반려동물 건강은 비단 병원에서만 챙기는 것이 아니다. 일상에서 매일 꼼꼼하게 살펴줘야 이상 징후를 발견하고 조기에 치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기 치료는 삶의 질을 개선해줄 확률이 높다. 반려동물 얼굴에서 살펴보는 건강 신호엔 무엇이 있을까? #눈 건강한 강아지 눈은 초롱초롱하며 탁하지 않다. 눈가에는 눈물 자국이나 눈곱이 없어야 한다. 눈가에서 냄새가 나거나 붉은 눈물 자국, 평소에 비해서 많은 눈곱, 눈꺼풀 부근에 튀어나온 점막(체리 아이) 등의 모습은 눈 건강이 좋지 못하다는 뜻이다. 앞발로 눈을 계속해서 비비거나 충혈된 모습, 부어 있는 눈꺼풀, 눈부셔 하는 모습도 안질환을 의심해봐야 한다. 수정체가 혼탁하다면 두 가지 상황이다. 노령으로 인한 핵경화나 백내장 때문이다. 핵경화는 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백내장은 시력을 잃을 수 있는 안질환이다. 앞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벽에 붙어 걸어 다니거나 어딘가에 자꾸 부딪고 다니기도 한다. #코 코는 촉촉하고 윤기가 나야 한다. 다만, 자고 있거나 잠에서 깨어난 직후에는 코가 말라 있기도 하지만 곧 촉촉해져야 정상이다. 자고 있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