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나 진드기 등을 쫓는 약이 심장사상충약으로 둔갑해 팔리고 있다. 심장사사충을 옮기는 모기가 극성을 부리는 여름철을 겨냥해 일부 업체들이 허위 과장 광고를 하고 있는 것. 9일 경기도수의사회에 따르면 최근 일부 유통업체들이 해충기피제에 불과한 '바이오스파틱스'(biospotix) 제품을 심장사상충 약으로 광고하고 있다. 이에 경기도수의사회는 '심장사상충 약'이라는 표현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민원을 제기했다. 경기도수의사회, "물 99%에 아로마향 1% 제품을 심장사상충약으로 허위 광고" 경기도수의사회(회장 이성식)는 이와 관련, "정제수 99%에 단순 아로마향 1% 함유된 기피제를 심장사상충 예방약으로 광고해서 판매하는 곳들이 있다"며 "동물용의약외품을 '의약품으로 오인할 수 있는 광고'를 하면 안 된다"고 밝혔다. 보호자들이 기피제를 약처럼 사용하다가 반려동물이 심장사상충에 실제 감염되면 그 피해는 보호자와 반려동물들이 입게 된다는 것.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도 동물용의약외품을 '약'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제동을 걸었다. "해당 제품은 기피제로 허가받은 동물용의약외품이다. 신고한 사항 외 '심장사상충약, 구충제 대용
【코코타임즈】 여름에 개는 힘들다. 몸이 털로 덮혀 있는 존재여서 일단 더위에 약하다. 하지만 더 위험한 것은 모기다. 사상충 감염을 유발하는 매개 역할을 하기 때문. 모기는 포유동물이 호흡 시 내뱉는 탄산가스에 반응한다. 다음으로 체온에 반응한다. 그런데 개는 체고(몸의 높이)가 낮고 체온이 사람보다 높기 때문에 어떤 의미에선 사람보다 모기에 물리기 더 좋은 환경을 갖고 있다. 사상충은 '마이크로 필라리아'와 '리펜스' 두 종류가 있다. 마이크로 필라리아는 흔히 말하는 ‘심장사상충’이고, 리펜스는 피부에 침투하는 사상충이다. 사상충은 피부 속으로 침투해 2-3개월 정도 자라 유충이 된다. 이후 정맥으로 들어가고 폐동맥에서 기생한다. 점차 개체수가 늘어나 심장으로 들어가고 우심실을 막아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개가 모기에 물리면 어떤 피해가? 우선, 사람이 간지러움을 느끼듯 개도 물린 부위에 가려움을 느낀다. 하지만 사람이 느끼는 만큼 가렵지는 않아 큰 불편함은 없다. 심장사상충도 초기엔 증상이 눈에 띄지 않을 수도 있다. 심지어 혈액 검사에서조차 발견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폐와 심장 주변으로 사상충들이 모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