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COCOTimes)】 고양이도 눈곱이 낄 때가 있다. 고양이 눈곱, 어떻게 닦아주는 것이 안전할까? 우선 '거즈'를 준비해두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거즈에 항균 처리된 고양이용 안구 세척제를 적셔 닦아주면 된다. 거즈를 눈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살짝 두드리듯이 옮겨가며 눈꼬리 반대편으로 눈곱을 빼낸다. 양 눈의 세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양쪽 눈에 각각 다른 거즈를 사용한다. 고양이용 안구 세척제가 없으면 일회용 생리식염수나 방부제가 들지 않은 인공 눈물을 사용하여 닦아주는 것도 방법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 바로 젖은 '솜'을 이용하지 않는 것이다. 솜에 물이나 세척제를 적셔 눈을 닦으면 솜의 보풀이 빠지면서 눈에 남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눈이 더 빨개지고 눈물이 나면서 눈질환으로 악화될 수 있다. 또한 수돗물은 고양이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어 되도록 피해야 한다. 한편 눈곱이 고양이의 한쪽 눈에만 유난히 많이 생기고, 악취, 과도한 눈물 흘림 증상을 동반하면 병원을 찾자. 각막염, 백내장, 헤르페스 감염 등이 원인일 수 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이후 폐렴이 되고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다. 눈물, 노란 눈곱, 충혈,
【코코타임즈】 고양이는 눈이 간지럽거나 이물감이 느껴지면 세게 긁거나 문지르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발톱이 눈 각막에 스쳐 각막 손상을 입거나, 발톱 안의 균이 눈에 들어가 결막염이나 각막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고양이가 눈을 가늘게 뜨고 발로 눈을 자꾸 문지르면 눈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게 좋다. 먼저, 거즈나 탈지면 등을 미지근한 물에 적신다. 그리고 고양이를 살짝 안고 적신 거즈나 탈지면으로 눈을 부드럽게 닦아준다. 고양이가 심하게 반항하면 세탁망을 이용한다. 세탁망에 넣은 상태에서 눈을 닦아주면 된다. 만약 피가 심하게 나면 상처 부위를 수건이나 거즈로 압박해 지혈한 후 즉시 병원에 데려간다. 응급조치로 긁은 눈과 같은 쪽 앞발 발톱에 붕대를 살짝 감는 것도 좋다. 더 이상 눈을 긁지 못하도록 예방하는 것이다. 크고 두꺼운 종이를 이용해서 목 주변에 둘러주는 일명 '깔때기'를 만들어 착용시키는 것도 도움이 된다.
【코코타임즈】 고양이가 눈을 제대로 뜨지 못하거나 자꾸만 긁으려 하는 모습, 눈 부근 만지는 것을 싫어하는 등의 모습을 보인다면 문제가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 이물질이 들어가 있을 수도 있지만, 어떠한 문제로 부어 있거나 출혈, 눈곱 등으로 아파하는 것일 수도 있다. 고양이는 서로 할퀴면서 싸우다가 각막을 자주 다치는 편이기도 하다. 발톱으로 인해 상처가 생겼을 때는 발톱에 있던 세균 때문에 안질환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고양이 눈가가 눈곱으로 지저분하다면 부드러운 거즈를 따뜻한 물에 적신 뒤 꼭 짜서 눈 부근을 닦아준다. 이때 솜 사용은 금물이다. 솜 보풀이 눈가에 남으면 각막을 자극하거나 다칠 수 있다. 눈곱 양이 이전보다 현저히 늘어났다면 바이러스 감염 증상일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출혈이 있다면 환부를 부드러운 거즈로 몇 초간 눌러서 지혈해주고 동물병원을 찾아 치료받는다. 눈 안에 이물질이 들어가 있을 때는 생리식염수나 인공 눈물을 넣어준다. 눈에 몇 방울 떨어뜨리고 눈을 감았다 떴다 하면서 이물질이 눈 밖으로 흘러나올 수 있게 한다. 고양이가 눈을 감지 않을 때는 눈에 바람을 '후' 불어주면 된다. 만약 속눈썹이 눈 안을 향해 자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