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0 (수)

  • 구름조금동두천 7.3℃
  • 맑음강릉 11.6℃
  • 흐림서울 8.5℃
  • 흐림대전 9.3℃
  • 구름많음대구 11.5℃
  • 구름조금울산 10.0℃
  • 구름많음광주 11.1℃
  • 구름조금부산 12.2℃
  • 흐림고창 9.7℃
  • 흐림제주 13.0℃
  • 구름조금강화 5.9℃
  • 흐림보은 9.0℃
  • 구름많음금산 9.0℃
  • 흐림강진군 12.2℃
  • 구름조금경주시 10.9℃
  • 구름많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Main Top

【일본통신】(50)일본이 길냥이 캣맘 갈등 해결한 비결은

 

 

【코코타임즈】 일본에서 길고양이는 '치이키네코'(地域猫. 지역고양이)라 한다.  

 

보통 편하게 말할 때는 ‘노라네코’’(野良猫. 길냥이)라 부르기도 하지만, 공식적으로 부르는 정식 명칭은 ‘치이키네코’다. 지역 주민들의 이해와 승인, 합의를 받아 보살핌을 받고 있는, 특정 주인이 없는 고양이란 의미다. 

 

이들은 더 이상 개체수를 늘리지 않고, 그 세대에서 생을 마칠 수 있도록 중성화 수술을 받는 등 지역 주민들의 보살핌을 받는다. 

 

그런데 일본에서 치이키네코를 보살피는 일은 완장을 찬 활동가들이 맡고 있다. 즉, 동네 고양이에게 먹이 주는 일을 아무나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나라 사정과는 사뭇 다르다.

 

22년 전부터 준비한 길냥이 대책

 

 

 

 

 

일본에서도 주인 없이 떠도는 길고양이 문제는 지역민들 사이에 분쟁이 많았다.  

 

길냥이를 불쌍히 여겨 먹이를 주는 사람, 이를 반대하는 사람 등 주민들 사이에서 감정 싸움이 생기기도 했다.  그런 와중에 길고양이들을 해치는 학대 사건들도 빈발했다. 

 

그래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는 여러 노력들이 생겨났다. 

 

도쿄도(東京都)의 경우 1999년 3월, 동물보호관리심의회를 통해 ‘주인 없는 고양이와의 공생모델 플랜’을 마련했다.  

 

다시 1년 정도의 준비 기간을 거쳐 2001년부터 2003년까지 3년 간 20개 시범지역을 지정, 1년간 지원을 하며 돌봄 실천을 해보는 것이었다. 

 

이후 시범사업을 도쿄도 전역으로 확대했고, 그 후 2006년엔 ‘주인 없는 고양이와 공생을 위한 가이드북’을 내놓았다. 

 

길고양이들을 단지 없애는 것보다 하나의 생명체로 여겨 지역에서 적절한 관리를 해 사람과 잘 공생하는 방법을 찾은 셈이다. 

 

2018년 1차 개정된 가이드북에는  '고양이의 습성과 번식 특징' 등은 물론 구체적인 지역고양이 관리 방법까지 50페이지에 걸쳐 다양한 해결방법을 제시해 놓았다. 

 

먼저, 길냥이들을 돕고 싶은 이들을 위한 가이드부터 제시하고 있다. 

 

"주인 없는 고양이 관리 활동의 주체는 기본적으로 지역 주민이다. 지자체, 마을 단위로 팀을 만들어 역할 분담을 해 나가고, 지자체회는 광고 등을 맡아 봉사 활동의 이해와 주민 참여를 호소한다." 

 

또 동물보호단체 봉사자들은 풍부한 활동 경험을 살려 지역 주민팀에 적극적인 조언과 협력을 하도록 했다.  

 

먹이 주는 방법이나 화장실 설치 요령, 관계자와의 합의를 위한 자료 작성법, 동물병원들과의 조정 방법 등 전문 지식을 전수할 수 있도록 한 것.

 

지역 주민들과의 이해가 가장 중요


지역활동가들은 먼저 지역에 사는 고양이들의 개체수를 파악하고 그 수가 너무 많다면 이유를 조사하도록 했다. 또 먹이 공급자의 유무, 쓰레기 처리 상태 등도 살핀다.  

 

 

원인이 나오면 지역 관계자와 함께 단계별 달성목표부터 단계별 해결방안, 필요한 행정 지원 요청 등을 하도록 했다. 이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지역 주민의 이해와 협력을 얻는 일인데, 수차례 설명회를 열어 지역의 공동 활동을 알리고 협력자를 모집하도록 했다. 

 

 

 

 

관리 비용의 확보 방법은 활동 참가자들의 자발적인 회비, 공개 모금이나 바자회 개최, 지자체의 지원 등 여러가지를 제시했다. 

 

또 경비 지출은 상세한 기록과 회계 보고를 작성, 이해관계자들부터 주민 모두에게 자세히 설명하도록 했다. 

 

이어 "중성화 수술을 위한 포획 방법, 지정 동물병원과의 협력 문제 등은 보호센터 활동 경험자 등에게 조언을 구하도록 하고, 특히 화장실 설치는 장소 문제로 민원 발생이 많으니 철저히 관리되고 있음을 널리 알려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 가이드북에는 시범지역들 중 12곳의 길냥이 서식 환경, 길냥이 대책을 세운 이유, 활동 내용, 성과 등을 모은 모범사례들도 들어있다. 

 

나중에 일본의 지역고양이 정책은 일본 환경성이 정부 차원에서 내놓은 제도로 1차 완성이 됐다. 나중에 이 방안은 전국의 각 지자체들로 하달돼 지역 고양이 공생 방안의 토대가 됐다.  

 

우리나라에선 길고양이라 하더라도 반려동물 정책이라면 농식품부가 맡을 텐데, 일본에선 이를 환경 문제를 다루는 환경성이 담당한 것도 이채롭다. 

 

지역고양이 돌봄의 핵심은 완장 찬 활동가들의 봉사


이런 지역고양이 돌봄은 뭐니뭐니해도 활동가들의 자발적 봉사 활동이 핵심이다.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나 대부분 팔에 완장을 착용하고 지역고양이 돌봄에 나선다. 

 

 

매일 아침 정해진 시간에 공원에 와 배설물을 치우고 먹이를 준 후 기다리는 동안 주변 청소 등을 하고 식기를 회수하는데 약 1시간 정도 걸린다. 

 

완장으로 표시를 하니 함부로 먹이 주는 이들과 구분이 되고, 주민들은 활동가를 알아보고 고마움을 표시하기도 한다. 그렇게 지역고양이들이 거의 동네 주민들처럼 취급 받게 된 것. 

 

 

 

 

활동가들은 또 고양이 지도 제작, 전단지 배포, 주민 대표와 대화로 분쟁 해결 등에도 팔을 걷어 부친다. 

 

하지만 아직 활동가들을 보는 시선이 차가운 경우도 종종 있다.  

 

그래서 활동가가 아닌 사람이 먹이 주는 걸 금지한다는 푯말이 세워진 공원도 많다.  

 

개별 주민이 부득이하게 먹이를 줘야 할 땐 푯말에 표시된 관리자에게 알리거나 먹이, 배설물 뒷처리까지 하고 나오는 게 기본이 됐다. 

 

그러다 보니 동네가 이전보다 깨끗해지고, 고양이들이 길가의 쓰레기 봉투를 헤쳐 놓는 일도 많이 줄었다. 지금은 전체적인 민원도 많이 줄었고, 지원비를 내는 주민들도 늘었다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길고양이 캣맘 활동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필요


우리나라도 길냥이 문제로 여기저기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쓸데없이 길고양이들에게 먹이를 준다"는 이유로 폭행 당하거나 고양이 급식 장소를 훼손하는 일도 빈번히 일어난다.  

 

 

길냥이 대책에 가장 중요한 중성화 수술은 지자체의 예산 지원이 가능해졌으나, 길냥이 캣맘 활동은 아직 체계가 잡히지 않은 탓도 있다.  

 

길고양이 문제를 잘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지역 사회의 숙제를 해나가듯 함께 생각하는 자세가 필요한 시대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