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COCOTimes)】
우리나라는 국토의 약 70%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죠. 그래서 옛날부터 호랑이, 표범, 곰은 물론 토끼, 꿩, 여우까지 정말 다양한 동물들이 함께 살아온 땅입니다. 야생동물 박람회장이라 해도 크게 모자라지 않을 정도.
하지만 언제부턴가 야생동물은 급격히 줄어들었습니다. 일제 강점기 시대에 일본은 우리 민족뿐 아니라 대한민국 야생동물들도 숱하게 학살했고, 또 포획해갔습니다. 그 후에도 경제 개발에 따른 환경 오염, 지나친 도시 개발, 끊이지 않는 밀렵 등 우리의 잘못도 있습니다.
2019년 현재 그 많던 야생동물들을 이젠 찾아보기 힘듭니다. 아예 멸종된 동물들도 많습니다.
환경부는 지난 1989년부터 본격적으로 '멸종위기' 동물들을 특별관리해왔습니다. 개체 수가 현격히 감소했거나 소수만 남아있어 가까운 장래에 절멸될 위기에 처해있는 267종(2017년말 현재)을 '야생생물 보호관리법'에 따라 법정보호종으로 지정해 놓았고요.
총 267종이 멸종위기... 그중 포유류는 20종
그중 상황이 더 심각한 60종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그 나머지 207종은 '2급'으로 관리하고 있죠. 여기엔 포유류뿐 아니라 조류, 양서류, 파충류, 곤충류도 있습니다. 심지어 무척추동물이나 식물, 해조류까지 망라돼 있죠.
최근엔 학술적 가치가 있는 고등균류(菌類)까지 그 적용대상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들 관심이 큰 포유류엔 모두 20종이 법정보호종으로 지정돼 있습니다.
호랑이, 늑대, 여우, 수달, 사향노루, 반달가슴곰, 스라소니 등 12종이 '멸종위기 1급' 이죠. 그중엔 대륙사슴, 붉은박쥐, 산양, 작은관코박쥐, 표범 등도 있습니다.
또 그나마 상황이 조금 낫다는 2급은 모두 8종인데, 물개, 물범, 삵, 담비, 무산쇠족제비 등이 있습니다. 또 큰바다사자, 토끼박쥐 등도 있고, 심지어 이젠 보기 힘든 하늘다람쥐도 멸종위기 2급으로 보호받고 있죠.
모두 인간의 이기심으로 인하여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입니다.
반달가슴곰은 아마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관심 받는 멸종위기 동물이 아닐까 싶습니다. 최근에도 김천 수도산에 새끼반달가슴곰 3마리를 방사하는 등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반달가슴곰은 낙엽 활엽수가 발달한 산림에 사는 곰과의 포유동물로 가슴에 흰 초승달 무늬가 특징입니다.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한반도 전역 살았지만 일제강점기 때 해수구제 정책으로 많은 수가 사라졌고 웅담 때문에 밀렵이 끊이지 않아 멸종 직전에 이르렀고 현재 지리산,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강원도 DMZ 지역에 적은 수가 남아 있습니다.
표범과 고양이의 사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스라소니. 추운 지방에 살기에 몸이 털로 싸여 있으며, 체열 보존을 위해 몸도 뚱뚱한 편입니다.
노루와 사슴, 어린 멧돼지, 닭 등을 주로 먹는데, 수명은 12년에서 15년 사이라고 합니다.
링스(Lynx)라는 영어 이름으로도 유명한데, 모피가 좋아 해외에서도 많이 사냥되어 왔던 동물입니다.
무분별한 밀렵으로 인해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나마 함경북도나 자강도 등 북한 일부에 소수 남아있다 하고, 연해주 등 해외에서도 멸종위기 동물로 꼽히고 있습니다.
반달가슴곰, 스라소니, 수달, 사향노루... 모두 사람의 남획에다 자연 환경 파괴로
귀여운 수달은 '수륙(水陸) 양용'이라는 말이 잘 어울리는 동물입니다. 물에서도 육지에서도 귀여운 외모와는 다르게 영리한 포식자입니다.
모피로 수요가 많아지면서 남획되었고, 하천까지 황폐해지면서 개체수가 급격히 줄었습니다. 최근 하천이 다시 살아나면서 수달을 봤다는 뉴스가 간간이 보도되고 있습니다.
사향노루는 뱀파이어처럼 송곳니가 밖으로 나와있는 독특한 모습의 노루입니다. 밀렵꾼들은 곰에게선 웅담을 얻기 위해, 사향노루에게는 사향을 얻기 위해 사냥을 합니다.
사향은 예로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귀중한 약재이자 향료로서 3년 이상의 수컷에서 채취할 수 있습니다. 금보다도 비싸게 거래된다는 사향 때문에 지금은 찾아보기 힘든 동물이 됐습니다.
'생태계 복원운동', 멸종위기 벗어날 대안으로 떠올라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요즘에는 이를 반성하고 멸종된 동물을 복원하고 보호하려는 활동과 단체들이 힘을 쓰고 았숩니다.
환경부를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는 야생 동물의 서식지 보전과 자생력 회복을 위해 국립공원을 지정하고 동식물 보호 구역을 늘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불법 밀렵도구를 수거하고 야생동물 보호법을 만들고 로드킬 예방을 위해 전국 곳곳에 생태통로를 설치했습니다.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야생동물이 2012년에서 2016년 4년 사이에 3배가 늘어났다고 합니다.
요즘은 개인이나 기업에서도 환경보호를 위해 무척 노력하고 있습니다. 개인으로는 플라스틱을 줄이고 텀블러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사례입니다.
기업에서는 저탄소 공장을 운영하고, 태양광 패널을 통한 전기 공급과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자동차 개발을 통해 환경 보호에 힘을 싣고 있죠.
우리 모두가 힘을 합친다면 동물 보호를 위한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작은 관심과 손길이지만, 그것들이 모여 다가올 미래에는 지금보다 더 많은 동물들이 우리와 함께 살아갈 날이 오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