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구름조금동두천 1.3℃
  • 맑음강릉 3.5℃
  • 맑음서울 5.2℃
  • 맑음대전 3.2℃
  • 맑음대구 2.1℃
  • 맑음울산 5.0℃
  • 맑음광주 4.2℃
  • 맑음부산 7.2℃
  • 맑음고창 -1.5℃
  • 맑음제주 7.7℃
  • 구름많음강화 1.5℃
  • 맑음보은 -1.1℃
  • 맑음금산 -0.4℃
  • 맑음강진군 0.8℃
  • 맑음경주시 0.4℃
  • 맑음거제 2.6℃
기상청 제공

곤충사료, 최고급 고기사료보다 더 좋다?

 







【코코타임즈】 앞으로 반려동물들에 곤충 사료를 먹일 날이 멀지 않은 것 같다.

곤충 단백질에 대한 의학적인 호평이 이어지면서 곤충 사료가 반려동물들의 미래식량으로 새롭게 받아들여지고 있어서다.




"곤충 단백질, 보다 친환경적 대안될 것"



영국수의사협회(BVA)는 최근 "곤충 단백질로 만든 사료가 최고급 고기 사료보다 반려동물에 더 좋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일부 반려인들 사이에선 아직 내켜 하는 것 같지 않지만, 이미 많은 반려인들이 "곤충 단백질이 기존 사료를 대체할 수 있는 보다 친환경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

 














이와 관련, 사이먼 도허티(Simon Doherty) BVA 회장은 27일 BBC를 통해 "반려동물에 곤충 단백질을 줄 수 있다는 건 미래에 정말 멋진 일이 될 것"이라 말했다. 이어 "곤충이 반려동물 사료에 쓸 수 있는 대체 영양소를 제공할 것이란 사실은 그것 자체가 이미 훌륭한 기회(a fantastic opportunity)"라며 "토양과 물을 고갈시키지 않고, 기후변화를 악화시키지도 않을 식재료를 찾는 것은 정말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곤충단백질 함유한 사료들 이미 시장 진입 

사실 양어장이나 닭오리 농장 등에선 곤충 사료가 이미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고, 영국의 일부 회사들은 곤충 단백질이 40%나 함유된 반려동물 사료 간식을 이미 팔고 있다. 

사실 우리나라만 하더라도 곤충사료가 너무 먼 미래의 얘기도 아니다. 농촌진흥청에선 이미 사료용 곤충 '동애등에'를 이용한 가축사료 기술을 개발,  민간으로 이전하는 일을 해왔다. 또 식재료소재벤처 푸디웜을 비롯한 일부 업체들은 이미 곤충을 활용한 사료제품을 개발해 시판까지 해놓은 상태. 


 

도허티 회장은 또 "채식주의자 애묘인의 경우, 곤충 단백질은 특히 매력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고양이들은 '타우린'이라는 아미노산이 꼭 필요한데, 타우린이 육고기나 생선에도 있지만 곤충들에도 많기 때문. 

곤충 사료 제조업체 '요라(YORA)'의 윌 비셋(Will Bisset)도 "나처럼 채식주의자들은 나의 원칙과 개 고양이에게 주는 식단 사이에서 늘 고민할 수 밖에 없다"며 "곤충 단백질을 먹이는 것은 원칙과 영양 사이의 격차를 메우는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시장성과 친환경 가치 함께 지닌, 잠재력 큰 미래식량 

농장에서 대량으로 양식하는 곤충들은 대개 사람 음식물 찌꺼기를 먹고 자란다. 일단 이 부분부터 친환경적이다. 세계 최대 곤충농장으로 알려진 네덜란드 프로틱스(Protix)에 따르면 곤충 단백질 1kg을 얻기 위해선 일반 소목축장에 비해 땅은 2%, 물은 4%만 있어도 된다. 번식력도 뛰어나 2주 정도면 곤충 1톤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비료나 살충제도 필요 없고, 손실률도 엄청 낮다.  

프로틱스 창업자 키즈 아츠(Kees Aarts)는 "전 세계적으로 우리 인류는 (육류를 얻기 위해) 지구를 빠르게 고갈시키고 있다. 그렇다고 우리들 먹을 단백질이 필요하지 않다는 말은 아니다. 그래서 우리에겐 대안이 꼭 필요한데, 곤충은 그런 해결책의 하나"라고 잘라 말했다.
이와 관련, 세계적으로 전체 육류의 20%는 반려동물이 소비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세계 최대 곤충농장 프로틱스 Protix 창업자 키즈 아츠(사진 오른쪽)가 양식곤충들을 살펴보고 있다.BBC. 

그래도 아직 걸림돌은 남아있다 

다만 곤충 사료의 경우, 일반 고기사료에 비해 많이 비싸다. 영국의 경우, 일반 브랜드제품에 비하면 가격이 무려 4배. 심지어 최고급 브랜드 사료보다 더 비싼 경우도 있다. 이런 상황이라면, 현단계에서 반려인들이 곤충사료를 실제로 구매하는 단계까지 이어질 지는 미지수. 

결국 우리들 사이에 여전히 남아있는 심리적 거부감에다 너무 높은 가격 문제가 곤충사료 시장의 본격 개막을 앞두고 통과해야 할 마지막 관문일 수 있다는 얘기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