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지금은 동물도 명의(名醫)를 찾는 시대다. 통계청이 발표한 국가공식통계로 추정하면 집에서 키우는 반려동물 수가 390만 마리(강아지 288만, 고양이 104만)를 넘어선 상황. 그 중에서도 7~8살 넘는 노령견 노령묘 개체수까지 최근 급증하면서 중증,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아이들이 빠르게 늘고 있어서다. 그래서 보호자들은 자기 아이 병을 낫게 해줄 ‘전문의’(專門醫)를 찾는다. 하지만 동물 쪽엔 국가가 자격증을 주는 전문의(specialist) 제도가 아직 없다. 그 대신 ‘아시아수의(獸醫)전문의’가 있다. 일본 한국 대만 태국 중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수의사들 연합학회에서 선발한, 국제 공인을 받은 전문 수의사(diplomate)들이다. 전문과목에 대한 다년간의 임상 경험과 실력, 거기에 국제 SCI(E)급 논문을 내는 등 학문적 성취까지 겸비해야 한다. 아시아권 전체로는 100여명. 수의료 역사가 긴 일본이 가장 많다. 우리나라는 25명을 배출했다. 이들은 미국과 유럽 수의전문의들이 모이는 학회나 행사에도 참가한다. 선진 의료기술을 즉각 받아들이고, 또 이를 임상에 빠르게 적용한다. 우리나라 수의료의 성취를 세계에 전파하기도 한
【코코타임즈】 강아지 알레르기 피부염의 원인은 다양하다. 풀이나 꽃가루부터 곰팡이, 집먼지진드기 등. 음식물이나 약물로 인한 것도 있다. 초기엔 아주 약하게 나타나다 시간이 갈수록 악화된다. 보호자들이 “처음엔 없었는데, 내가 잘못해서 아이가 이렇게 됐어요…”라고 오해하는 이유다. 황철용 서울대 수의대 교수(수의피부과)로부터 듣는다. <편집자 주> 어떤 원인으로 발생하는가? 또 보호자들은 어떻게 알 수 있나? 개와 고양이 알레르기 피부염은 타고난다고 보면 된다. 즉, 어떤 특정 물질에 과민하게 반응하도록 면역계가 특이하게 기억되어 태어난다는 것이다. 생각보다 복잡하다. 원인도, 증상도 여러가지다. 이들 물질에 노출되면 면역체계에 의해 과민반응이 일어난다. 주된 증상은 가려움증으로, 대개 얼굴, 겨드랑이, 옆구리 주위 및 발끝에 증상이 나타난다. 이와 함께 다른 피부염 증상이 함께 생기기도 한다. 보통 알레르기 피부염과 아토피 피부염을 헷갈려 하는데… 면역 과민반응으로 발생하는 건 모두 알레르기 피부염이다. 음식물 알레르기(식이 역반응)와 아토피로 나뉜다. 아토피는 특정 환경성물질(예: 꽃가루, 집먼지진드기)이 알레르기항원(allergens)인 경우
경북대학교 동물병원이 15일 오후 2~5시 '2월 크누(KNU) 반려학교' 를 연다. 주제는 경북대 수의피부과 오태호 교수의 "우리 아이가 자꾸 긁어요", 리즈 반려동물행동클리닉 이우장 대표의 '반려견 행동 이해하기!' 등 2가지. 경북대 부속 동물병원(대구시 북구 대학로) 2층 강의실에서 진행되는 이날 반려학교는 참가비 무료에 선착순으로 50명 입장할 수 있다. 홈페이지 사전 접수(https://forms.gle/VcZ2Q3MdPshLRAfX9)를 하는 경우엔 행사 당일 선물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