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COCOTimes)】 고양이도 눈곱이 낄 때가 있다. 고양이 눈곱, 어떻게 닦아주는 것이 안전할까? 우선 '거즈'를 준비해두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거즈에 항균 처리된 고양이용 안구 세척제를 적셔 닦아주면 된다. 거즈를 눈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살짝 두드리듯이 옮겨가며 눈꼬리 반대편으로 눈곱을 빼낸다. 양 눈의 세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양쪽 눈에 각각 다른 거즈를 사용한다. 고양이용 안구 세척제가 없으면 일회용 생리식염수나 방부제가 들지 않은 인공 눈물을 사용하여 닦아주는 것도 방법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 바로 젖은 '솜'을 이용하지 않는 것이다. 솜에 물이나 세척제를 적셔 눈을 닦으면 솜의 보풀이 빠지면서 눈에 남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눈이 더 빨개지고 눈물이 나면서 눈질환으로 악화될 수 있다. 또한 수돗물은 고양이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어 되도록 피해야 한다. 한편 눈곱이 고양이의 한쪽 눈에만 유난히 많이 생기고, 악취, 과도한 눈물 흘림 증상을 동반하면 병원을 찾자. 각막염, 백내장, 헤르페스 감염 등이 원인일 수 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이후 폐렴이 되고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다. 눈물, 노란 눈곱, 충혈,
【코코타임즈(COCOTimes)】 개의 안구건조증(dry eye syndrome)은 눈물샘에서 눈물이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아 눈이 건조해지는 병을 말한다. 특히 나이가 많은 노령 견에게 흔히 나타나며 안구건조증을 그대로 방치하면 결막염이나 각막 궤양 등의 합병증이나 2차 감염으로 이어지기 쉬워 위험하다. [증상] 안구건조증에 걸린 개는 결막이 빨갛게 충혈되며 누런 눈곱이 많이 보여진다. 눈물량 감소로 불편해진 눈을 자꾸 비비게 되므로 각막이 더욱 탁해지며 눈을 제대로 뜨지 못하고 눈이 부신듯한 표정을 짓거나 자주 깜박이게 된다. [원인] 눈물샘을 구성하는 면역세포가 파괴됐다거나 선천적으로 눈물 분비샘 세포에 이상이 있는 경우 안구건조증에 걸릴 수 있다. 또한, 항생제에 장기간 노출돼도 발병의 위험이 있으며 수술 등의 이유로 인한 전신마취를 했을 때에도 안구건조증이 나타나지만, 이 경우엔 대부분 일시적 증상이므로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자연 치유된다. 홍역에 의해 호흡기 증후군에 감염된 경우에도 안구건조증이 나타나게 된다. 시추, 페키니즈, 코카 스파니엘, 시추, 웨스턴 하이랜드 화이트 테리어, 불독 등은 선천적으로 눈물이 적기 때문에 안구건조증에 잘 걸리는
【코코타임즈】 고양이가 눈을 제대로 뜨지 못하거나 자꾸만 긁으려 하는 모습, 눈 부근 만지는 것을 싫어하는 등의 모습을 보인다면 문제가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 이물질이 들어가 있을 수도 있지만, 어떠한 문제로 부어 있거나 출혈, 눈곱 등으로 아파하는 것일 수도 있다. 고양이는 서로 할퀴면서 싸우다가 각막을 자주 다치는 편이기도 하다. 발톱으로 인해 상처가 생겼을 때는 발톱에 있던 세균 때문에 안질환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고양이 눈가가 눈곱으로 지저분하다면 부드러운 거즈를 따뜻한 물에 적신 뒤 꼭 짜서 눈 부근을 닦아준다. 이때 솜 사용은 금물이다. 솜 보풀이 눈가에 남으면 각막을 자극하거나 다칠 수 있다. 눈곱 양이 이전보다 현저히 늘어났다면 바이러스 감염 증상일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출혈이 있다면 환부를 부드러운 거즈로 몇 초간 눌러서 지혈해주고 동물병원을 찾아 치료받는다. 눈 안에 이물질이 들어가 있을 때는 생리식염수나 인공 눈물을 넣어준다. 눈에 몇 방울 떨어뜨리고 눈을 감았다 떴다 하면서 이물질이 눈 밖으로 흘러나올 수 있게 한다. 고양이가 눈을 감지 않을 때는 눈에 바람을 '후' 불어주면 된다. 만약 속눈썹이 눈 안을 향해 자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