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강아지는 숨을 못 쉬는 호흡 곤란일 때, 고양이는 토하고 설사할 때와 숨을 못 쉴 때 보호자들이 가장 당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급하거나 위중하다 느끼기 때문. 그렇다면 허둥지둥 응급실을 찾았는데, 최종 진단으로 가장 많이 나온 병은 어떤 것일까? 해마루동물병원(진료원장 김진경)이 이를 가늠해볼 수 있는 데이터를 곧 발표한다. 21일 오후 9시부터 수의사교육플랫폼 ‘아이해듀’(ihaedu)를 통해 공개할 '2022 증례발표회'에서다. 해마루는 수도권의 대표적인 2차 진료 동물병원. 내과 외과 안과 등 특화진료는 물론, 응급진료시스템이 잘 짜여져 있어 동네 로컬병원에서 의뢰하는 환자들이 많이 찾는다. 여기 응급·중환자의료센터 김지훈 수의사가 지난 1년간 해마루 응급실에 들어온 강아지 고양이들의 주요 증상들과 그 원인을 분석했다. 먼저, 강아지. 가장 많이 온 원인은 호흡 곤란(20%)과 함께 구토·설사(15%)였다. 강아지도, 고양이도 이 두 원인이 보호자들에겐 가장 다급한 응급 상황이란 것. 그 뒤를 이어 기력 저하(9%)와 발작(9%), 외상(8%) 등의 순이었다. 이들 5가지 원인이 전체 강아지 응급환자의 61%나 됐다. 반면, 강아지 키
【코코타임즈】 ‘개통령’ 강형욱이 개에게 물려 연초부터 응급실을 찾았다. 강형욱은 4일 인스타그램에 "또 물렸네, 그냥 간단히 놀다가 물렸다"라며 "제 손이 공인 줄 알았다네요"라는 글과 함께 손에 붕대를 감은 사진을 게시했다. 그는 이어 "오랜만에 뼈하고 인사도 했다"면서 "새해에는 보지 말자고 서로 덕담도 했다"고 농담을 걸었다. 그러면서도 그는 "응급실 갔는데 너무 아파서 소리를 조금 질렀다"라며 당시 상황을 전달했다. 강 훈련사는 "의사 선생님께서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지네요'라고 해서 저는 '매일 떨어집니다(라고 했다)”고 말하고 "약국에서 약 받느라 기다리는데 옆에 할머니가 '내가 물릴 줄 알았어, 뭣 좀 끼고 해'(라고 하시더라)"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그는 "물리고 난 후, 혼자 속삭이는 말이 있는데 '절대 아이들이 물리면 안 돼'(다)라며 "정말 아프기 때문이다, 그냥 '아프네?'가 아니라 손을 물렸는데 허리를 못 펴고 다리를 절고 입술이 저리다"라고 진짜 아팠음을 토로했다. 강형욱은 이어 "저는 손도 노동하는 사람같이 험하고 거칠다"라며 "그런데도 이렇게 다치는데 아이들이 물리면.."이라고 안타까워했다.
【코코타임즈】 종합병원 중환자실. 긴급한 중증환자가 들어와 치료를 받는 곳이기도 하지만, 한 사람의 인생이 마지막 순간에 이르기 전 잠깐 들리는 곳이기도 하다. 그래서 중환자실은 늘 긴장과 슬픔이 감도는, 특별한 시간이자 특별한 공간. 하지만 네델란드에서라면 조금 다른 얘기가 될 수 있다. 최근 네덜란드 국영방송 NOS에 따르면, 네델란드 흐로닝헌(Groningen)시에 있는 종합병원 UMCG는 중환자실에 반려견도 들어와 다른 가족들과 함께 견주 죽음을 지켜보고 이별할 수 있도록 해서 널리 화제가 됐다. 거의 대부분 종합병원의 경우 병실은 많은 환자들이 있기 곳이기에 감염 또는 위생 우려가 높아, 반려견이 병상에 들어오는 것을 꺼리고 있기 때문. 특히 중환자실은 감염에 민감한 곳이어서 더 그렇다. UMCG병원 수간호사 칼라 펠트하위스(Carla Veldhuis)은 이번 결정에 대해 "죽음을 앞둔 환자에게 반려견은 오래도록 함께해 온 가족으로 생각하기에 이 가족도 임종을 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고 말했다. 고인의 남편에 따르면 “아내 친구들이 반려견을 데리고 병원에 와주어 반려견을 아내의 병상 머리 옆에 앉도록 해주었고, 반려견